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uter Space

검색결과 707건 처리시간 0.029초

Current Issues & Prospects of International Space Law

  • Zwaan, Tanja Masson
    • 항공우주정책ㆍ법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37-259
    • /
    • 2010
  • This paper first gives a brief overview of the history of space law making in the international geopolitical context and recalls some of the main principles as elaborated in the framework of the United Nations. Next, several topics are discussed that will require the attention of space lawyers in the near future. They are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space debris, exploitation of space resources, space tourism, private property rights in space, and militarization and weaponization of space. The paper raises some questions in each of these areas that need to be addressed and concludes that the general legal framework for space activities under public international law as contained in the UN treaties is in place, and is sufficiently general and flexible to enable and encourage states to carry out space activities in an orderly manner. However, as demonstrated by the examples discussed in the paper, the time has come for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agree on the further development of these general principles, starting perhaps with space debris, imminent 'new' uses of space such as space tourism, or some of the 'age old' issues such as the weaponisation of outer space that will continue to require our attention and vigilance. Whether such rules can be in the form of non binding guidelines, codes of conduct and the like, or should be embodied in solid legal instruments creating rights and obligations remains to be seen.

  • PDF

우주물체 발사국의 우주활동에 대한 책임과 우리나라 우주정책의 개선방향 (The Liability for Space Activity of Launching State of Space Object and Improvement of Korea's Space Policy)

  • 이강빈
    • 항공우주정책ㆍ법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95-347
    • /
    • 2013
  • 우리나라는 2009년 8월 및 2010년 10월에 전남 고흥군 외나로도의 나로우주센터에서 우리나라 최초 우주발사체인 나로호(KSLV-1)에 의해 과학위성이 우리의 자력으로 발사되었으나 두 차례 발사가 모두 실패로 돌아갔다. 마침내 2013년 1월 30일 나로우주센터에서 우주발사체 나로호가 3차로 발사되어 나로과학위성을 우주궤도에 진입시키는데 성공하였다. 금번 나로호 발사의 성공으로 우리나라는 미국, 러시아, 일본, 중국 등에 이어 11번째로 스페이스 클럽(Space Club)반열에 합류하게 되었다. 우주공간의 평화적 이용과 우주질서를 유지하기 위하여 유엔 결의에 따라 1967년 우주조약, 1968년 구조협정, 1972년 책임협약, 1976년 등록협약, 1979년 달 협정 등 우주관련 조약이 채택되었으며 우리나라는 달 협정을 제외한 4개 우주관련 조약에 가입되어 있다. 위와 같은 우주관련 조약에는 우주물체 발사국의 우주활동에 대한 국제책임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다. 특히 우주조약에는 우주활동에 대한 국가의 책임원칙을 규정하고 있는바, 동 조약에 의하면 본 조약의 당사국은 달과 천체를 포함한 외기권에 있어서 그 활동을 정부기관이 행한 경우나 비정부기관이 행한 경우를 막론하고 국가 활동에 관하여 그리고 본 조약에서 규정한 조항에 따라서 국가 활동을 보증함에 관하여 국제적 책임을 져야한다. 또한 달과 기타 천체를 포함한 외기권에 물체를 발사하거나 또는 그 물체를 발사하여 궤도에 진입케 한 본 조약의 각 당사국과 그 영역 또는 시설로부터 물체를 발사한 각 당사국은 지상, 공간 또는 달과 기타 천체를 포함한 외기권에 있는 이러한 물체 또는 동 물체의 구성부분에 의하여 본 조약의 다른 당사국 또는 그 자연인 또는 법인에게 가한 손해에 대하여 책임을 진다. 책임협약에 의하면 발사국은 자국 우주물체가 지구표면에 또는 비행중의 항공기에 끼친 손해에 대하여 배상을 지불할 절대적인 책임을 진다. 또한 발사국의 과실 책임, 연대책임, 손해배상액을 규정하고 있다. 세계 주요국은 상기 우주관련 조약의 준수 및 자국의 우주개발을 진흥하고 우주활동을 규제하기 위하여 국내 우주법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미국, 러시아, 일본 등 주요국의 우주관련 국내법에는 우주물체 발사국 정부의 책임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다. 우리나라 우주개발진흥법에서 정부의 책무로서 정부는 다른 국가 및 국제기구와 대한민국이 맺은 우주관련 조약을 지키며 우주공간의 평화적 이용을 도모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또한 우주물체의 국내등록 및 국제등록, 우주사고에 따른 손해배상책임 등을 규정하고 있다. 우리나라 우주손해배상법에서 정부는 우주손해가 발생한 경우에 피해자의 구조 및 피해의 확대 방지에 필요한 조치를 시행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또한 무과실책임 및 책임의 집중, 손해배상책임 한도액, 권리행사의 기간 등을 규정하고 있다. 주요국의 우주관련 국내입법으로는 미국의 국가항공우주법 및 상업우주발사법, 러시아의 우주활동법, 일본의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법 및 우주기본법 등이 있다. 우리나라가 우주물체 발사국으로서 우주관련 조약상 및 국내법상 우주물체 발사국 정부의 책임을 이행하고 우주강국의 위상을 정립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우주정책 및 법 제도는 다음과 같이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우주개발 및 우주활동 관련 법제의 정비이다. 이를 위해 우주개발 및 우주활동에 관한 정부정책 및 규제를 실사하기 위한 법제상의 조치 및 정비를 하고, 또한 유엔 COPUOS에서 채택된 우주의 평화적 탐사와 이용에 관한 국내입법시 고려 사항에 따라 법제 정비를 해야 할 것이다. 둘째, 우주손해배상책임제도의 개선이다. 이를 위해 우주물체의 공동발사 및 위탁발사의 경우 손해배상책임 및 구상권에 관한 규정을 신설하고, 또한 우주물체 발사자의 책임보험 가입의무를 보다 상세히 규정해야 할 것이다. 셋째, 우주환경 보전정책의 수립이다. 이를 위해 우주개발에 있어서 환경의 배려 및 보전정책을 강구하고, 또한 우주쓰레기 경감을 위한 규범을 채택해야 할 것이다. 넷째, 우주활동 관련 국제협력의 증진이다. 이를 위해 우주의 탐사와 이용에 있어 국가의 국제협력 의무를 준수해야하고, 또한 우주 국제협력을 통해 우주개발 역량을 확보하여 우주 선진국으로 진입해야 할 것이다.

  • PDF

UN 우주활동 장기 지속가능성(LTS) 가이드라인 채택의 의미 (The Significance of a U.N. Guideline for Long-Term Sustainability of Outer Space Activities)

  • 신상우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49-56
    • /
    • 2019
  • 최근 우주활동의 국제규범 형성에 있어서 가장 주목받은 것은 '우주활동 장기지속가능성(LTS) 가이드라인'이다. 2010년 UN COPUOS(유엔 외기권평화적이용위원회)에서 논의를 시작하여 2019년 6월 마침내 21개 지침이 채택되었다. 채택된 지침은 우주환경의 무기한 보전을 목적으로 우주잔해물을 포함한 궤도상 우주물체의 상황 관측능력을 증진 및 지원하기 위한 국제협력, 우주기상에 관한 유효한 데이터 및 예보 공유, 국제법에 합치한 각국의 우주정책 공표, 국내 제도를 개선해 정부가 우주활동을 적절히 감독하는 것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일부 지침은 우주잔해물 제거가 우주무기 실험과 분리가 곤란한 경우가 많아, 유효한 구별기준을 찾아내지 못하여 각국이 합의에 도달하지 못하였다. 향후 (초)소형위성군과 랑데부및 근접운용 계획 등이 가시화되고 있어 우주환경 보전에 대한 국가간 입장은 더욱 첨예해질 전망이다.

복식에 표현된 투명성의 공간적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Spatial Effect Transparency Expressed in Clothing)

  • 정연자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27-32
    • /
    • 2002
  • This study attempted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dress and architecture to investigate the spatial effect of transparency expressed in fashion. As a result,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First, the openness of the space. It means that the human body or the dress inside it can be seen through or the inside space is opened. The volume, form and color of the undergarment seen through this transparent outer garment brings about any change to design. Also, it can be found that the role of the space is further extended as the inside space is seen through outwardly due to the outer garment. Second, interpenetration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space. That the human body and the undergarment are seen through due to transparent dress brings about the linkage between spaces and opens the inside outwardly. Third, the briskness of the space. The trait of transparency that exposes the object behind outwardly as it is causes its form and space to be activated and conveys its spatial briskness.

  • PDF

이중외피 중공층의 열성능을 고려한 블라인드 위치 계획 (Planning the Blind Position Considering Thermal Performance in the Intermediate Space of Double-Skin Facade)

  • 최동희;조재훈;석호태;여명석;김광우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7권7호
    • /
    • pp.620-628
    • /
    • 2005
  • The blinds in the intermediate space are installed to block the direct solar radiation. As the blind divide the airflow of intermediate space into two, thermal performance of Double-Skin Facade (DSF) are affected by the blind position. Therefore blind position should be planed with careful consideration in order to maximize the thermal performance of DSF. In this study, CFD was peformed to analyze the effect of blind position in multistory-type DSF in variation of other DSF elements. The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case with narrow depth of intermediate space and outlet on upper side of outer-facade, it is profitable to place blin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outer-facade. In the other cases, the blind should maintain 0.15 m distance from outer-facade.

Planning of the Blind Position Considering Thermal Performance in the Intermediate Space of Double-Skin Facade

  • Choi Dong-Hee;Jo Jae-Hun;Seok Ho-Tae;Yeo Myoung-Souk;Kim Kwang-Woo
    • International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 /
    • 제14권2호
    • /
    • pp.57-65
    • /
    • 2006
  • The blinds in the intermediate space are installed to block the direct solar radiation. As the blind divides the airflow of intermediate space into two parts, thermal performance of Double-Skin Facade(DSF) is affected by the blind position. Therefore the blind position should be planned with careful consideration in order to maximize the thermal performance of DSF. In this study, CFD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effect of blind position in multistory-type DSF in variation of other DSF elements. The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case with narrow depth of intermediate space and outlet on upper side of outer-facade, it is profitable to place blin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outer facade. In the other cases, the blind should maintain 0.15m distance from outer facade.

상주지방의 고주택 정원양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ditional Garden Style of Sang Ju Districts in Korea)

  • 박영달;신영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62-75
    • /
    • 1992
  • To investigate the traditiional gaden style of Sang ju Districts, 5 renown houses of noble family in Lee Dynasty were chosen to surey the environmental landscape and characteristics inner and outer space. 1. Traditional houses were located in natural environments based on topography(pung su-ji ri : forming philosophy of Taoism Buddbism and Korean native Sharmanism) which were reflected the 5 Elements of positive and Negative(Yin and Yang 5 Elements) 2. The formation of space is made of oblong by fence arrangement of dwelling housos has An Chae and Sa Rang Chae, and inner court of Anchae has style of oblong, and outer court of Sa Rang Chae has style of sililar oblong. Inner court is closed and outer is half opened. 3. Flow planning is straight and blique line because arrangement of dwelling houses is formed by theory of Dong-Suh Sa Taek(東西四宅), the flowing is complicated and connected from gate to room of An Chae. 4. Character of garden have simple neat whereas vegetable yard, green shade tree, and fruit trees have. Houses were built with their natural environments and streams in order to borrow landscaping in Sa Rang Chae. Specially they were not built pond. 5. Houses has one or two vegetable yard along inner and outer space and are seen as mixed planting more deciduous trees than evergreen trees.

  • PDF

자국위성(自國衛星)의 파괴(破壞)에 따른 우주잔해의 증가와 우주조약위반(宇宙條約違反) 여부에 관한 소고(小考) - 중국의 자국위성파괴와 관련하여 - (A Study on the increase of space debris from Chinese Anti-Satellite and breach of the Outer Space Treaty)

  • 김선이
    • 항공우주정책ㆍ법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59-294
    • /
    • 2013
  • 중국은 2007년 자국의 위성을 폭파하는 실험을 하고, 신문이나 텔레비전 등에서 크게 보도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세계 각국에서의 비판이 있었고, 이 문제에 관한 관심이 지대하였다. 그 내용을 보면, 우주에서 군비확장에 박차를 가한다는 것이나, 우주의 안전한 이용을 저해한다는 관점에서의 비판이 많았다. 대량의 우주 쓰레기를 생성하는 것이 된 이 중국의 자국위성 폭파실험행위는 국제법, 특히 우주조약에 위반했는지 여부에 관하여 논한 것은 별로 없었다. 우주잔해는 중대한 문제라고 주장되고 있는 데도 불구하고, 여전히 그 양은 증가를 계속하고 있다. 이대로 우주물체의 발사를 계속해 간다면, 우주공간의 이용 자체가 크게 저해되어 버리는 경우가 현실화 될 수 있다. 더구나 우주공간의 상업적 이용이 향후 더욱 더 행해지고 있기 때문에, 이 문제는 더욱 중요성을 더해 갈 것이다. 이러한 위험성을 충분히 이해하고 국제사회가 협력해서 우주 쓰레기의 저감에 대처하고 있다. 일찌기 미국이나 소련도 ASAT(Anti-Satelite)실험을 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에 대해서, 군사적 측면을 포함해서 우주조약에 위반한 행위라는 항의는 보이지 않았고, 중국의 이번 실험도 동일하게 위법이 아니라고 하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라고 생각된다. 현재는 당시에 비해서 우주 쓰레기에 관한 연구도 비약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위험성이 충분히 인지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대량의 우주 쓰레기를 발생시키는 것이 되어버린 중국의 자국위성 폭파실험행위를 종래의 해석으로 단순하게 위법이 아니라고 정리해 버리는 것에 대하여 약간의 저항도 있다. 본고는 지난 중국에 의한 자국위성 폭파실험이 국제우주법을 위반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대한 재검토를 시도해 보고자 한다. 본고의 구성은 먼저 사건의 개요를 확인한 다음 이번 실험은 "달, 기타의 천체를 포함하는 우주공간의 탐사 및 이용에 있어서의 국가 활동을 규율하는 원칙에 관한 조약"에 위반하고 있는 것인지 여부에 대한 검토를 하고자 한다. 또한 실험 후에 개최된 유엔과학기술소위원회원회에서 우주잔해의 저감에 관한 가이드 라인이 유엔에서 처음으로 채택되었는 바 그 특징이나 향후의 과제에 대해서도 검토 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