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steoid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22초

경화성 골수염양 다핵성 유골 골종 - 1예 보고- (Multicentric Osteoid Osteoma mimiking Sclerosing Osteomyelitis -A Case Report-)

  • 정양국;강용구;지원희;이안희;이승구;박원종;박일석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83-187
    • /
    • 2005
  • 유골 골종은 특징적인 방사선학적 소견과 임상양상으로 비교적 진단이 용이하나, 임상적 소견 및 방사선학적 검사상 아급성 경화성 골수염과 유사한 소견을 보여 진단이 지연되었던 경골근위부에 발생한 2개의 핵을 가진 유골 골종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 하고자 한다.

  • PDF

2세 소아에서 주관절에 발생한 유골골종 - 증례 보고 - (Osteoid Osteoma of the Elbow in 2 years Old Child - A Case Report -)

  • 김기형;서형연;정성택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98-202
    • /
    • 2008
  • 유골 골종은 골격계의 모든부위에서 발생 가능하지만, 10~20세 남아에서 대퇴골 근위부와 경골의 간부에서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5세 미만의 소아환자에서 주관절에 발생하는 경우는 아주 드물다. 2세 소아에서 주관절에 발생한 유골 골종은 비정형적인 증상과 방사선 소견 그리고 환자와의 의사소통이 어렵기 때문에 진단이 지연 될 수 있다. 저자들은 2세 여아에서 주관절에 활액막염과 관절내 핵을 갖는 원위 상완골 골간단부에 발생한 유골골종 1예를 치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수근부에 발생한 유골 골종: 증례 보고 (Osteoid Osteoma in Wrist: A Case Report)

  • 이채칠;김상우;정승현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94-98
    • /
    • 2014
  • 유골 골종은 골격계의 모든 부위에서 발생 가능하지만 하지에서 절반 이상이 보고 되고 있고 수근부에서 발생이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임상적으로는 통증이 거의 유일한 증상이며 주로 밤에 악화 되고, asprin이나 다른 NSAIDs에 의해 빠르게 호전 되는 특징이 있다. 저자들은 전형적인 임상양상을 나타냈던 수근부의 유골골종, 증례 2예를 방사선 검사로 진단 후 수술적 치료로 좋은 결과를 얻어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흉추에 발생한 유골 골종 - 증례보고 - (Osteoid Osteoma of the Thoracic Spine - Case Report -)

  • 윤병민;임승철;노성우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29권2호
    • /
    • pp.291-295
    • /
    • 2000
  • A 22-year-old man is presented with 3 months' history of dull pain on the lower thoracic area. Imaging studies suggested osteoid osteoma of 11th thoracic spine, which was verified pathologically after en bloc resection through transfacetal approach. The patient's preoperative pain was resolved immediately. We emphasize the importance of early diagnosis and complete surgical excision of tumor nidus.

  • PDF

유골골종의 경피적 고주파 열 치료 (Percutaneous Radiofrequency ablation for the Treatment of Osteoid osteoma)

  • 서재곤;정광훈;양일순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83-89
    • /
    • 2002
  • 목적: 유골골종의 진단 후 경피적 고주파 열 치료를 시행한 환자에서 수술 후 기능적 결과 및 방사선학적인 추시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1999년 7월부터 2001년 1월 사이에 임상소견 및 방사선 소견상 유골골종으로 진단 받고 저자들이 경피적 고주파 열 치료를 시행한 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추시 기간은 최소 8개월에서 최장 2년 1개월로 평균 15.5개월이었다. 술 전 방사선학적 검사로는 단순방사선촬영, 전산화단층촬영, 자기공명영상이 진단 및 병소의 정확한 위치파악을 위하여 이용되었으며 술 후에는 정기적인 단순방사선 사진 및 자기공명영상으로 추적관찰 하였다. 결과: 술 후 환자의 증상 소실은 7례의 환자에서 3일 이내에 완전 소실이 이루어 졌으며 평균 입원 기간은 1례의 화상이 발생한 환자를 제외하고는 평균 2.4일 이었고 퇴원의 기준은 환자의 동통이 완전 소실된 이후로 하였다. 술 후 야간통 및 주간통 점수는 각각 평균 1.8점과 1.3점으로 이었다. 직업 활동 및 여가 활동의 점수도 각각 평균 1점과 0.6점이었다. 결론: 유골골종에 대하여 경피적 고주파 열 치료로 비교적 만족할 만한 기능적 결과를 얻었다. 이 시술은 기존의 고식적 방법으로 인한 입원기간의 증가, 술 후 골절 방지를 위한 내고정술 및 뼈 이식의 필요, 그리고 장기간의 고정으로 인한 관절운동의 장애 등의 합병증 없이 유골골종의 제거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

Mineralized Polysaccharide Transplantation Modules Supporting Human MSC Conversion into Osteogenic Cells and Osteoid Tissue in a Non-Union Defect

  • Ge, Qing;Green, David William;Lee, Dong-Joon;Kim, Hyun-Yi;Piao, Zhengguo;Lee, Jong-Min;Jung, Han-Sung
    • Molecules and Cells
    • /
    • 제41권12호
    • /
    • pp.1016-1023
    • /
    • 2018
  • Regenerative orthopedics needs significant devices to transplant human stem cells into damaged tissue and encourage automatic growth into replacements suitable for the human skeleton. Soft biomaterials have similarities in mechanical, structural and architectural properties to natural extracellular matrix (ECM), but often lack essential ECM molecules and signals. Here we engineer mineralized polysaccharide beads to transform MSCs into osteogenic cells and osteoid tissue for transplantation. Bone morphogenic proteins (BMP-2) and indispensable ECM proteins both directed differentiation inside alginate beads. Laminin and collagen IV basement membrane matrix proteins fixed and organized MSCs onto the alginate matrix, and BMP-2 drove differentiation, osteoid tissue self-assembly, and small-scale mineralization. Augmentation of alginate is necessary, and we showed that a few rationally selected small proteins from the basement membrane (BM) compartment of the ECM were sufficient to up-regulate cell expression of Runx-2 and osteocalcin for osteoid formation, resulting in Alizarin red-positive mineral nodules. More significantly, nested BMP-2 and BM beads added to a non-union skull defect, self-generated osteoid expressing osteopontin (OPN) and osteocalcin (OCN) in a chain along the defect, at only four weeks, establishing a framework for complete regeneration expected in 6 and 12 weeks. Alginate beads are beneficial surgical devices for transplanting therapeutic cells in programmed (by the ECM components and alginate-chitosan properties) reaction environments ideal for promoting bone tissue.

초기 골스캔에서 뼈, 폐와 심낭으로의 전이를 보인 골육종 (Osteogenic Sarcoma with Osseous, Pulmonary, and Pericardial Metastases Simultaneously Demonstrated on Bone Scintigraphy at Initial Presentation)

  • 임석태;김민우;손명희;황평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336-339
    • /
    • 2003
  • Purpose: A 6-year-old boy with osteogenic sarcoma of the left humerus underwent bone scintigraphy. Tc-99m MDP was accumulated not only in the primary tumor but also in the osseous and extraosseous (pulmonary and pericardial) metastases. Osteogenic sarcoma directly produces osteoid, both in the primary and metastatic lesions. Tc-99m MDP is avidly taken up by tumor osteoid. At initial presentation, only 2% of cases have both pulmonary and osseous metastases. The patient had osseous, pulmonary, and pericardial metastases at presentation. This case presents that increased uptakes of Tc-99m MDP by the primary and metastatic tumor were demonstrated on bone scintigraphy at presentation.

다량의 골양물질을 형성한 중심성 거대세포육아종의 영상진단 (Imaging Diagnosis of Central Giant Cell Granuloma Showing Massive Osteoid Material)

  • 이설미;허민석;이삼선;최순철;박태원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0권2호
    • /
    • pp.127-131
    • /
    • 2000
  • A 19-year-old man was referred to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for evaluation of a large painless swelling of the left mandibular angle area in August, 1999. The growth had been first noted 6 years ago. He had visited other hospital in 1997. In spite of the treatment given at the hospital, the mass continued to grow rapidly. Conventional radiographs in 1999 showed an expansile, lobulated, and destructive lesion of the left mandibular body. CT scan demonstrated an expansile mass with a corticated margin. Bony septa were seen within the lesion. Internal calcification noted on the bone-setting CT image, and corresponded to the hypointense area in T1-weighted MRI image. MRI clearly delineated the extent of the lesion which had heterogenous intermediate signal intensity in T1-weighted images and heterogenous hyperintense signal intensity in T2-weighted images. The lesion was well-enhanced. Histopathologically, the lesion was well demarcated. Multinucleated giant cells were presented in a fibrous background, demonstrating a storiform pattern. Areas of osteoid rimmed by a few osteoblasts were scattered throughout the lesion. Inflammatory cells, blood vessels, and hemosiderin deposition were also shown. CGCG may show lots of internal calcification foci on the CT, and varied signal intensity in MRI. More cases will be needed to understand the features of the CT & MR finding of CGCG.

  • PDF

비골 원위부 골아세포종 - 증례보고 - (Osteoblastoma of the Distal Fibula - A Case Report -)

  • 박혜림;민수기;조현득;고성혜;권봉철;박용구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4-38
    • /
    • 2004
  • 저자들은 32세 남자에서 비교적 드문 부위인 비골 원위부에서 발생한 골아세포종을 보고하고자 한다. 단순 방사선 소견상 내부 육주현상(trabeculation을) 동반한 풍선양 확대 병변으로 관찰되었다. 자기공명영상촬영 검사상 불균질성 저신호 강도의 중심부를 갖는 소엽상 팽창성 병변이 관찰되고 이는 조영 증강이 되었다. 소파술 시행 결과 석회화를 동반하지 않은 풍부한 분홍색의 유골로 구성되었고 유골 봉합선(seam)은 통통한 골아세포 및 소수의 거대 세포로 피복되어 있었다. 국소적으로 레이스 모양의 석회화되지 않은 유골이 관찰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