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titis

검색결과 254건 처리시간 0.032초

만성 중이염의 수술시 소견에 대한 임상통계적 관찰 (CLINICOSTATISTICAL ANALYSIS OF SURGICAL FINDINGS IN CHRONIC OTITIS MEDIA)

  • 최덕주;전병훈;민원식;함태영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7년도 제21차 학술대회 연제순서 및 초록
    • /
    • pp.6-6
    • /
    • 1987
  • 만성중이염은 현재 그 빈도가 줄어드는 추세에 있으나 아직도 이과 영역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질환이다. 또한 청력개선, 정상구조의 보존, 병변 제거의 목적을 위하여 대부분 수술적 요법이 필요하게 된다. 이에 저자들은 본 병원에서 시행한 만성 중이염 451예, 남자 238예, 여자 213예. 진주종성 중이염 170예, 비진주종성 중이염 273예에 대한 수술시 소견에 대한 임상 통계적 관찰을 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관찰대상을 술식별로 분류하면 진주종성 중이염과 비진주종성 중이염의 비가 $\circled1$ Myningoplasty ; 19.1% : 0%, $\circled2$ Tympanoplasty without mastoidectomy ; 34.5% : 14.4%, $\circled3$ Tympanoplasty with mastoidectomy ; 3.0% :12.1% 이었다. 2) 고막천공부위는, 진주종성 중이염과 비진주종성 중이염의 비가 변연부천공이 10.1% : 5.5%, 상고실천공이 38.8% : 1.4%, 중심부천증이 12.9% : 47.3%, 전천공이 32.5% : 39.6%, 고막유착이 5.6% : 6.2% 을 보였다. 3) 이소골의 상태는 진주종성중이염과 비진주종성 중이염의 비가, 모든 이소골의 손실은 26.6% : 4.3%, 모든 이소골이 정상에 가까운 예는 16.6% : 69.3%, 가장 병변이 심했던 침골 이상은 76.9% : 24.8% 를 보였다. 4) 중이강 점막소견은 진주종성 중이염과 비진주종성 중이염의 비가, 정상에 가까운 예가 16.7% : 47.0%, 병적 소견을 보인 예가 83.3% : 53.0% 이었다. 5) 진주종성 중이염과, 비진주종성 중이염에서의 안면신경관노출은 2.2% : 0.3%, 뇌막노출은 9.5% : 2.9%, 횡정맥동노출은 5.0% : 1.1%, 미로누공은 1.7% : 0% 이었다.lant, engineering service business can be said "The Software of Total Industry." Engineering service is what is called a higher business which offers specialized engineering know-how and experience. Engineering service compaines offer Its specialized knowledge and experience to government, industry and commerce. Whether the task is to modernize plant equipment, to design a building or to manage construction, an engineering company will develop and implement the most appropriate and cost effective solution. Clients use the engineering service of firm knowing that the engineer′s professional judgement is not influenced or biased by other commercial affiliations. While benefiting from the diverse experience that professional engineers can apply to a specific problem, government and industry also reduce the need for permanent in-house engineering staff. Engineering firms may be specialized or multi-disciplinary.도말표본에서와 같이 제 14 일 이전에는 호중구가, 그 이후에는 단핵구가 주종을 이루었다.>18.9dB

  • PDF

荊芥連翹湯加味가 알레르기性 鼻炎에 미치는 效能에 대한 臨床報告 (Clinical Study on 340 Cases of Allergic rhinitis)

  • 송영림;김희택;노석선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63-176
    • /
    • 1995
  • The cilinical study was done in 340 patients with allergic rhinitis who had been dosed with HYUNG GAE YUN GYO TANG GAMI.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Distridution by Sex and Age $64\%\;of\;them\;were\;man,\;and\;36\%$ of them were women(It was common to men than to women) Of those who were attacted(very diverse), $25.0\%$ of them were between 10 and 19 years of age(most frequent), $23.8\%$ were between 30 and 39, $18.2\%$ between 20 and 29, $14.1\%$ between birth and 9, $12.6\%$ between 40 and 49, and $6.2\%$ of them were 50 years and over. 2. Duration $47.6\%$ of them suffered from this disease for 1 to 5 years, $13.8\%$ for 10 years or longer, $24.1\%$ for both 5 to 10 years and $7.4\%$ for 6 months to 1 years, and $6.5\%$ shorter than 6 months. 3. Symptom that appeared to them were nasal obstruction($91.5\%$,top), sneezing($90\%$), rhinorrhagir($77.4\%$), headache ($30.9\%$), itch($26.8\%$), nasal discharge through gullet($15.3\%$), and pharyngitis($15.3\%$). 4. Other diseases that occured with it were sinusitis(most often), Atopic keratoconjunctivitis, allergic dermatitis, asthma, otitis media, tonsillitis, hepertropic rhinitis, nasal polyp, and atropic rhinitis(most unusual). 5. Time and Improvement After 6 months 2 cases($20\%$) were improved excellently, 3 cases($30\%$) considerablely, after 6 months to 1 year 5 case($38.5\%$) considerably, after 1 year to 5 year 10 cases($13\%$) excellently, 20 cases ($26\%$) considerably, after 5 year to 10 years 4 cases($8.7\%$) excellently, 13 cases($28.3\%$) considerable, and after 10 years 2 cases($10\%$) improved excellently, 2 cases($10\%$) considerab. 6. Dosage and Improvemont With 10 papers 6 cases($7.8\%$) were improved excellently, 22 cases($27.8\%$) considerably, with 20 papers 4 cases($10.3\%$) were improved excellently, 6 cases($15.4\%$) considerably, with 30 papers 3 cases($15.8\%$) excellently, 2 ($10.5\%$) considerably, with 40 papers 3 cases($23.1\%$) excellently, 5($38.5\%$) considerably, with 50 papers 1 cases($10\%$) excellently, 4($40\%$) considerably, with 60and 70 papers one cases($33.3\%,\;100\%$) for each was improved considerable, with 80 papers 1 cases($100\%$) excellently, and 90 papers 2 cases($66.6\%$) considerable. 7. Improvement with additional outward application With external application 8 cases($16.6\%$) were improved excellently, 9 cases($18.7\%$) considerably without external application 10 cases($8.4\%$) were improved excellently, 34 cases($28.8\%$) considerably. 8. General Improvement 18 cases($10.8\%$) were improved excellently, 43 cases($25.9\%$) improved considerably, and 40 cases($24.0\%$) improved quite a little.thus has improvement shown in 60.8 per cent of case, and proved its efficacy.

  • PDF

서울 지역 소아의 구인강에서 폐구균 보균율과 항균제 내성 (Oropharyngeal Carriage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of S. pneumoniae in Children of Seoul)

  • 김영기;이창규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4권2호
    • /
    • pp.218-224
    • /
    • 1997
  • 목 적 : 전 세계적으로 폐구균의 항균제 내성이 증가하고 있고, 우리 나라의 경우 그 어느 나라보다 급속한 폐구균 내성의 증가가 보고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도에 정착되어 있던 폐구균은 부비동염, 중이염, 수막염, 폐렴들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저자들은 정상 소아의 구인강에서 폐구균의 보균율을 알아보고 이들의 항균제 내성양상과 DNA분자 형별을 조사하였다. 방 법 : 1997년 4월 서울 한 유치원의 어린이 117명에서 구인강 점막을 면봉으로 도말하여 검체를 얻었다. 이들을 배양후 optochin검사와 capsule에 대한 다가항체를 이용하여 Latex 방법으로 폐구균을 동정하였고, 디스크확산법으로 페니실린, vancomycin, erythromycin, TMP-SMZ에 대한 감수 검사를 시행하였다. 분리된 폐구균에 대하여 액체배지 미량 희석법을 이용하여 페니실린의 MIC값을 구하였다. 또 분리된 폐구균들에 대하여 REP1R-Dt와 REP2-Dt primer를 사용한 rep-PCR법으로 DNA 분자 형별을 시행하였다. 결 과 : 서울지역의 유치원에서 폐구균 보유율은 38%(45/117)였고, 디스크 확산법에 의한 페니실린 내성 폐구균의 비율은 89%(40/45)였고, erythromycin은 91%, TMP/SMZ은 63%였고 vancomycin에는 모두 감수성을 보였다. 그리고 페니실린에 고도 내성균주는 21예로 전체의 47%를 차지하였고 다제내성 폐구균은 64%였다. DNA 분자형은 7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고, 이중 3가지 유형이 전체의 78%를 차지하였다. 결 론 : 서울 지역의 건강한 유치원 어린이들이 보유하고 있는 폐구균의 항균제 내성이 예상보다 훨씬 높았고, 이는 이들 어린이들이 빈번한 항균제 노출과 유치원의 밀집환경의 때문이라 추정된다.

  • PDF

소아 Mycoplasma Pneumoniae 폐렴의 임상적 고찰 (A Clinical Study of Mycoplasma Pneumoniae Pneumonia)

  • 강미화;전진곤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6권1호
    • /
    • pp.21-29
    • /
    • 1989
  • 1986년 3월부터 1989년 2월까지 영남대학병원 소아과에 폐렴으로 진단받고 입원한 315명 중 M. pneumoniae에 의한 폐렴으로 진단된 환아 71명을 대상으로 임상적 고찰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M. pneumoniae에 의한 폐렴은 전체 폐렴 환아중 22.5%에 해당하였으며, 그 중 5-9세 사이가 31.7%로 가장 많았다. 또한 M. pneumoniae에 의한 폐렴의 연령별로는 5-9세 사이가 53.5%로 가장 많았다. 2. 월별 분포는 10월에서 1월 사이가 59.2%로 늦가을 및 겨울에 높은 발생빈도를 보였다. 3. 성별 발생빈도는 1.3대 1로 남아에서 다소 높았다. 4. 임상 증상으로는 기침이 98.6%로 가장 많았으며 발열 49.3%, 콧물 19.7% 동의 빈도를 보였으며 입원전 기침을 한 기간은 개개 21주 이내였다. 5. 이학적 소견으로는 수포음이 95.7%로 가장 많았으며 인후발적이 43.7%, 천명음이 18.3%에서 나타났다. 6. 혈액 검사상 백혈구 수는 47.9%에서 정상 범위였으며 혈구 침강 속도(57.7%) 및 CRP 양성(87.3%)이 많았다. 7. 방사선 소견상 간질성 폐렴과 소엽성 폐렴이 각각 45.5%, 39.4%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대엽성 폐렴이 15.5%였고, 늑막 삼출이 5.6%에서 나타났다. 8. 동반질환 또는 합병증으로는 중이염 4례(5.6%), 간염 3례(4.2%), 급성사구체 신염, 기관지 천식, 부비동염이 각각 2례(2.8%)에서 동반되었고 1례에서는 혈소판 감소증이 있었다.

  • PDF

$\ll$소문(素問).영추(靈樞)$\gg$에 나타난 이명(耳鳴)에 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Tinnitus of Huangdi's Internal Classic $\ll$황제내경(黃帝內經)$\gg$)

  • 변석미;탁명림;강나루;고우신;윤화정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24-252
    • /
    • 2010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innitus of Plain Questions $\ll$素問$\gg$ and Miraculous Pivot $\ll$靈樞$\gg$. Methods : We conducted a study on the original text paragraphs of Internal Classic $\ll$內經$\gg$ containing the tinnitus and analysis of Yang, Ma, Zhang, Wang etc. We drew a parallel between tinnitus from Internal Classic $\ll$內經$\gg$ and matching diagnoses from western medicine.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innitus in Plain Questions $\ll$素問$\gg$Tong Pyeong Heo Sil Ron <通評虛實論> was similar to the symptoms of diabetes mellitus complication and schizophreniform disorder in western medicine. 2. Liver fire tinnitus in Plain Questions $\ll$素問$\gg$ Yuk Won Jeong Gi Dae Ron <六元正紀大論> was similar to the symptoms of psychological distress in western medicine. 3. Phlegm fire tinnitus in Plain Questions $\ll$素問$\gg$ Ji Jin Yo Dae Ron <至眞要大論> was similar to the symptoms of meniere's disease and malfunction of autonomic nervous system in western medicine. 4. Blood deficiency tinnitus in Miraculous Pivot $\ll$靈樞$\gg$ Sa Gi Jang Bu Byeong Hyeong <邪氣藏府病形> was similar to the symptoms of anemia in western medicine. 5. Tinnitus in Miraculous Pivot $\ll$靈樞$\gg$ Gyeong Geun <經筋> was similar to the myofacial pain syndrome of the sternocleidomastoid muscle and the masseter muscle in western medicine. 6. Gallbladder deficiency tinnitus in Miraculous Pivot $\ll$靈樞$\gg$ Gwol Hyeong <厥病> was similar to the symptoms of otitis media and labyrinthitis in western medicine. 7. Kidney deficiency tinnitus in Miraculous Pivot $\ll$靈樞$\gg$ Gyeol Gi <決氣> and Hai Ron <海論> was similar to the symptoms of degenerative auditory organ in western medicine. 8. Tinnitus in Internal Classic $\ll$內經$\gg$ showed close relations with the symptoms of the wind character. Conclusion : We analyzed the original text paragraphs of Internal Classic $\ll$內經$\gg$ and explanations about tinnitu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compare oriental medicine and western medicine diagnoses to develop better treatments for tinnitus.

Epidural Abscess Caused by Eikenella corrodens in a Previously Healthy Child

  • Kim, Ye Kyung;Han, Mi Seon;Yang, Song I;Yun, Ki Wook;Han, Doo Hee;Kim, Jae Yoon;Choi, Eun Hwa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6권2호
    • /
    • pp.112-117
    • /
    • 2019
  • Eikenella corrodens는 구강 상재균으로 두경부 감염을 주로 일으키나 면역력이 정상인 소아청소년에게 감염을 일으키는 경우는 흔하지 않다. 저자들은 발열, 두통, 구토를 증상으로 입원한 이전까지 건강하였던 13세 남자에게서 E. corrodens 감염에 의한 중추신경계 경막 외 농양을 진단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초기에 시행한 신체검진에서 경부 강직은 없었으나, 우측 이루가 관찰되었다. 뇌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영상소견에서 4.5 cm 크기의 경막 외 농양이 우측 측두엽 부근에서 발견되었고, 양측 사골동염 및 접형동염, 우측 유양돌기염과 중이염이 동반되었다. Vancomycin과 cefotaxime 투약 중에도, 임상증상이 호전되지 않고 추적 MRI에서 경막 외 농양의 크기가 증가하고, 우측 접형동에 농양이 형성되어 항균요법과 함께 천두술과 내시경적 접형동 절개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시 경막 외 농양과 접형동에서 악취가 나는 고름이 다량 흡인되었으며 두 부위에서 흡인된 검체 모두에서 E. corrodens가 배양되었다. 수술 이후 3주 동안 cefotaxime 정맥주사로 치료받고 합병증 없이 회복하였다. 결론적으로, E. corrodens는 건강한 소아청소년에서 치료되지 않은 세균성 부비동염에 합병하여 중추신경계 농양의 원인이 될 수 있다.

The First Neonatal Case of Panton-Valentine Leukocidin-Positive Staphylococcus aureus Causing Severe Soft Tissue Infection in Korea

  • You Hoon Kim;Seung Hyun Shin;Hyeri Seok;Dae Won Park;Young Hwan Park;Yoonsun Yoon;Yun-Kyung Kim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30권3호
    • /
    • pp.152-158
    • /
    • 2023
  • 황색 포도알균은 흔한 피부 및 연조직 감염의 원인이며, panton-valentine leukocidin (PVL) toxin 생산 황색 포도알균은 전 세계적으로 발견되고 있으며 심각한 감염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PVL 양성 황색 포도알균으로 인한 신생아 감염은 매우 드물다. 저자들은 생후 7일 신생아에서 발견된 PVL 양성 황색 포도알균 감염으로 인한 심한 피부, 연조직 감염 사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환자는 당일 발생한 발열, 2일 전 시작된 둔부 열감, 부종, 압통으로 응급실로 내원하였다. 내원 당일, 발열, 빈맥, 전신 컨디션 저하, 둔부의 열감과 압통 진행이 확인되었다. 초음파 및 자기공명영상검사에서 피부 및 연조직, 일부 근육을 침범한 괴사성 근막염이 확인되었다. 둔부 병변에서 배농한 검체에서 PVL 양성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알균 (MRSA)이 배양되었고, 균혈증은 없었다. 환자는 한달 간의 정맥 항생제 투여와 외과적 배액 수술 후 회복되었다. 퇴원 한달 후, 환자는 외이도염으로 재입원, 피부에서 동일한 MRSA가 확인되었다. 병변은 정맥 항생제 투여 및 소독만으로 호전되었다. 환자는 0.5% 클로르헥시딘 목욕을 통해 탈집락화(decolonization)를 시행하였고, 회복 후 재감염은 없었다. 본 사례는 PVL 생산 황색 포도알균 감염에 대해 적극적인 배액 수술 및 항생제 치료가 필수적이며, 재발 및 지역사회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추가적인 탈집락화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지역사회 획득 메치실린 내성 포도알균에 의한 포도알균 열상 피부 증후군의 임상적 고찰 (A clinical review of community acquired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al scalded skin syndrome)

  • 허순영;송윤정;김성준;박선영;강두철;마상혁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4권1호
    • /
    • pp.83-90
    • /
    • 2007
  • 목 적 : 포도알균 열상 피부 증후군(Staphylococcal Scalded Skin Syndrome)은 포도알균의 피부박탈성 독소에 의하여 전신성 수포와 낙설을 일으키는 포도알균의 피부 감염증의 한 형태이다. 환자들의 임상양상과 치료의 결과, 합병증 등을 알고 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2년 2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특징적인 피부병변을 보여 포도알균 열상 피부 증후군으로 진단된 53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고 임상형을 전신형, 중간형, 부전형 등으로 분류하고 2003년 9월이후 부터 발생한 환자의 비강 내 검체를 이용하여 원인 균 및 독소를 규명하였다. 결 과 : 1) 연구기간 동안 4S로 진단되어 치료한 환자는 총 53명이었다. 발병연령은 생후 20일부터 7세까지 분포하였으며, 평균연령은 2.8세였다. 성별은 남자가 35명이었고 여자는 18명으로 남여 성비는 1.9:1이었다. 2) 임상적인 유형은 전신형이 6례(11%), 중간형이 29례(55%), 부전형이 18례(34%)로 중간형이 가장 많았다. 대부분의 환자에서 혈액 검사 상 백혈구 증다증이나 C반응단백의 증가는 없었다. 3) 2003년 9월 이후에 15명 환자의 비강에서 얻은 검체 중 14명의 환자에서 얻은 검체에서 포도알균을 분리하였고 피부박탈성 독소는 독소 B의 유전자를 확인하였고 Panton-Valentine leukocidin의 유전자는 음성으로 나왔다. 4) 입원하여 치료받은 환자의 경우 평균 입원 기간은 7.3일이었으며 사용한 항생제는 amoxacillin/clavulanate, ampicillin/sulbactam, cefuroxime, vancomycin 등이었다. 모든 환자에서 전신적인 낙설이 나타났으며 임상형이나 사용한 항생제 종류에 관계없이 모든 환자가 특별한 합병증이 없이 회복이 되었다. 결 론 : 창원과 인근 지역에서 단기간 내에 지역사회 획득 메치실린 내성 포도알균감염으로 인한 다수의 4S 환자가 연속적으로 발생하였으며 원인은 피부박탈성 독소 B이었다.

  • PDF

영유아의 보육시설 이용과 감염성 질환 실태 연구 (A Nationwide Survey on the Child Day Care and Common Infectious Diseases)

  • 안종균;최성열;김동수;김기환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9권1호
    • /
    • pp.19-27
    • /
    • 2012
  • 목 적 : 최근 부모들의 맞벌이, 조기 교육 등의 이유로 이른 나이부터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영유아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 환경의 변화 속에 5세 이하 어린이들의 보육시설 이용 현황과 이와 관련된 감염성 질환 실태 및 예방접종 현황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방 법 : 2011년 6월 10일부터 6월 16일까지 전국의 5세 이하의 자녀를 둔 부모 1,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pm}3.1%$이고, 표본추출은 지역별, 성별, 연령별 비율에 따라 무작위 할당표본 추출(quota sampling)방법을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는 크게 인구통계학적 특성, 단체 보육시설 이용 현황, 소아의 감염성 질환 경험, 예방접종 유무 관련 4개 주제로 나누고 그 속에 세부 문항을 두어 총 16개의 문항을 구성하였고, 설문결과를 수집하여 통계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 5세이하의 영유아들의 보육시설 이용율은 78.5%였고 이 중 약 84%가 3세 이전부터 보육시설을 처음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영유아(58%)가 그렇지 않은 영유아(34%)보다 감염성 질환을 경험한 비율이 더 높았다(P<0.001). 감염성 질환 중에서 장염(47.1%), 중이염(41.8%), 폐렴(19.1%) 등의 순으로 경험 비율이 높았고, 각 질환의 재발 여부는 중이염이 28.1%로 가장 높고 뒤이어 장염 (22.4%), 폐렴 (11.9%)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각 질환을 앓은 영유아의 약 70% 정도가 생후 24개월 이전에 이들 질환을 처음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폐렴 75.2%, 장염 77.1%, 중이염 71%). 예방접종율은 국가필수예방접종이 90.4%인데 반하여 기타예방접종은 중복응답을 포함하여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백신(76.6%), A형 간염(63.3%), 폐구균 백신(59.4%), 로타바이러스 백신(43.1%) 순으로 나타났다. 결 론 : 이번 연구에서 이른 나이부터 단체생활을 시작하는 영유아가 많았고, 이들의 감염성 질환 경험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이 시기의 감염성 질환 예방을 위해 손씻기 등의 개인위생에 보다 힘쓰고 시기에 맞게 백신접종을 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소아 감염 전문가들에 의한 보육시설에서의 표준화된 감염관리 지침 제정과 함께 보육현장에서의 교육을 통하여 보육시설에서의 감염 전파를 막기 위한 보다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 PDF

급성 호흡기감염 환아에서 분리된 폐구균에 대한 페니실린 내성분포와 경구 항생제에 대한 감수성 연구 (Penicillin Resistant Distribution and in-vitro Susceptibility of Oral Antibiotics against Streptococcus pneumoniae, isolated from Pediatric Patients with Community-Acquired Respiratory Infections in Korea)

  • 강진한;김선미;김종현;허재균;이경일;신영균;박수은;마상혁;홍영진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1호
    • /
    • pp.40-47
    • /
    • 2005
  • 목 적 : 인체의 세균성 호흡기감염 및 중추신경계 감염에 제일 중요하고 흔한 병원균인 폐구균은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항생제에 대한 내성이 발생되기 시작하여 점차 증가하며 최근에는 고도 내성균에 의한 중증 감염이 임상적으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5세 이하의 어린 소아 연령에서 더욱 빈번하게 호흡기감염과 중추신경계 감염을 일으키는 특성이 있어 폐구균에 대한 항균력 평가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이런 배경에 따라 국내 급성 중이염, 급성 부비동염 및 폐렴 환아에서 분리된 폐구균에 대하여 페니실린 내성을 파악하고 우리나라에서 이들 질환에 흔히 사용되고 있는 경구용 항생제인 amoxicillin, amoxicillin-clavulanate, cefaclor에 대한 항균력 평가를 실시하였다. 방 법 : 2000년 5월부터 2003년 6월 사이에 가톨릭의대 성모자애병원, 여의도 성모병원, 성빈센트병원, 성바오로병원, 대전성모병원, 고려의대 안산병원, 부산의대병원, 마산파티마병원, 인하의대병원에 외래 방문 또는 입원한 급성 중이염, 급성 부비동염 및 폐렴을 지닌 환아에서 분리 동정된 156개의 폐구균을 대상으로 하였다. 2003년 NCCLS의 기준에 의한 한천배지 희석법으로 페니실린에 대한 MIC를 일차적으로 확인하여 폐구균에 대한 페니실린 내성을 파악하였고, 급성 중이염, 급성 부비동염 및 폐렴에서의 내성률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amoxicillin, amoxicillin-clavulanate, cefaclor에 대한 내성 정도를 파악하고 $MIC_{50}$$MIC_{90}$을 확인하여 감수성 차이를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결 과 : 급성 중이염, 급성 부비동염 및 폐렴 환아로부터 분리된 156 폐구균 검체에서 페니실린에 78.2%(중등도 내성률; 46.2%, 고도 내성률; 32.0%)의 높은 내성률이 확인되었고, 질환별로는 급성 부비동염의 페니실린 내성률이 71.4%, 급성 폐렴의 경우는 73.4%이었으나 급성 중이염의 경우는 92.7%로 두 질환에 비해 현저히 높은 차이점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2003년 NCCLS 판정 MIC 기준에 따른 amoxicillin의 내성률은 16.7%(중등도 내성; 15.4%, 고도 내성; 1.3%)로 나타나 페니실린의 내성 결과와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amoxicillin-clavulanate의 경우는 내성률이 9.6%(중등도 내성 9.6%, 고도 내성; 0%)로 역시 penicillin 내성 결과와 현저히 다른 결과를 알 수 있었으며, amoxicillin보다도 내성률이 낮았고 고도 내성이 없는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cefaclor의 내성 결과는 95.5%(중등도 내성 1.9%, 고도 내성; 93.6%)의 결과를 보여 매우 심각한 내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 론 : 본 연구 결과로 소아 급성 호흡기감염 환아로부터 분리된 폐구균에 대한 페니실린 내성이 매우 높음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급성 중이염 환아에서 분리된 폐구균에 대한 페니실린 내성이 가장 높아 급성 중이염 환아에게 항생제의 사용이 많았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그러나 amoxicillin과 amoxicillin-clavulanate에 대한 항균력을 평가한 결과 amoxillin과 amoxicillin-clavulanate의 폐구균에 대한 내성은 페니실린보다 현저히 낮았고, 특히 amoxillin의 고도 내성률은 1.3%이었고, amoxicillin-clavulanate에서는 고도 내성을 보인 폐구균이 없는 결과를 보여 국내에서는 이들 항균제의 표준 용량으로 폐구균에 의한 소아 급성 호흡기감염 치료가 일차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국내에서 경구 cephalosporin제 중 제일 사용이 많은 cefaclor의 경우는 95.5%의 내성을 보여 일차 약제로서의 역할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