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 insularus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6초

국내 유입 외래 연체동물 (Introduced Molluscan species to Korea)

  • 이준상;이용석;민덕기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5-49
    • /
    • 2010
  • Up until now, we have identified 17 exotic species of Mollusca in Korea. These include Achatina (Lissachatina) fulica, Limax flavus, Limax marginatus, Deroceras reticulatum, Hawaiia minuscula, Zonitoides yessoensis, Zonitoides arboreus, Physa acuta, Pomacea canaliculata, Pomacea insularus, Crepidula (Crepidula) onyx, Mytilus galloprovincialis, Xenotrobus securis, Perna viridis, Argopecten irradians irradians, Pinctada fucata, and Pinctada margaritifera. Among them Achatina (Lissachatina) fulica, Pomacea canaliculata, Pomacea insularus, Argopecten irradians irradians, Pinctada fucata, and Pinctada margaritifera were intentionally introduced, whereas remainings were unintentionally introduced into Korean fauna. These foreign species can be divided into three groups on the basis of their habitats: A. fulica, L. flavus, L. marginatus, D. reticulatum, H. minuscula, Z. yessoensis, and Z. arboreus in terrestrial habitat; P. acuta, P. canaliculata, and P. insularus in fresh water; and C. onyx, M. galloprovincialis, L. fortuneikikuchii, P. viridis, A. irradiansirradians, P. fucata, and P. margaritifera in sea water. Taxanomically, 11 species belong to Gastropoda, whereas 6 species are classified to Bivalvia.

친환경농법용 외래 왕우렁이의 생태위해성 및 위해성 관리의 필요성 (Ecological Risk of Alien Apple Snails Used in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e and the Urgent Need for Its Risk Management in Korea)

  • 방상원;조미경
    • 환경생물
    • /
    • 제26권3호
    • /
    • pp.129-137
    • /
    • 2008
  • 국내에서 친환경농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왕우렁이는 본래 외국으로부터 들여온 외래종으로 국내의 토종 우렁이와는 다른 종이다. 왕우렁이농법은 논에서 지속적이고 높은 제초효과와 그에 따른 제초제 사용의 감소 및 비용의 절감으로 인하여 국내에서 많이 사용되는 친환경농법의 하나이다. 특히 최근 2008년도 3월에서 5월까지 조류독감의 전국적인 발생으로 인하여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오리농법의 사용을 자제하는 대신에 이를 대체할 농법으로 왕우렁이농법을 권장함으로써 왕우렁이의 사용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외래왕우렁이는 토종 우렁이와는 달리 알을 낳아 산란하기 때문에 대량증식이 용이하고 우화율도 95.8%로 높아 잠재적 해충으로써의 가능성이 높다. 이와 더불어 일본과 대만 그리고 동남아시아의 국가들에서는 이미 외래 왕우렁이로 인한 생태계 및 농업의 피해가 보고된 바 있고, 국제자연보전연맹은 왕우렁이를 "세계 100대 최악의 침입외래종"으로 지정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친환경농법으로 외래 왕우렁이를 수입 사용하면서 상대적으로 따뜻한 겨울기온을 보이는 전남, 전북, 경남, 경북, 충남, 강원의 일부지역에서 왕우렁이가 자연생태계로 유출되어 월동하거나 서식하는 것이 발견되고 있어 타 국가에서와 같이 외래 왕우렁이에 의한 생태계 피해가 우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최근 농림기관과 왕우렁이 농업 관련 단체들은 왕우렁이농법의 친환경적 이점과 최근 일부지역에 대해 실시된 월동조사에서 월동이 불가능하였던 연구결과를 내세워 왕우렁이에 대한 생태계 교란야생동 식물종으로의 지정을 반대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는 국내 외에서 외래 왕우렁이에 의한 생태 및 농업적 위해성을 분석하고, 국내의 여건 변화에 따른 왕우렁이의 생태위해성을 제시하여, 왕우렁이에 대한 위해성 판단이 명확해 질 때까지 왕우렁이의 합리적인 사용과 함께 국가차윈의 과학적인 생태위해성 관리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