• 제목/요약/키워드: PINUS THUNBERGII

검색결과 446건 처리시간 0.029초

백제 사비기 목제유물의 수종 식별과 분석 (Species Identification of Ancient Wood Excavated from Capital Area in Sabi Era, Baekje)

  • 한상효;박원규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25호
    • /
    • pp.197-226
    • /
    • 2004
  • This study was made to identify species of archaeological wood products excavated from three sites(Kwunbuk-ni, Gungnamgi, Wanggung-ni) of Sabi Era, Baekje. These sitesare presumably considered as capital areas of Sabi Era, Baekje. Total of 220 specimens were identified into five softwoods and eighteen hardwoods. Pinus densiflora(or Pinusthunbergii) and Quercus spp. are the most common and occupied 32%, 28% of totalspecimen, respectively. The others are follows : Torreya nucifera(1%), Abiesholophylla(3%), Cryptomeria japonica(4%), Thuja spp.(2%), Chamaecyparisobutusa(2%), Salix spp.(1%), Platycarya strobilacea (3%), Alnus spp.(1%), Carpinusspp.(0.5%), Castanea crenata(9%), Zelkova serrata (6%), Celtis spp.(0.5%), Prunusspp.(2%), Rhus verniciflua(1%), Rhus trichocarpa(0.5%), Meliosma oldhamii(1%),Hovenia dulcis(1%), Kalopanax pictus(0.5%), Cornus walteri(0.5%), Styrax japonica(1%),Fraxinus rhynchophylla (0.5%), F. sieboldiana(1%).Most of the identified species have been growing in this area until nowadays. However,a few species(Cryptomeria japonica, Thuja spp. Chamaecyparis obutusa, Torreyanucifera) didn’t grow natively around this area at that time. Two species(Cryptomeriajaponica, Chamaecyparis obutusa) are endemic species of Japan, indicating international trade or exchange of woods between Baekje Kingdom and Japan in 6-7th century. Torreyanucifera grows in limited areas in Korea (south of $35^{\circ}$10′N), however, is widely distributed in the southern Japan. Quercus spp. was identified the most in implements of Baekje and Pinus densiflora(orPinus thunbergii) was in the second place. Zelkova serrata was mainly used for raw materials of turnery products, e.g., wooden container. This species produces one of the hardest woods as 0.7 in specific gravity. It indicates that iron technologies have reached some high level in Sabi Era, Beakje.

  • PDF

Cytotoxic Evaluation of Plant Essential Oils in Human Skin and Lung Cells

  • Ahn, Changhwan;Park, Mi-Jin;Kim, Jae-Woo;Yang, Jiyoon;Lee, Sung-Suk;Jeung, Eui-Bae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2호
    • /
    • pp.166-177
    • /
    • 2018
  • Plant essential oils are defined as fragrant volatile oils extracted from leaves, stems, fruits, flowers, and roots of a plant. Such oils are composed of multiple components and multiple functions. By accumulation of inductive information, various plant essential oils have been studied for using in therapeutic medicine for various diseases. Despite of the apparent advantages of essential oils as a source of therapeutic medicines, plant essential oils have many limitations, including cytotoxic side effec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toxicity and the mechanisms of cytotoxicity of such oils.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cytotoxicity to human-derived cell lines of 10 plant essential oils provided by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i.e., Larix kaempferi; Abies holophylla; Zanthoxylum ailanthoides; Pinus parviflora; Tsuga sieboldti; Chamaecyparis pisifera; Cryptomeria japonica; Pinus densiflora; Illicium anisatum; Pinus thunbergii). Cytotoxicity evaluations were accomplished by using CCK-assays and PCR-based cytotoxicity-related marker gene analyses with A549 cell line, and the Detroit551 cell line which are lung and skin cell line. The genes were analyzed included caspase-3 has a role in cell apoptosis, and the other cyclinA, cyclinB, cyclinD, and cyclinE regulated cell cycling for the cell proliferation. By examining the five cytotoxicity-related marker genes by performing real-time PCR and examined the cytostatic gene regulation associated with the various essential oil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degree of cytotoxicity and the cytostatic gene regulation which could give precious information for using the plant essential oil for the clinical usages.

영도 절영산에서의 식물 집단 구조 (Plant Population Structure of Mt Jeolyoung in Young-do of Busan)

  • Huh, Hong-Wook;Park, Joo-Soo;Huh, Man-Kyu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459-466
    • /
    • 2004
  • 영도 절영산과 단절된 산림지 3곳에 대한 식물종, 목본류의 다양성 양상을 조사하기 위해 18 plot(12개 50$\times$50m plot와 6곳 10$\times$100 m plots)를 설정하였다. 50${\times}$50m plots에 는 총 68종이 동정되고 목본류의 개체는 1562개였다. 최소 유의성 차이(LSD)에서 A지점(절영산)이 B지점(낮은 구릉지역)보다 높았다. Shannon-wiener의 다양성 지수에서 세 지역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4.12, p<0.05). 곰솔-갈참나무군락이 대부분 지역에서 우점하였다. 절영산과 태종대 지역에서 곰솔군락이 다른 방향보다 NE방향에 잘 분포하였다. 천선과 나무-곰솔군락은 C지역의 남쪽 plot에 잘 분포하였다. 영도 절영산과 해안 지역에 대한 수목의 공간적 분포는 이질적이며 패치(patchy)구조를 나타내었다.

강천산 군립공원의 식생 (Vegetation of Gangcheonsan Provincial Park in Cheollabuk-do)

  • 김하송;오장근;전지영
    • 생태와환경
    • /
    • 제46권1호
    • /
    • pp.25-32
    • /
    • 2013
  • 본 조사는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전라북도 순창군과 전남 담양군 일대에 강천산 군립공원의 식생 현황을 조사하였다. 강천산 군립공원의 식생은 총 28개의 식생자료를 바탕으로 9개의 군락으로 분류되었으며, 주요 삼림식생은 산지낙엽활엽수림인 굴참나무군락 및 졸참나무-굴참나무군락, 산지침엽수림은 소나무군락, 소나무-굴참나무군락, 소나무-상수리나무군락 및 솜대군락으로 나타났다. 습지식생은 갯버들군락, 고마리군락, 달뿌리풀군락 등이 나타났다. 강천산 군립공원은 기암괴석, 폭포, 계곡 등이 어우러져 자연경관이 우수하며, 산지계곡습지에 분포하는 특정식물군락 서식지가 잘 보전되어 있다. 강천산군립공원 내에 자생하고 있는 소나무군락, 백양꽃군락 및 석산군락 조성지를 중심으로 장기모니터링을 실시함으로서 주요 군락의 생태적 서식지 변화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여, 적극적인 보전, 복원, 홍보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Comparison of IgE induction in mice by pollens from three pine tree species

  • Kim, Seo-Yoong;Oh, In-Bo;Choi, Kee-Ryong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1권9호
    • /
    • pp.265-270
    • /
    • 2017
  • Background: Over the years, pine pollens have been excluded as an allergen due to its relatively large size, low protein content, and waxy hydrophobic layer, despite their abundance. However, recent studies suggest the possibilities of pine pollens being allergens, and it has been reported that allergy symptoms were highly prevalent in areas with considerably large pine forests and high possibility of exposure to the pollen. Therefore, we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allergenicities of the pollens from the dominant species of Korean pines, red pine (Pinus densiflora), black pine (Pinus thunbergii), and pitch pine (Pinus rigida), in mice. Methods: The protein composition of the pollens from the three pine species was compared via sodium dodecyl sulfat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SDS-PAGE). The pine pollens and proteins extracted from the pollens were introduced to BALB/c mice by nasal inhalation and application to exposed skin and the IgE produced by the mice were extracted from blood and analyzed via ELISA. Results: SDS-PAGE showed differing protein compositions of the pollens of the three pine species. Analysis of blood IgE compositions showed a similar amount of IgE produced when pollens were applied to skin. In contrast, when mice inhaled the pollens, P. densiflora was shown to induce significantly more IgE production than those of the other two species. Conclusions: The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ollens of all three South Korean pine species induce IgE production, and this production was more pronounced when the pollens were inhaled than when they were applied to the skin. Of the three species, the pollen of P. densiflora was found to induce the highest level of IgE production.

울릉도 산마늘 자생지의 산림입지환경과 토양 특성 (Forest Site Environments and Soil Properties of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in Ullengdo)

  • 허태철;윤충원;주성현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3호
    • /
    • pp.19-26
    • /
    • 2012
  • 본 연구는 산마늘의 임간재배를 위한 기초 환경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울릉도 산마늘은 너도밤나무, 우산고로쇠나무, 섬잣나무, 솔송나무, 소나무, 곰솔, 섬피나무, 두메오리나무 군락에 자생하고 있으며, 입지환경은 평균 해발고도 563.4 m, 평균 경사는 $27.8^{\circ}$ 이었다. 토성은 사토, 사질양토, 양질사토, 양토가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유기물층의 깊이는 평균 6 cm, 토양 pH는 5.40, 유효인산은 18.5 ppm, 양이온 치환용량은 $18.6cmol_c/kg$으로 나타났다. CCA분석에 의한 입지와 토양인자와의 상관관계를 보면 너도밤나무군락은 탄소, 질소, 모래함량, 양이온치환용량과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제주도(濟州道) 리기다 및 리기테다 채종원(採種園)에서 푸사리움가지마름병 피해도(被害度) 조사(調査) 및 병원성(病原性) 균주선발(菌株選拔) (Selection of Virulent Isolates of Fusarium circinatum and Investigation of Pitch Canker Severity of Pinus rigida and P. rigida × P. taeda Seed Orchards in Jeju Island)

  • 우관수;김영중;김태수;이승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6호
    • /
    • pp.402-409
    • /
    • 2005
  • 제주도에 조성한 리기다소나무(Pinus rigida Mill.), 리기테다소나무(Pinus rigida ${\times}$ P. taeda) 채종원내 조성년도가 다른 6개 식재지에서 푸사리움가지마름병(pitch canker) 피해를 입은 지 7년째 되는 잔존 임목의 피해를 개체별로 판정하여 채종원 및 수종간 피해도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이들 중 표현형에 의해 선발한 내병성, 이병성 선발목의 반형매 차대 2년생 묘목을 리기다소나무와 해송(P. thunbergii Parl.)에서 분리한 푸사리움가지마름병균(Fusarium circinatum)으로 인공접종 한 뒤 기주의 감염성 여부를 검정하였고 균주들의 병원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조사한 특성 중 두 채종원(상효, 한남)내 리기테다소나무 4 식재지간에 SC(줄기궤양)에서 통계적 유의성(${\chi}^2=7.76$; P=0.05)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효채종원내에서 리기다소나무가 리기테다소나무에 비해 수관피해도(top kill)와 가지끝 마름증상(branch tip symptoms)에서 피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접종 결과 내병성 후보목 차대가 이병성 후보목 차대에 비해 14% 높은 고사율을 보였는데, 이는 화분수의 영향이나 표현형에 의한 후보목 선발에서 온 결과로 사료된다. 처리균주 5개 중 C-6-L(9)과 C-6-L(19) 균주가 각각 68%, 60%의 고사율을 보여 차후 추진할 대규모 인공접종용 균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인공접종 실험을 통해 1차 선발된 내병성 후보목 개체들은 푸사리움가지마름병 저항성 품종 육종을 위한 유전적, 생화학적 기초 연구에 유용한 재료로 이용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울릉도에 자생하는 침엽수류 유존군락의 분포유형과 생태적 관리방안에 대한 연구 (Distribution Types of the Relict Conifer Community and the Approach for the Ecological Management in Ulleung-Island)

  • 조현제;이중효;추연식;홍성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0권1호
    • /
    • pp.95-104
    • /
    • 2011
  • ZM방식을 응용하여 울릉도에 자생하는 침엽수류(향나무, 섬잣나무, 솔송나무, 회솔나무) 유존군락의 분포유형을 구분한 다음, 이들 분포유형별 구성종의 중요치와 개체목들의 생장특성을 토대로 생태적 관리방안을 검토하였다. 1. 울릉도에 자생하는 침엽수류의 분포유형은 해안식생(SV)과 산지식생(MV)으로 대별할 수 있었으며 해안식생은 해안절벽지 분포형(J-SC)과 해안절벽지 능선부 분포(J-SR)형으로 구분되었다. 산지식생은 회솔나무림과 섬잣나무 솔송나무림으로 구분되었으며, 회솔나무림은 암석지 분포형(Ta-R)과 사면부 분포형(Ta-MS)으로 구분되었다. 섬잣나무 솔송나무림은 암석지 분포형(P T-R), 사면상부 능선부 분포형(P T-UR) 및 사면부 분포형(P T-MS)으로 구분 되었고, 사면상부 능선부 분포형은 제1아유형(1sub-type)인 솔송나무 우점임분, 제2아유형(2sub-type)인 회솔나무 우점임분, 제3아유형(3sub-type)인 섬잣나무 회솔나무 활엽수류 혼효임분으로 구분되었다. 2. 해안식생인 향나무림 중 제1분포형인 해안절벽지 분포형(J-SC), 산지식생인 회솔나무림중 제1분포형인 암석지 분포형(Ta-R), 섬잣나무 솔송나무림 중 제1분포형인 암석지 분포형(P T-R)은 지형적 극상으로 유지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으며, 해안식생인 향나무림 중 제2분포형인 해안 절벽지 능선부 분포형(J-SR), 산지식생인 회솔나무림 중 제2분포형인 사면부 분포형(Ta-MS)과 섬잣나무 솔송나무림 중 제2분포형인 사면상부 능선부 분포형(P T-UR) 및 제3분포형인 사면지 분포형(P T-MS)은 천이도중상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3. 지형적극상을 이루고 있는 향나무림, 회솔나무림, 섬잣나무림, 솔송나무림은 천이에 맡겨두고 천이도중상의 분포형에 대해서는 치수의 생장과 치묘 출현을 촉진시킬 수 있는 숲가꾸기 작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특히 솔송나무림을 복원시키기 위해서는 중용수이며 종자의 순량율이 1~2%인 점을 감안하여 숲틈(gap)의 형성외에 인공조림을 실행하여야 할것으로 사료되었다. 4. 곰솔림의 경우 강한 간벌과 가지치기를 이용하여 틈을 조성한 후 섬잣나무, 솔송나무, 회솔나무, 동백나무, 후박나무, 우산고로쇠 등으로 군상혼효림을 조성하는 것이 울릉도 자연식생을 회복시킬 수 있는 촉매제가 될 것으로 사료되었다.

부산광역시 동백섬 문화경관림 식생구조 특성 연구 (A Study on Vegetation Structure of Cultural Landscape Forest of Dongbaek Island, Busan)

  • 김경원;이경재;최진우;염정헌;안인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05-214
    • /
    • 2014
  •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지정 기념물 제 46호인 동백섬에 대해 문화경관림으로서의 식생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동백섬 내 자연휴식년제 지역인 정상부 주변 $20,000m^2$이었다. 지형, 식생, 식생관리현황을 기준으로 식생구조 유형을 분류하였으며 유형별 식물군집구조 분석을 통해 관리방안을 도출하였다. 식생구조 유형은 관리되고 있는 동백나무림, 관리되지 않은 사스레피나무림, 험준지의 미관리된 사스레피나무림 등 3개로 구분되었으며, 식물군집구조 분석결과, 교목층에서는 곰솔이 우점하였고 아교목층에서는 동백나무(유형 I), 사스레피나무(유형II, III)가 우점하였다. 특히, 관목층을 중심으로 난대림의 극상수종인 후박나무가 일부 분포하였다. 흉고직경급별 분석결과, 유형 I, II에서 중경목의 팽나무와 후박나무가 일부 분포하였고 모든 유형의 관목층에서 후박나무가 4~44주 생육하였다. 교목층의 평균 수령은 66년, 아교목층은 22.9년이었으며 종다양도는 0.5472~0.8646로 분석되었다. 동백섬의 식생관리 방향으로서 기존 관리된 동백나무림은 주기적인 관리를 유지하며 관리되지 않은 사스레피나무림은 사스레피나무를 제거하고 동백나무를 식재하는 관리를 제안하였다. 관리되지 않은 험준지 사스레피나무림은 동백나무경관 형성이 불가능 할 것으로 예측되어 상록활엽수림으로의 천이유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난온대 상록활엽수림 지역의 식생천이계열 고찰 -육박나무군락을 중심으로- (A Review of Vegetation Succession in Warm-Temperat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Focusing on Actinodaphne lancifolia Community-)

  • 박석곤;최송현;이상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77-96
    • /
    • 2018
  • 난온대 상록활엽수림의 식생천이계열을 논의하기 위해 극상림이라 알려진 육박나무군락이 생육하는 한국 3곳(비진도, 애도, 보길도)과 일본 1곳(다치바나산)을 조사 및 분석했다. 이를 토대로 한국, 일본, 중국, 대만의 관련문헌을 검토해 상록활엽수림의 분포특성, 식생천이계열 및 극상수종을 고찰했다. 다치바나산과 애도는 육박나무군락이 가장 발달한 식생구조를 보였지만, 토양분석 및 CCA분석에서 육박나무군락을 난온대 천이극상단계의 조건으로 판단하기엔 부족함이 보였다. 한국과 일본에서 육박나무군락은 드물게 분포하는 반면, 동아시아 난온대 지역에 보편적인 식생유형은 후박나무류, 잣밤나무류, 가시나무류였다. 한국 난온대 지역의 식생천이계열은 곰솔 소나무 졸참나무 등(초기단계)${\rightarrow}$후박나무 생달나무 참식나무 육박나무 등(중간단계)${\rightarrow}$구실잣밤나무 붉가시나무 참가시나무 등(극상단계)의 순으로 2차천이가 진행될 것으로 추정된다. 단, 조풍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입지조건이나 잣밤나무류 가시나무류의 종자공급이 어려운 곳에서는 후박나무류 유형이 토지극상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