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Dro scale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5초

뇌졸중 환자에서 상지 회복을 위해 컴퓨터-인간 연동을 이용한 가상현실 기반 훈련 프로그램 (Virtual Reality-based Training Program Using Computer-human Interface for Recovery of Upper Extremity Use in Stroke Patients)

  • 이경희;황기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호
    • /
    • pp.285-290
    • /
    • 2016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상지 재활에 사용되는 컴퓨터-인간 연동을 이용한 가상현실 기반 훈련 프로그램 중재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5년 2월까지 Medline 데이터베이스에서 뇌졸중 환자의 상지 재활을 위한 가상 현실 중재를 다루는 무작위 대조군 임상 연구들을 검색하였다. PEDro 스케일이 연구의 질을 사정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선정된 8개의 연구가 분석되어졌다. PEDro 스케일은 5 부터 8/10까지 다양했다. 모든 연구들은 가상현실 기반 훈련 그룹에서 상지 기능 회복에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상지 회복을 위해 사용되는 가상 현실 기반 훈련 프로그램의 적용이 다양하고 예측할 수 없는 실행으로 구성된 과제 지향적이고 점진적인 학습을 제공함을 통해 특히 배움에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 훈련 프로그램을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 재활에 탁월한 학습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과제-지향과 등급화된 학습을 제공하는데 효과적이다.

COVID-19 recommender system based on an annotated multilingual corpus

  • Barros, Marcia;Ruas, Pedro;Sousa, Diana;Bangash, Ali Haider;Couto, Francisco M.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19권3호
    • /
    • pp.24.1-24.7
    • /
    • 2021
  • Tracking the most recent advances in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related research is essential, given the disease's novelty and its impact on society. However, with the publication pace speeding up, researchers and clinicians require automatic approaches to keep up with the incoming information regarding this disease. A solution to this problem requires the development of text mining pipelines; the efficiency of which strongly depends on the availability of curated corpora. However, there is a lack of COVID-19-related corpora, even more, if considering other languages besides English. This project's main contribution was the annotation of a multilingual parallel corpus and the generation of a recommendation dataset (EN-PT and EN-ES) regarding relevant entities, their relations, and recommendation, providing this resource to the community to improve the text mining research on COVID-19-related literature. This work was developed during the 7th Biomedical Linked Annotation Hackathon (BLAH7).

혀 운동(tongue exercise)이 연하장애를 가진 뇌졸중 환자에게 미치는 효과 : 체계적 고찰 (Effect of Tongue Exercise on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 A Systematic Review)

  • 손영수;최유임
    • 재활치료과학
    • /
    • 제11권3호
    • /
    • pp.7-22
    • /
    • 2022
  • 목적 : 본 연구는 연하장애를 가진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혀 운동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논문이다. 혀 운동에 대한 전반적인 효과를 검증하고,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혀 운동에 대한 경향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을 가지고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PRISMA(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 체크리스트 및 흐름도를 이용하여 체계적 고찰을 시행하였다. 데이터베이스는 PubMed, MEDLINE, CINAHL, RISS, e-article 을 통해 문헌 검색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문헌의 수는 총 6편이었고, 문헌의 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PEDro scale(Physiotherapy Evidence Database scale)을 사용하였다. 결과 : 분석된 논문 6편에서 3가지의 중재 방법이 포함되었다. 혀 운동의 종류로는 혀 근력훈련 3편, 혀 근력 및 정확도 훈련 2편으로 모두 아이오와 구강 수행 도구를 통한 중재를 시행하였고, 혀 신장훈련을 적용한 논문이 1편이었다. 조사된 문헌에서 시행한 중재 별 치료 효과는 모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대부분 표본수가 적어 일반화 시키기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되며, 실험군과 대조군 비교 시 몇몇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은 결과들이 있는 만큼 전통적 연하재활치료도 구강기 연하장애를 가지고 있는 환자들에게 적절한 치료 방법으로 판단된다. 결론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들이 연하장애를 가진 뇌졸중 환자들에게 혀 운동을 적용함에 있어 효율적인 연하재활치료를 제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며, 혀 운동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더 많은 연구축적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동시적 이중과제 훈련이 노인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효과: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Simultaneous Dual-Task Training on Executive Function in Older Adults)

  • 전유진;박진혁
    • 재활치료과학
    • /
    • 제10권3호
    • /
    • pp.23-41
    • /
    • 2021
  • 목적 : 본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한 동시적 이중과제 훈련을 적용하였을 때 실행기능의 효과를 알아본 연구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 PubMed, EMBASE, CoChrane, Web of Science, RISS를 이용하여 지난 10년간 출판된 논문을 검색하였고, 선정 및 배제 기준을 통해 최종 7편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선정 논문에 대한 PEDro 질적평가와 메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선정된 7편의 논문은 모두 무작위 대조군 설계로, PEDro Scale 7점 이상의 높은 편에 속하였다. 이중과제 훈련의 실행기능 효과를 보기 위한 평가도구로 4편의 문헌에서 선로잇기검사(Trail Making Test)를 사용하였고, 2편에서 색선로잇기검사(Color Trail Test)를 사용하였으며, 3편에서 스트룹검사(Stroop test)를 사용하였다. 메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체적인 실행기능의 향상은 0.38로 작은효과크기를 보였으며, 선로잇기검사와 색선로잇기검사는 0.37, 스트룹검사는 0.34로 작은효과크기를 보였다. 전체적인 실행기능 효과와 선로잇기검사, 색선로잇기검사의 효과크기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이중과제 훈련이 노인의 실행기능 향상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지만, 이중과제 훈련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훈련의 난이도 설정이 중요하며, 실행기능을 평가하는 다양한 평가도구와 실제 이중과제 조건에서의 수행도를 평가하는 평가도 동시에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향후, 노인들의 실행기능 향상 훈련을 하는데 적절한 중재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치매 발현을 늦추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척수 손상 환자의 라이프 스타일 개선을 위한 재활 중재 효과: 무작위 대조군 연구의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Effect of Rehabilitation Intervention for Lifestyle Improvement of Spinal Cord Injury: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nd Meta-Analysis)

  • 하성규;박혜연
    • 재활치료과학
    • /
    • 제9권4호
    • /
    • pp.107-120
    • /
    • 2020
  • 목적 : 척수손상환자를 대상으로 한 무작위 대조군 연구의 체계적 고찰과 메타분석을 통해 척수손상환자의 재활 중재의 효과성과 근거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국외 논문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어를 사용하여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를 2명의 연구자가 독립적으로 검색하여 선정하였다. 선정기준에 부합한 연구는 총 21편이었고, PEDro Scale을 사용하여 연구의 질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메타분석은 Comprehensive Meta-Analysis 3.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결과 : 분석된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자는 총 713명이었고, 메타분석을 실시한 결과 신체활동을 이용한 중재는 0.406(95.0% 신뢰구간: 0.221~0.591), 전기 자극 치료중재는 0.505(95.0% 신뢰구간: 0.449~1.528)로 중간크기(Medium)의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적 방법 중재는 0.248(95.0% 신뢰구간: 0.033~0.464), 복합 중재는 0.280(95.0% 신뢰구간: 0.122~0.438)로 작은 크기(Small)의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적 이질성 검정에서 유의미한 이질성이 있어 연구결과 통합 시 랜덤효과 모형을 선택하여 분석하였고, 출판편견은 유의미하지 않아 신뢰할만한 연구결과였다. 결론 : 분석된 결과 척수손상환자를 대상으로한 재활 중재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척수손상환자를 대상으로한 재활분야에서 임상가들이 대상자의 라이프 스타일을 개선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구성할 때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섭식 장애가 있는 뇌성마비 아동에게 적용된 구강감각운동치료방법에 대한 체계적 고찰 (Systematic Review of Method for Application of Oral Sensorimotor Intervention for Feeding Disorder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서상민;민경철
    • 재활치료과학
    • /
    • 제8권3호
    • /
    • pp.31-41
    • /
    • 2019
  • 목적: 본 연구는 섭식 장애가 있는 뇌성마비 아동에게 시행한 구강감각운동치료에 대한 중재 방법, 중재 기간, 중지 시간, 평가 방법 등에 대한 국내외 문헌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09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국내외 논문을 검색하여 176편의 논문이 검색되었다. 1차 초록 및 제목 중심으로 47편의 논문이 선정되었고, 2차 원문 검색을 통해 5편의 논문이 선정되었다. 결과: 선정된 논문의 PEDro scale은 평균 7점으로 높은 편이었으며, 치료의 중재 기간은 8주에서 24주 사이로 나타났으며, 중재 시간은 일주일에 1회에서 5회, 하루에 최소 15분에서 1시간씩 제공되었다. 구강감각운동치료의 접근 방법은 손상 기반 치료적 접근과 적응 기반 치료적 접근이 사용되었으며, 평가 방법은 임상적 평가와 비 도구적 평가로 나누어 사용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섭식 장애를 가진 뇌성마비 아동에게 실시한 구강감각운동에 대해 분석하였고, 이러한 자료를 통해 뇌성마비 아동들의 구강운동치료 프로그램 계획 시 적절한 치료적 중재 적용방법을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 제공 및 근거를 마련하였다.

신경발달장애 아동의 침흘림치료를 위한 비침습적 중재방법에 관한 고찰: 경향 및 중재방법 분석 (Review of Non-invasive Interventions for Drooling Problem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rends and Analysis of Interventions for Drooling)

  • 전주영;박혜연
    • 재활치료과학
    • /
    • 제10권2호
    • /
    • pp.37-51
    • /
    • 2021
  • 목적 : 본 연구는 주로 침흘림을 보이는 뇌성마비 아동에게 비침습적인 치료적 중재와 침흘림 측정방법의 경향 분석 등에 대한 국외 문헌들을 중심으로 종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최근 15년 간(2005-2019) 국외 논문을 검색하여 총 265편의 논문이 검색되었다. 1차 제목 및 초록을 중심으로 44편의 논문이 선정되었고, 2차 원문 검색을 통해 10편의 논문이 최종적으로 선정되었다. 결과 : 선정된 논문의 PEDro Scale은 평균 6점으로 높은 편이었다. 전반적인 동향을 분석한 결과 연구대상자는 뇌성마비가 주를 이루었고, 행동수정에 비해 구강감각운동의 치료적 중재가 최근에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었다. 행동수정과 구강감각운동 중재방법은 대상자의 나이, 인지수준, 대상자 수, 연구설계, 치료시간과 기간에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침흘림 측정방법은 빈도와 심각성을 동시에 확인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침흘림을 보이는 뇌성마비 아동에게 실시한 비침습적인 중재 중 대표적인 행동수정과 구강감각운동 중재에 대해서 분석하였고, 이러한 자료를 통해 행동수정과 구강감각운동치료를 통한 침흘림 프로그램 계획 시 적절한 치료적 중재방법을 선택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제공 및 근거를 마련하였다.

Bibliometric analysis and diagnostic efficacy of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studies published in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from 2011 to 2022

  • Kelda Zanchi Younan;Gabriel Francisco Krueger;Roberto Zimmer ;Pedro Antonio Gonzalez Hernandez;Vania Regina Camargo Fontanella;Sergio Augusto Quevedo Miguens-Jr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53권4호
    • /
    • pp.335-344
    • /
    • 2023
  • Purpose: This bibliometric analysis aimed to provide a comprehensive overview of the characteristics, trends, and level of diagnostic efficacy of studies on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published in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ISD) from 2011 to 2022. Materials and Methods: Publications related to CBCT identified in the electronic collection of ISD were selected according to eligibility criteria by 2 independent reviewers who collected data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ticles (year, authors, and country). The type and topic of studies were analyzed using VOSviewer v.1.6.18 (Centre for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Leiden University, Leiden, Netherlands). The research articl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hierarchical scale of diagnostic efficacy. Results: Of the 236 articles included, most were from South Korea and Brazil. Bong-Hae Cho and Yun-Hoa Jung were the most prolific authors on the topic of CBCT. The most frequently published types of studies were cross-sectional and laboratory-based. The most popular topics WERE related to the diagnosis of pathologies and/or alterations, as well as anatomical variations. On the diagnostic efficacy scale, most studies were rated level 1 (technical efficacy) or 2 (diagnostic accuracy efficacy). Conclusion: A steady increase was observed in publications related to CBCT, which are of both clinical and academic interest. The trends in these publications were analyzed, revealing that most are cross-sectional studies primarily exploring the capabilities of CBCT in diagnosing pathologies and/or changes in the oral and maxillofacial complex. These studies were typically classified as level 1 or 2 on the diagnostic efficacy scale.

Effects of Facial Exercise for Facial Muscle Strengthening and Rejuvenation: Systematic Review

  • Lim, Hyoung Won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33권6호
    • /
    • pp.297-303
    • /
    • 2021
  • Purpose: The mass of facial muscles can be increased through exercise, as is also the case for muscles in the extremities. This systematic review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acial exercises on facial muscle strengthening and facial rejuvenation, focusing on recent studies. Methods: A literature search was performed using the PubMed, ScienceDirect, and Web of Science databases. The quality of the trials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PEDro scale. In total, 11 studies were included in this review: four studies on facial exercise for facial rejuvenation and seven studies on strengthening the muscles of the face. Results: Facial exercises for facial rejuvenation increased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elasticity of the skin of the face and neck, the thickness and cross-sectional area of the facial muscles, and the fullness of the upper and lower cheeks. Conclusion: A study aimed at strengthening facial muscles showed improvements in labial closure strength and tongue elevation strength. Despite the positive results for facial rejuvenation and muscle strengthening, the level of evidence was low. Therefore, in future research, it will be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acial exercise in a thoroughly controlled experiment with a sufficient sample size to increase the level of evidence.

뇌졸중 환자를 위한 호흡 운동의 효과성: 체계적 고찰 (Effectiveness of Respiratory Exercise for Stroke Patients: A Sytematic Reiview)

  • 이명호;김명권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85-97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iveness of respiratory exercise in stroke patients conducted in Korea over the past 10 years (2012-2023). METHODS: Using the RISS, KCI, KISS, and NDSL databases, previous studies on stroke and respiratory exercise were searched, and relevant articles were collected following the PRISMA guidelines. Twelve articles were selected, and the quality of the studies was evaluated using the PEDro scale. RESULTS: Twelve studies were selected, and the qualitative evaluation of these studies showed that five articles received a score of six out of 10, while five articles received a score of five. The remaining two articles received scores of four and three, respectively. The intervention duration for respiratory exercise ranged from 20 to 30 minutes per session, with a frequency of three to five sessions per week, conducted over a period of three to eight week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respiratory exercise effectively improved the respiratory function, physical function, and respiratory muscle activation in stroke patients. CONCLUSION: Respiratory exercise was reported to have a positive affect the respiratory function, physical activity, and respiratory muscle activation in stroke pat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