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 olivaceus

검색결과 324건 처리시간 0.029초

유기주석화합물이 해산 어류의 간장 MFO 효소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ributyltin in vitro on Hepatic Monooxygenase System in Marine Fishes)

  • 전중균;이미희;이지선;심원준;이수형;허형택
    • 환경생물
    • /
    • 제21권1호
    • /
    • pp.18-25
    • /
    • 2003
  • 본 연구는 내분비교란물질로 알려진 TBTC가 해양생물에게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이 화합물에 노출시킨 어류의 간장 MFO 효소계의 반응을 in vitro로 조사하였다. 대상 어류는 개복치(Mola mola), 숭어(Mugil cephalus), 강도다리(Ptatichthys stellatus), 청어(Clupeu pallasii), 붕장어(Astroconger myriaster),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 참돔(Pugrus major),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이며, 이들의 간장 미크로좀을 2mM의 TBTC와 in vitro (3$0^{\circ}C$, 20분)로 배양하고 cytoch-rome P45O (CYP), cytochrome b5, NAD(P)H -cytochro-me c 환원효소를 비롯한 탈알킬화 효소들(EROD, PROD, MROD, ECOD)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TBTC는 환원효소의 측정 시에는 DMSO에, 그리고 그 밖의 효소 측정시에는 메탄올에 녹여 2% 농도로. 첨가하였다. 어류의 간장 CYP 함량은 TBTC와 배양 후 대부분(6 어류/8어류)에서 10% 이하로 크게 저해되었으나, cyto-chrome b5함량은 변함이 없었다. 하지만 NAD(P)H 의존성 환원효소의 반응은 어류에 따라 달랐고, CYP 외에 두 환원효소도 모두 영향을 받아 저해되는 타입 1(개복치, 조피볼락, 청어, 강도다리, 참돔), CYP 외에 NADH 의존성 환원효소만 저해되는 타입 2(붕장어, 숭어)및 CYP 저해되지만 두 환원효소는 영향을 받지 않거나 오히려 유도되는 타입 3 (넙치)으로 구분되었다. 그리고 대부분(7/8)의 어류에서는 NADH 의존성 환원효소가 NADPH 의존성 환원효소에 비해 더욱 저해되는 경향을 보였다. TBTC는 어류의 탈알킬화 효소에도 영향을 미쳤고, 어류별 EROD활성의 저해는 개복치, 참돔, 붕장어, 조피볼락(잔존율 1~7%)>숭어, 청어 (14~30%)>넙치, 강도다리(56~65%)의 순이었으며, ECOD 활성의 저해도 개복치, 참돔, 붕장어 (36~38%)>조피볼락(63%))숭어, 청어, 넙치, 강도다리(90%)의 순으로 비슷한 경향이었다. 한편, 넙치와 강도다리에서는 PROD가 MROD보다 더욱 심하게 저해되었다. 이처럼 어류 간장의 약물대사 효소계는 TBTC에 의한 저해 정도가 어류에 따라 심한 차이를 보였다.

마이크로 컴퓨터를 이용한 어육의 신선도 측정장치의 개발 (Development of New Device for the Rapid Measurement of the freshness of Wet Fish by Using Micro Computer)

  • 조영제;이남걸;김상봉;최영준;이근우;김근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53-262
    • /
    • 1995
  •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있는 어육의 선도 측정방법은 소요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으므로, 신속한 어육의 선도 측정방법으로 마이크로컴퓨터를 이용하는 방법의 실용화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즉, 어체의 전기전도도에 따라서 변하는 값을 실효치변환기(RMS)에서 DC 0-5V로 변환시켜 8096마이크로 프로세서에 내장된 10 비트 분해능의 A/D converter를 거쳐서 디지털 DATA값으로 받아들이도록 고안한 장치를 이용하여, 기존의 물리화학적 선도판정법과 비교 실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사후 경직의 개시 시간은 $-3^{\circ}C$에서 4시간, $0^{\circ}C$에서 8시간, $5^{\circ}C$에서 10시간, 그리고 $10^{\circ}C$에서 14시간으로 저장 온도가 높을 수록 연장되었으며, 또 저장 온도가 낮을 수록 경직도가 높았고 완전 경직의 유지시간도 길었다. 2. 신선도 지표인 K값이 횟감으로 이용 가능한 $20\%$에 도달하는 시간은 저장 온도별로 $25^{\circ}C$ 4시간, $10^{\circ}C$ 22시간, $5^{\circ}C$ 71시간, $0^{\circ}C$ 96시간, 그리고 $-3^{\circ}C$ 240시간으로, 저장 온도가 낮을 수록 신선도 저하가 억제되었다. 3. 어류의 초기부패로 알려져 있는 VBN함량 $30mg\%$에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3^{\circ}C$에서 792시간, $0^{\circ}C$에서 576시간, $5^{\circ}C$에서 384시간, $10^{\circ}C$에서 189시간, $25^{\circ}C$에서 45시간이었다. 초기부패 값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속도상수는 각각 $-3^{\circ}C$에서 $0.0183h^{-1}$, $0^{\circ}C$에서 $0.037h^{-1}$, $5^{\circ}C$에서 $0.052h{-1}$, $10^{\circ}C$에서 $0.14h{-1}$, $25^{\circ}C$에서 $0.57h{-1}$이었으며 $0^{\circ}C$$10^{\circ}C$에서 $Q_{10}-value$는 1.37이며 Ea는 48.3Cal/mol이었다. 4.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장치를 이용하여 선도를 측정한 결과, 초기값은 $93.3\%$였으며, $25^{\circ}C$의 경우 저장 40시간에 $21.2\%$로, $10^{\circ}C$는 저장 144시간에 $22.3\%$로 가장 낮은 값이었으며 그 이후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05^{\circ}C,\;0^{\circ}C,\;-3^{\circ}C$는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서 완만히 Q값이 감소하여 각각 $5^{\circ}C$에서 336시간, $0^{\circ}C$에서 504시간만에 최저값을 나타내어 그 이후 일정하게 유지되었으며 $-3^{\circ}C$의 경우는 서서히 저하하여 저장 792시간 후에 $34.27\%$였다. 각종 온도대에 Q값의 감소 속도 상수는 $-3^{\circ}C$에서 $0.075h^{-l}$, $0^{\circ}C$에서 $0.104h^{-1}$, $5^{\circ}C$에서 $0.18h^{-1}$, $10^{\circ}C$>에서 $0.37h^{-1}$ 그리고 $25^{\circ}C$에서 $1.16h^{-1}$로, 저장 온도가 높을 수록 감소속도는 빨랐다. $0^{\circ}C-10^{\circ}C$에서 $Q_{10}-value$는 1.28, Ea는 3.78Cal/mole이었다. 5. 상기의 실험항목 (사후경직도, K값, VBN)과 선도측정장치를 이용한 실험값과의 상관성을 살펴본 결과 사후경직도와 Q-value는 상관성을 채울 수 없었다. 한편, K값과의 상관성은 -0.978(P<0.001), -0.962(P<0.001), -0.975(P<0.001), -0.944(P<0.001), -0.966(P<0.001)로 모두 높은 상관성이 인정되었다. 또, VBN과의 상관성도 -0.915(P<0.001), -0.916(P<0.001), -0.909(P<0.001), -0.888(P<0.001), 0.988(P<0.001)으로 모두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특히 $24^{\circ}C$의 경우 높은 상관성이 인정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신선도측정장치는 VBN 및 K값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이장치를 이용하여 각 어종별 data를 축적시킨다면 산업적으로 유용한 장치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식물근권에서 분리한 세균의 어류질병세균에 대한 항균활성 효과 (Antibacterial Effect of Bacteria Isolated from the Plant Rhizosphere against Pathogenic Bacteria of Fish)

  • 정지운;박소현;김동휘;전용철;허문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7호
    • /
    • pp.757-761
    • /
    • 2014
  • 천연 항균물질의 연구는 대부분 식품소재, 특히 약용식물을 대상으로 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식품소재의 경우 대량의 추출물 등을 제조하기 위해 많은 양의 재료가 필요하며, 이로 인한 비용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미생물은 적절한 환경 하에서 대량 배양이 용이하기 때문에 천연항생제로 이용하기 위해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식물병 억제에 효과가 있는 식물근권미생물을 이용하여 어류질병세균 4종을 대상으로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이 중 항균활성을 나타낸 균 3종을 선발하여 배양액, 상층액, 균체 현탁액으로 나누어 어느 부위에서 항균효과를 나타내는지 탐색하고, 16S rD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균을 동정하였다. 12종의 식물근권세균 중 BRH433-2, THJ609-3, TRH415-2 3종에서 항균활성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세 균주의 배양액, 상층액, 균체 현탁액 중에서는 균체 현탁액이 가장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세 균주의 16S rDNA 염기서열 분석 결과, BRH433-2는 Burkholderia gladioli와 99.5%, B. plantarii 98.9%, B. ubonensis 98.5%, B. pyrrocinia 98.3%, B. glumae 98%로 나타났다. THJ609-3은 Pseudomonas baetica와 97.7%, P. moorei와 P. plecoglossicida에 대해서는 각각 97.6%, 97.5%의 상동성이, TRH415-2는 P. koreensis, P. baetica와 98.4%, P. moraviensis 98.3%의 염기서열 유사도를 나타났다. 따라서 3종의 식물근권세균은 충분한 안정성 및 안전성 실험을 실행한 후, 양식산업에 적용하여 항생제 대체 물질로서의 이용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아산만해역 어류체내와 퇴적물중의 PCB와 유기염소계농약 분포 (On the Distribution of PCBs and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Fish and Sediment of the Asan Bay)

  • 최진영;이성규;방재현;양동범;홍기훈;신경훈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3권1호
    • /
    • pp.45-53
    • /
    • 2011
  • Distribution of Polychlorinated biphenyls (PCBs) and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sediments, seawater and fish tissues were examined. Concentrations of ${\Sigma}PCBs$ and ${\Sigma}DDTs$ in the intertidal sediments of Asan Bay ranged from $1.90{\sim}3.27\;ng\;g^{-1}$ dw (dry weight) and $0.51{\sim}1.26\;ng\;g^{-1}$ dw, respectively. ${\Sigma}PCBs$ concentrations in the tissue of greenling (Hexagrammos otakii),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and finespotted flounder (Pleuronichthys cornutus) were $1.27{\pm}0.55$, $1.30{\pm}0.71$ and $1.19{\pm}0.43\;ng\;g^{-1}$ ww (wet weight), respectively. The profile of PCBs in the sediments and the 3 species of fish differed as witnessed by the dominance of tetra- to penta-chlorinated congeners in sediments while penta- to hexa-chlorinated congeners dominated in fish. ${\Sigma}DDTs$ concentrations were $0.67{\pm}0.52$, $0.79{\pm}0.61$, $1.58{\pm}1.05\;ng\;g^{-1}$ ww respectively in the tissue of greenling, olive flounder and finespotted flounder. The p,p'-DDE appeared to be the most important metabolite of DDT in studied fishes. The concentrations of PCBs and organochlorine pesticides measured in this study for fish were generally lower than those of previous studies. Compared to the pollutant concentration quality guidelines in marine fish, the environment of Asan Bay appears to be in a healthy state.

홍조류 모로우붉은실(Polysiphonia morrowii)의 추출물과 이로부터 분리된 브로모페놀계 화합물의 in vitro 항균·항스쿠티카충 활성 및 구조-활성 상관성 (In vitro Anti-bacterial and Anti-scuticociliate Activities of Extract and Bromophenols of the Marine Red Alga Polysiphonia morrowii with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s)

  • 강소영;이상윤;최준호;정성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45-51
    • /
    • 2014
  • Scuticociliates are regarded as serious pathogens in marine aquaculture worldwide. In Korea, they cause mass-mortalities in fish such as the commercially important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n particular, mixed infections of scuticociliates with pathogenic bacteria have been commonly reported. During efforts to identify natural marine-algae derived products that possess anti-bacterial and anti-scuticociliate properties, we found that an 80% methanolic extract of the red alga Polysiphonia morrowii Harvey exhibits both anti-scuticociliate activity against Miamiensis avidus, which is a major causative agent of scuticociliatosis,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fish pathogenic bacteria. Activity-guided fractionation and isolation of the 80% methanolic extract of P. morrowii yielded three bromophenols, which were identified as 3-bromo-4,5-dihydroxybenzyl methyl ether (1), 3-bromo-4,5-dihydroxybenzaldehyde (2) and urceolatol (3) based on spectroscopic analyses. 3-bromo-4,5-dihydroxybenzyl methyl ether (1) showed the highest anti-bacterial and anti-scuticociliate activities, with a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62.5{\mu}g/mL$ (against Vibrio anguillarum) and minimal lethal concentration (MLC) of 62.5 ppm (in seawater). Investigations of the anti-bacterial and anti-scuticociliate activities of seventeen bromophenol derivatives, including the three isolated natural bromophenols, showed that the existence of an electron donating group or atom with a non-covalent electron pair at $C_4$ of the 2-bromophenol structure may be important in anti-scuticociliate activit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extract and bromophenol derivatives of P. morrowii may provide useful alternatives in aquaculture anti-scuticociliate therapies.

서해 태안반도 연안에서 오터트롤에 채집된 저서생물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 (Comparison of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Demersal Organisms Caught by Otter Trawl in the Coastal Waters off the Taean Peninsula, in the West Sea of Korea)

  • 정경숙;차병열;임양재;권대현;황학진;조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64-273
    • /
    • 2014
  • To investigate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demersal organisms in the coastal waters off the Taean peninsula, otter trawl surveys were conducted from April 2010 to January 2011. A total of 75 species were collected, including 44 species of Pisces, 19 species of Crustacea, 6 species of Cephalopoda, 4 species of Gastropoda, and 1 species each of Bivalvia and Echinoidea. The dominant species in each season were Palaemon gravieri in spring, Charybdis bimaculata in summer, Loligo japonica in autumn, and Crangon hakodatei in winter. The number of species, individuals and biomass were highest in autumn and lowest in winter. The diversity index was highest in summer and lowest in winter. The dominance index was highest in winter and lowest in summer. The richness index was highest in autumn and lowest in winter. The evenness index was highest in summer and lowest in autumn. A cluster analysis showed that demersal organism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spring and winter organisms (Group 1) and summer and autumn organisms (Group 2). We detect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05) between these groups, mainly owing to Platycephalus indicus, Repomucenus koreanus, and Paralichthys olivaceus within Pisces: Trachysalambria curvirostris, Metapenaeopsis dalei, P. gravieri, and C. hakodatei within Crustacea: and L. japonica within Cephalopoda.

넙치 간에 있어 가수분해 효소의 부분정제 및 특성규명 (Partial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hosphatidylcholine hydrolyzing enzyme from liver membrane of flounder , Paralichtys olivervaceus)

  • 이상환;서정수;김나영;엄혜경;위효진;박성일;정준기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31-137
    • /
    • 2004
  • 본 실험은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간으로부터 membrane부분에 존재하는 PC 가수분해 효소의 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먼저 간 조직을 초고속 원심 분리기와 nonion-detergent인 1% triton X - 100을 이용하여 membrane 부분을 분리하였으며, Heprain-Sepharose CL-6B 칼럼과 Heparin-5PW 칼럼을 이용하여 분리정제 하였다. 얻어진 PC 가수분해효소에 대한 반응 ․ 생성물을 확인하기 위해 autoradiography를 실시하였다. 지용성 부분의 결과에서 transphosphatidylation 반응의 결과물인 PEtOH을 형성하는 것으로 보아 PC-PLD임을 알 수 있었다. 얻어진 PC 가수분해효소에 대한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적정 pH가 6.5이하인 산성 조건 및 $37^\circ{C}$의 배양온도에서 최고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가 이온들에 대한 영향의 경우 칼슘은 1.67mM 농도에서 최고 활성을 나타냈으나, 마그네슘은 활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각종 세포막 기질에 대한 영향을 조사한 결과 PC는 $0.75\mu{M}$, PIP2는 $2.35\mu{M}$, PE는 $26.8\mu{M}$ 농도에서 최고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부터 넙치 간조직의 막층부분에 존재하는 PC를 가수분해효소는 PC-PLD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Molecular divergence of the fish somatomedins: the single family of insulin­like growth factor (IGF)-I and -II from the teleost, flounder

  • Kim Dong Soo;Kim Young Tae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권2호
    • /
    • pp.227-231
    • /
    • 1998
  • The teleosts represent ancient real-bony vertebrates in phylogeny and resemble major genetic patterns to higher vertebrates. In the present study, we have defined the single family of insulin-like growth factors (IGFs) from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compared to the prototype of IGFs observed in the Agnathan hagfish. In flounder, IGFs are clearly diverged into two major types including type I and II, and they are structurally similar by displaying a multidomain structure consisting of five functional regions as previously found in other vertebrates. However, flIGF-I appears to be more basic (pI 8.03) than the flIGF-II (pI 5.34) in the fully processed form for the B to D domain region. The flIGF-I seems to contain an evolutionary conserved Asn-linked glycosylation in E domain, which is not found in flIGF­II. The most interesting feature is that flIGF-II appeared to be structurally close to hagfish IGF in secondary structures, particularly in Band D domains. This could tell us an idea on the molecular divergence of IGFs from the Agnatha to teleosts during the vertebrate phylogeny. It also support, in part, a notion regarding on how IGF-II is appeared as more embryonic during development. Nonetheless, the biologically active B to D domain region of flIGF-II shows significant sequence homology of $65.6\%$ to flIGF-Is and contains the evolutionary conserved insulin-family signature, as well as a reserved recognition site (Lys) in D domain, necessary to generate proteolytic cleavage for E-peptide. A significant structural difference was found in E domain in which flIGF-I possesses two potential alternative splicing donor site at $Val^{17,\;24}$ of E domain. Therefore, it seems so far that IGF-I sorely produces spliced variants due to the spliced E-peptide moiety while IGF-II appears to be maintained in a single type during evolution. IGF-II, however, may be also possible to transcribe unidentified variants, depending on the physiological conditions of tissues in vertebrates in vivo.

  • PDF

Growth of flounder larvae, Paralichthys olivaceus using enriched rotifer fed with artificial microparticle diets

  • Cho, Kyung-Jin;Kim, Mi-Ryung;Park, Heum-Gi;Lim, Young Soo;Ra, Chae Hun;Kim, Sung-Koo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23-130
    • /
    • 2014
  • Three types of artificial microparticle diets were developed for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 enrichment. The efficacies of enrichment with the artificial diets were evaluated and compared to those with commercial enrichment diets on the growth and survival of flounder larvae. Total lipid content was highest in the rotifer enriched with oil capsule (40.5% in dry weight). The n-3 highly unsaturated fatty acid (n-3 HUFA) content was also highest in the rotifer fed with oil capsule (7.08% in dry weight). The flounder larvae fed on the rotifer enriched with oil capsule showed the highest growth compared to those fed on any other enriched rotifer (P<0.05). The survival ratio of flounder larvae fed on the rotifers enriched with oil capsule and emulsion oil were higher than those fed on any other enriched rotifer (P<0.05). From the feeding study, the growth and survival of flounder larvae were enhanced by feeding rotifer enriched with oil capsule compared to rotifer enriched with any other diets. The rotifer fed on oil capsule containing high contents of n-3 HUFA. Therefore,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growth and survival of flounder larvae and the n-3 HUFA content of rotifer could be obtained.

주요 양식 어류의 혈액 성분에 관한 연구 (Study of Serum Constituents in Several Species of Cultured Fish)

  • 전중균;김병기;박용주;허형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23-130
    • /
    • 1995
  • 우리나라에서 많이 양식하고 있는 주요 어종의 혈액 성분에 관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저수온기(수온 $127^{\circ}C$)에 월동중인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 농어 (Lateolarax japonicus),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돌돔(Oplegnathus fasciatus)과 함께 냉수성 어종인 은연어(Oncorhynchus kisutch)를 각 5-6마리씩 마취시키지 않은 상태로 꼬리 동맥에서 채혈하여 혈청 중의 총단백질(TP), 알부민(ALB),중성 지방(TG), 콜레스테롤(CHOL), 포도당(GLC), 리파제(LIPA), 나트륨(Na), 칼륨(K), 염소(Cl), 인(P), 아미노산전이효소(ALT, AST) 등을 혈액분석기로 분석하였다. TP 농도는 2.9-5.1g/dl의 수준이었으며, ALB 농도는 1.2-l.9g/dl의 수준이었다. A/G 비는 은연어가 1.1 정도로 가장 높았고 나머지는 0.5-0.6 정도로 비슷하였다. 지질 성분인 TG와 CHOL 농도도 어종에 따라 달라, 넙치는 TG 농도가 큰 대신에 CHOL 농도가 낮았으며, 농어는 반대로 TG농도가 낮은 대신에 CHOL 농도가 높았다. 두 지질 성분의 합은 넙치가 가장 많아 600mg/dl나 되었고, 농어나 조피볼락(약 400mg/dl), 돌돔이나 은연어(약 300mg/d1)의 순이었다. 혈당(GLC) 농도는 냉수성 어종인 은연어가 넙치에 비해 약 4배 가량 많아 61-76mg/dl이나 되었다. 한편 리파제(LIPA) 활성은 TG 농도와 정반대의 경향을 보여 은연어에서 가장 높았고, 넙치에서는 거의 확인되지 않았다. 무기질 중에서 Na, Cl과 K 농도는 160-204mmo1/l, 137-183mmol/l과 0.5-3.1mmol/l로 유사한 수준이었으나, P농도는 은연어나 조피볼락처럼 비교적 활동성이 강한 어종일수록 많았다. ALT 활성은 넙치가 가장 높았고, AST 활성은 은연어가 높았으며, AST 활성은 모든 어종에서 ALT 활성보다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