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28초

한국 전통 간장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 이상기;정윤화;임성빈;유성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9호
    • /
    • pp.1399-140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전국 17지역에서 생산한 한국 전통 간장의 이화학적 분석, 색도 및 갈색도, 총 질소 및 아미노태 질소, 총 폴리페놀의 함량, protease 활성과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고, 이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pH는 4.34~5.37, 염도는 16.77~34.71%, 환원당은 3.00~32.04 mg/mL, 총 고형분 함량은 19.95~36.86%,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23.10~41.70oBrix의 범위를 보였다. 총 질소 함량은 무주(JMJ) 간장이 12.60%로 가장 높았고, 평창(GPC) 간장이 2.23%로 가장 낮았다. 아미노태 질소는 JMJ 간장에서 139.30mg%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GPC 간장에서 28.23mg%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Protease 활성은 JMJ 간장에서 2.20 U/mL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고, GPC 간장에서 0.35 U/mL로 가장 낮은 활성을 나타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JMJ 간장에서 11.20 GAE mg/mL로 가장 많이 포함되었고, GPC 간장에서 2.37 GAE mg/mL로 가장 적게 포함되었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JMJ 간장에서 63.39%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고, GPC 간장에서 8.96%로 가장 낮은 활성을 보였다. FRAP는 JMJ 간장에서 2.41 AE mg/mL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고, GPC 간장에서 0.12 AE mg/mL로 가장 낮은 활성을 보였다. ORAC는 JMJ 간장에서 115.69 TE mg/mL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고, GPC 간장에서 8.42 TE mg/mL로 가장 낮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실험항목 간 상관관계를 본 결과 protease 활성이 총 폴리페놀 함량과 0.995로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였고, 총 폴리페놀 함량은 DPPH 라디칼 소거 활성과 0.973으로 상관성이 높았다.

오디 유산균 발효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Fermented Mulberry by Lactic Acid Bacteria)

  • 이대훈;홍주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02-20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오디 유산균 발효물의 식품산업에서의 다양한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생균수는 발효 24시간에서 가장 높은 8.31 log CFU/mL를 나타낸 다음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균이 감소하였으며, pH 및 산도 또한 각각 발효 24시간에서 유의적인 감소(pH 3.90) 및 증가(0.15%)를 나타내었다. 색도는 L값 및 a값이 오디 발효 후 감소하고 b값 및 ${\Delta}E$값은 증가하였다. 총 안토시아닌 함량은 오디 발효물에서 100 g당 171.40 mg으로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안토시아닌 조성에서도 cyanidin-3-glucoside 및 cyanidin-3-rutinoside가 각각 100 g당 61.39 mg 및 85.45 mg으로 증가하였다. 오디 발효물의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00 g당 10.75 g 및 5.02 g으로 발효 전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ORAC 또한 발효물에서 $292.94{\mu}M/g$으로 활성이 증가하였다. DPPH 및 superoxide radical 소거 활성에서는 오디 발효물에서 각각 17.40~58.21%, 32.63~87.34%로 무발효물보다 높은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다. FRAP 및 환원력에서도 오디 발효물의 활성이 $37.03{\sim}762.13{\mu}M$ 및 0.12~0.74를 나타내어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페놀성 화합물 및 안토시아닌 함량이 증가한 오디 유산균 발효물을 향후 기능성 식품 소재로 적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채소류 메탄올 추출물의 In Vitro와 Cell System에서의 항산화능 비교 (Comparison of Methanol Extracts from Vegetables on Antioxidative Effect under In Vitro and Cell System)

  • 이영아;김현영;조은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8호
    • /
    • pp.1151-1156
    • /
    • 2005
  • 채소류의 산화방지 지표로서 ORAC측정결과 산화방지 능력이 우수하다고 보고되어진 13가지 채소류를 선정하여 DPPH 라디칼 소거능을 관찰하고 이들의 phenol 함량을 분석한 결과, 비트, 가지, 케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은 총 phenol 함량 또한 높아 이들 사이의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알팔파 스프라우트(alfalfa sprout), 브로컬리, 시금치 등에서는 phenol 함량은 높은 것에 비해 DPPH 라디칼 소거능은 그다지 우수하지 못했다. 또한 세포모델에서 LLC-$PK_{1}$ 세포에 radical generator인 AAPH 처리를 함으로써 채소류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개선효과 살펴본 결과, 가지와 컬리플라워가 높은 세포 생존율을 보여 가장 우수한 산화적 스트레스 개선 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비트,당근 등의 산화적 스트레스 개선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지는 총 phenol 함량도 높을 뿐 아니라, DPPH 라디칼 소거능과 세포모델에서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개선효과도 뛰어나 우수한 항산화기능성을 지닌 채소류로 사료된다.

삼채의 잎, 인경, 뿌리의 총페놀 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능 (Total Phenolics, Total Flavonoids, and Antioxidant Capacity in the Leaves, Bulbs, and Roots of Allium hookeri)

  • 황정승;이봉한;안향설;정하람;김영은;이인일;이형재;김대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261-266
    • /
    • 2015
  • 삼채의 잎, 인경, 뿌리 세 부위를 물, 메탄올-물 혼합용매, 무수 메탄올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제조한 후, 총페놀 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능을 정량 분석하였다. 삼채의 부위별 총페놀 함량은 잎이 240.4-276.6 mg GAE/100 g FW, 인경이 65.5-82.8 mg GAE/100 g FW, 뿌리가 50.0-59.4 mg GAE/100 g FW를 보였다. 삼채의 부위별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잎에서 9.7-34.1 mg CE/100 g FW, 인경에서 5.0-16.7 mg CE/100 g FW, 뿌리에서는 4.4-15.3 mg CE/100 g FW로 나타났다. ABTS법, DPPH법, ORAC법을 통한 항산화능은 잎에서 각각 78.7-103.4, 24.4-59.0, 1,798.8-2,169.7 mg VCE/100 g FW, 인경에서는 35.8-51.1, 9.3-26.3, 415.3-611.7 mg VCE/100 g FW, 뿌리에서는 42.0-55.9, 12.8-24.4, 291.7-429.4 mg VCE/100 g FW을 보였다. 삼채 잎, 인경, 뿌리 중에서 잎이 가장 높은 총페놀 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능을 가졌다. 6가지 추출용매에서 60% (v/v) 메탄올-물 혼합용매에서 주로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항산화능은 총플라보노이드 함량보다 총페놀 함량과 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삼채가 높은 항산화능 공급할 수 있는 원료로서의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Pig Skin Gelatin Hydrolysates Attenuate Acetylcholine Esterase Activity and Scopolamine-induced Impairment of Memory and Learning Ability of Mice

  • Kim, Dongwook;Kim, Yuan H. Brad;Ham, Jun-Sang;Lee, Sung Ki;Jang, Aera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83-196
    • /
    • 2020
  • The protective effect of pig skin gelatin water extracts (PSW) and the low molecular weight hydrolysates of PSW generated via enzymatic hydrolysis with Flavourzyme® 1000L (LPSW) against scopolamine-induced impairment of cognitive function in mice was determined. Seventy male ICR mice weighing 20-25 g were randomly assigned to seven groups: Control (CON); scopolamine (SCO, 1 mg/kg B.W., intraperitoneally (i.p.); tetrahydroaminoacridine 10 [THA 10, tacrine; 10 mg/kg B.W. per oral (p.o.) with SCO (i.p.)]; PSW 10 (10 mg/kg B.W. (p.o.) with SCO (i.p.); PSW 40 (40 mg/kg B.W. (p.o.) with SCO (i.p.); LPSW 100 (100 mg/kg B.W. (p.o.) with SCO (i.p.); LPSW 400 (400 mg/kg B.W. (p.o.) with SCO (i.p.). All treatment groups, except CON, received scopolamine on the day of the experiment. The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f LPSW 400 at 1 mg/mL was 154.14 μM Trolox equivalent. Administration of PSW and LPSW for 15 week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on physical performance of mice. LPSW 400 significantly increased spontaneous alternation, reaching the level observed for THA and CON. The latency time of animals receiving LPSW 400 was higher than that of mice treated with SCO alone in the passive avoidance test, whereas it was shorter in the water maze test. LPSW 400 increased acetylcholine (ACh) content and decreased ACh esterase activity (p<0.05). LPSW 100 and LPSW 400 reduced monoamine oxidase-B activity.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LPSW at 400 mg/kg B.W. is a potentially strong antioxidant and contains novel components for the functional food industry.

더덕 부위별 세포벽 물질의 페놀성화합물과 항산화 활성 (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Cell Wall Materials from Deodeok (Codonopsis lanceolata))

  • 강윤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45-349
    • /
    • 2009
  • 더덕의 육질과 껍질의 부위별 세포벽 물질(CWM)로부터 uronic acid, 총 당, 비섬유성 중성당, 페놀성 화합물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더덕의 육질과 껍질의 uronic acid와 중성당의 비는 4, 6이었다. 총 당 함량은 육질과 껍질에서 각각 788.6, 824.9 ${mu}g/g$ CWM이었다. 주요 비섬유성 중성당은 galactose와 arabinose였다. 더덕 CWM으로부터 분석된 주요 페놀성 화합물은 vanillic acid, p-OH-benzaldehyde, vanillin, ferulic acid 및 8-O-4' diferulic acid 였다. 이들 중 p-OH-benzaldehyde, vanillin, 8-O-4' diferulic acid는 더덕에서 처음으로 동정된 것으로 인삼의 세포벽 페놀성 화합물 조성과 유사하였다. 더덕의 껍질 AIR에 함유된 8-O-4' diferulic acid의 함량은 56.1 ${mu}g/g$ CWM이었다. 더덕의 CWM로부터 얻은 ethanol 분획, ethanol 분획의 ethanol-NaOH 분획, ethanol 분획 후 잔사로부터 얻은 AIR 분획의 항산화 활성의 크기는 ethanol-NaOH 분획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AIR 분획, ethanol 분획의 순으로 나타났다.

발아에 따른 콩류의 식후 혈당 상승 억제효능과 항산화 활성 (Enhancement of the Anti-hyperglycemic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Five Selected Beans by the Germination Process)

  • 조차영;최황용;조성훈;하경수;정지상;장해동;권영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46-252
    • /
    • 2012
  • After a mixed carbohydrate diet, inhibition of ${\alpha}$-amylase and ${\alpha}$-glucosidase involved in the digestion and absorption of carbohydrates can significantly decrease the postprandial increase of blood glucose level. In the course of screening these useful enzyme inhibitors, we selected five kinds of bean, using an in-vitro enzyme inhibition assay method. To evaluate the effect of germination process on the functionality of the bean, we investigated the inhibitory activities of the water extracts of non-germinated bean and germinated bean against ${\alpha}$-amylase and ${\alpha}$-glucosidase, relevant to postprandial hyperglycemia. We also investigated the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ORAC), total phenolics content, and postprandial blood glucose lowering effect in rats(Sprague-Dawley rat model). Most germinated bean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compared with non-germinated beans. Among germinated beans, Glycine max had the highest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53.3%). The water extract of germinated Phaseolus vulgaris L. had the highest ${\alpha}$-amylase inhibitory activity(95.1%), followed by Glycine max(58.7%), and Glycine max L. Merr(54.1%). Furthermore, the five germinated beans also showed high antioxidant activities in ORAC assay. Results suggested that the germination process may improve and enhance the anti-hyperglycemia potential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bean.

한약재 추출물의 항산화 및 사구체혈관간세포 증식 억제활성 탐색 (Screening of Traditional Medicines for Antioxidative and Anti-proliferative Effects on Rat Mesangial Cells)

  • 손은화;장선아;우한구;구현정;한효상;강세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652-657
    • /
    • 2013
  • 국내 유통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신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경동시장에서 구입한 63종의 한약재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 및 사구체혈관간 세포의 증식억제능 탐색 활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강진향, 고련피, 대풍자, 목향이 RMC 세포의 증식을 50% 이상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ORAC와 DPPH assay를 통한 항산화 활성을 확인한 결과 백단향, 백렴이 가장 우수한 ORAC 활성 효능을 보였으며, DPPH 라디칼 소거활성에서는 계혈등, 귀전우, 대풍자, 반대해, 백단향, 백렴이 우수한 효능을 나타냈다. 이 중 대풍자 추출물과 목향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과 사구체혈관간세포 증식억제능 모두 뛰어난 효능을 나타냈으나, 목향이 함유하고 있는 aristolochic acid는 임상적으로 신장에 독성을 일으켜 신장질환 치료제에서 제외되는 한약재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가장 뛰어난 효능을 보인 대풍자 추출물은 신장질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한약재 후보물질로서 분획별 항산화 활성과 유효성분 규명의 연구가 요구된다.

Antioxidant Effects of Spinach (Spinacia oleracea L.) Supplementation in Hyperlipidemic Rats

  • Ko, Sang-Heui;Park, Jae-Hee;Kim, So-Yun;Lee, Seon Woo;Chun, Soon-Sil;Park, Eunju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9권1호
    • /
    • pp.19-26
    • /
    • 2014
  • Increased consumption of fresh vegetables that are high in polyphenols has been associated with a reduced risk of oxidative stress-induced disease. The present study aimed to evaluate the antioxidant effects of spinach in vitro and in vivo in hyperlipidemic rats. For measurement of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spinach was subjected to hot water extraction (WE) or ethanol extraction (EE) and examined for total polyphenol content (TPC),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cellular antioxidant activity (CAA), and antigenotoxic activity. The in vivo antioxidant activity of spinach was assessed using blood and liver lipid profiles and antioxidant status in rats fed a high fat-cholesterol diet (HFCD) for 6 weeks. The TPC of WE and EE were shown as $1.5{\pm}0.0$ and $0.5{\pm}0.0mg$ GAE/g, respectively.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the extracts resulted in increased ORAC value, CAA, and antigenotoxic activity for all extracts tested. HFCD-fed rats displayed hyperlipidemia and increased oxidative stress, as indicated by a significant rise in blood and liver lipid profiles, an increase in plasma conjugated diene concentration, an increase in liver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level, and a significant decrease in manganese superoxide dismutase (Mn-SOD) activity compared with rats fed normal diet. However, administration of 5% spinach showed a beneficial effect in HFCD rats, as indicated by decreased liver TBARS level and DNA damage in leukocyte and increased plasma conjugated dienes and Mn-SOD activity. Thus,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pinach may be an effective way to ameliorate high fat and cholesterol diet-induced oxidative stress.

재래흑돼지고기의 냉동저장기간 동안의 품질 및 항산화 특성 변화 (Changes of Meat Quality and Antioxidation Activity in the Loin and Ham of Korean Native Black Pigs during Frozen Storage)

  • 길주애;김동욱;김희진;윤지열;박재인;박범영;함준상;장애라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7호
    • /
    • pp.740-747
    • /
    • 2015
  • 본 연구는 150일간 냉동저장기간 중 재래흑돼지 등심과 뒷다리살의 품질변화와 항산화 특성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pH 분석결과 등심의 경우 저장기간 동안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p<0.05), 뒷다리살은 일관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등심의 경우 L*값은 저장1일부터 120일 동안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뒷다리살의 경우 저장기간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a*값의 경우 등심과 뒷다리살 모두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b*값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보수력 지수는 등심의 경우 저장 1일 32.80%에서 30일에 유의적으로 감소하여(p<0.05) 저장 150일까지 26.42%로 유지됨을 나타내었다. 등심과 뒷다리살의 총균수는 각각 4.88, 5.16 Log CFU/g을 나타내었고, 저장 30일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냉동 저장 중 재래흑돼지 등심과 뒷다리살 각각의 2-thiobarbituric acid reaction substance 값은 0.057-0.069, 0.052-0.087 mg MDA/kg meat의 범위를 보였으나, 저장 150일까지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등심과 뒷다리살의 volatile basic nitrogen값은 각각 15.13-16.55, 16.05-16.23 mg%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등심과 뒷다리살의 항산화 활성인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과 carnosine함량을 분석한 결과 냉동저장 150일 동안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본 연구 결과, 재래흑돼지 등심과 뒷다리살의 냉동저장 중 식육의 품질은 다소 감소하는 경향은 있었지만 큰 변화는 없었다. 하지만, 항산화 활성과 항산화 기능을 갖는 di-peptide인 carnosine은 냉동저장 150일 동안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음을 나타내었다(p<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