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san stream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1초

부착규조 군집과 유기오탁지수를 이용한 오산천의 수질평가 (Assessment for Water Quality of the Osan Stream using Epilithic Diatom Assemblage Index to Organic Pollution(DAIpo))

  • 김백호;최환석;김미연;유형빈
    • 환경위생공학
    • /
    • 제19권2호
    • /
    • pp.45-50
    • /
    • 2004
  • To investigate the epilithic diatom community and water quality of the Osan stream,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eight stations from April to September 2003. Sampling was two times before and after heavy rain. Total 52 diatom were identified and divided into 12 saproxenosus taxa, 6 saprophilous taxa and 34 indifferent taxa, respectively. The DAIpo values higher after heavy rain than before that. According to tolerance degree to the organic water pollution, all sampling stations ranged from $\alpha$-oligosaprobic to $\alpha$-mesosaprobic. Thus,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water quality of Osan stream is gradually improved by heavy rain.

낙동강 일대와 중부 지역 주요 습지의 토양종자은행 분석 (The Analysis of Soil Seed Bank at Major Wetlands in Nakdong River Basin and Central Korea)

  • 주은정;김재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77-91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species composition of the soil seed banks at major wetlands in Nakdong river basin and central korea and to investigate how soil seed banks relate to aboveground vegetation and soil texture. In 2005, we sampled seed banks at Baksil reservoir, Jillal marsh, Deapyeng marsh, Hwapo marsh, Upo marsh and Junam reservoir in Nakdong river basin and Osan stream and Amsa-dong in Seoul. The soil seeds were estimated with the emergence method from April to October. Total numbers of species at the seed banks were 33 at Baksil, 18 at Daepyeong, 35 at Jillal, 56 at Upo, 32 at Hwapo, 47 at Osan stream, 54 at Amsa waterside, 31 at Amsa meadow. The species diversity in the soil seed banks of Upo marsh was the highest as 0.95. The community overlap index that compares aboveground with underground vegetation is high in the Upo marsh (0.34), Jilla marsh (0.36), and Osan stream (0.27). Soil texture affected distribution of 8 species, Lindernia procumbens, L. attenuata, Arenaria serpyllifolia, Juncus effusus, Persicaria thunbergii, Eragrostis multicaulis, Cyperus nipponicus, Scirpus fluviatilis. Considering the social and cultural values, soils at Amsa meadow, Hwapo marsh and Osan stream have worth to use for wetland restoration.

중.소 도시하천의 물질수지를 통한 수질관리 방안 도출 (Water Quality Management Plan through Mass Balance at Small Urban Stream)

  • 오종민;신동환;최이송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4권1호
    • /
    • pp.51-56
    • /
    • 2004
  • 본 연구는 전형적인 도심소재 중 소하천인 오산천 상류를 중심으로 수질변화 현상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하여 24시간에 걸친 연속측정을 통해 수질의 변화를 조사하였고,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효율적인 하천관리 방향을 제시하였다. 오산천 수질의 연속조사의 결과로부터, 본류의 수질개선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일들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첫째, 본류 수질개선을 위해서는 유입지류의 효율적인 관리방안이 필요하다. 둘째, 하천 본류의 저질로부터 재용출 되는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대처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질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단순한 조사만으로도 중 소하천의 효과적인 관리 방안을 제시했다. 따라서 하천에서의 연속적인 수질 모니터링은 하천수질 개선을 위해 중요하며, 나아가 하천환경에서 일어나는 물질순환 및 물질수지는 건전한 하천조성을 위하여 정확히 평가되어야 한다.

LAWA 기법을 사용한 도시 자연형하천의 물리적 구조평가 (Hydromorphological Structure Assessment of Urban Streams after Close-to-Nature Stream Restoration Using LAWA)

  • 최계운;김혜주;박종식;한만신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3권5호
    • /
    • pp.421-431
    • /
    • 2010
  • 자연형 하천조성 후 5년 이상 경과한 도시지역의 하천(안양천, 양재천, 오산천, 장수천, 학의천)을 대상으로 LAWA (Laenderarbeitsgemeinschaft Wasser, 독일 연방 물관리 연구공동체) 기법을 활용하여 하천의 물리적 구조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소위 자연형 하천 공법이 적용된 대상하천임에도 불구하고 하천의 물리적 구조적 생태성이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상하천의 종단면의 구조, 하안구조 및 하천변 토지이용도의 항목에서 낮은 등급을 나타냈다. 그 이유로는 하천종단면의 연속성 단절, 하안구조의 다양성 부족 및 하천주변의 인위적 시설물배치 등이다. 아울러 대상하천의 공통적 특징으로 하안에는 거석, 잡석, 블록 등의 견고한 호안재료가 적용되었으며 식재가 이루어졌다. 따라서 앞으로 도심하천의 보다 양호한 생태성 향상을 위해서는 하천의 다양한 물리적 특성을 고려한 자연형 하천 조성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평택호와 유역 하천에서 조류생장잠재력측정 (Algal Growth Potential Test (AGPT) in the Stream- Reservoir System of the Pyeongtaek Reservoir Watershed, Korea)

  • 황순진;신재기
    • 생태와환경
    • /
    • 제36권2호통권103호
    • /
    • pp.172-180
    • /
    • 2003
  • 평택호와 주요 유입하천에서 2000년 3월부터 12월까지 수질의 생몰학적 평가를 위해 남조류 Microcystis aeruginosa의 조류생장잠재력측정 (AGPT)을 계절에 따라 4회 측정하였다. 평택호와 유입하천에서 AGPT의 범위와 평균값은 각각 0${\sim}$463mg dw/1, 90 mg dw/l이었다. 유입하천 중 AGPT의 평균값은 황구지천에서 343 mg dw/1로서 가장 높았고 서정천, 성환천, 오산천과 진위천 및 안성천에서 각각 158, 66, 29및 21mg dw/1 순으로 감소하였다. 평택호에서 AGPT값은 0${\sim}$138 mg dw/1 범위(평균 54 mg dw/1)였으며 대체적으로 유입하천과 근접된상류에서 높고 하류로 갈수록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하계에 유입량이 급증한 직후에는 상류에서 남조류의 대발생 (130${\mu}g$ chl-a/l)으로 인해 오히려 하류가 2배정도 높았다. 평택호와 유입하천의 수질은 갈수기에 더욱 악화되었고 이 시기에 AGPT값도 컸다. AGPT는 영양염 중 P와 상관(r=0.999, p⁢0.001)이 가장 높아 조류의 생장에 P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추정되었다. 평택호 유역에서 AGPT는 시공간적으로 변화 폭이 컸고 유입하천의 영양염 수준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었다. AGPT에 의한 수질상태는 과영양 수준 (>20 mg dw/1)으로 평가되어 이에 대한 수환경 관리가 중요하였다. AGPT는 조류 생장에 대한 제한영양염 판정 뿐만 아니라, 수중 fertility를 평가함에 있어 유용하였다.

오산천 복원을 위한 어류상 연구 (A study of fish fauna for restoration of Osan Stream)

  • 송행섭;황길순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2년도 학술발표회
    • /
    • pp.729-733
    • /
    • 2012
  • 오산천 어류상 분석을 통하여 생물종의 다양성 및 존속성 확보를 위한 서식처별 어류군집의 특성을 밝히고 자연 하안 및 서식처 조성 시 적합한 어류상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오산천 일원의 3개 지점을 대상으로 각 서식처별 어류상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대한민국 고유종 2종을 포함하여 전체 9종 144개체가 채집되었다. 오산천 조사 지점 모두 수질이 좋지 않았으며 어류상은 빈약하였다. 기흥저수지 유입부에서는 상대적으로 다른 지점보다 많은 종수와 개체수가 채집되어 오산천 복원 시 수질개선과 함께 오산천 상류로 서식지 확장을 통한 복원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복원 대상종은 대한민국 고유종인 왜매치, 치리 및 얼록동사리와 하상의 상태를 개선할 수 있을 경우에는 참마자와 모래무지를 포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SWAT-QUALKO2 연계 모형을 이용한 관개기 순별 관개수질 모의 (Simulation of 10-day Irrigation Water Quality Using SWAT-QUALKO2 Linkage Model)

  • 김지혜;정한석;강문성;송인홍;박승우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4권6호
    • /
    • pp.53-63
    • /
    • 2012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 linked watershed-waterbody modeling system and to assess the impacts of indirect wastewater reuse on irrigation water quality. The Osan stream watershed within Gyeonggi-do of South Korea was selected for this study. The linked modeling system was composed of the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and QUALKO2 models. The SWAT model was calibrated and validated using the stream discharge and water quality data from 2010 to 2011. Runoff and non-point source pollutants from each subbasin and stream discharge from 1980 to 2009 were simulated by the SWAT model and applied to the QUALKO2 model. The QUALKO2 model was calibrated and validated under the conditions of low water and normal discharges, respectively. Finally, The 10-day irrigation water quality from April to September was simulated. The statistical measures of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reliability index (RI), and efficiency index (EI) were used to evaluate the system performance. The $R^2$, RI and EI values ranged from 0.5 to 1.0, 1.03 to 1.92, and -35.03 to 0.95, respectively. The 10-day irrigation water quality showed the concentrations of BOD and coliform exceeded the water quality guidelines for wastewater reuse. The linked modeling system can be a useful tool to estimate non-point source pollutant loads in watershed and to control the water quality of effluent from a wastewater treatment plant and irrigation water in the downstream waterbody.

하천 내 수질 개선을 위한 박층류 하도의 적용 및 평가 (Application and Evaluation of the Sheet Flow Channel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in the Stream)

  • 이두한;김명환;구정은;김원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6권4호
    • /
    • pp.208-216
    • /
    • 2019
  • 본 연구는 하천 내의 자연형 수질정화기법으로 박층류 하도의 설계방법과 효율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박층류 하도의 설계인자를 고려하여 설계를 수행하고 오산천 고수부지에 시험구간을 조성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수위, 유속, 유량, T-N, T-P, NO3-N 등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를 이용하여 제거효율을 평가하고 설계식을 제시하였다. T-N, T-P, NO3-N 등의 제거효율은 10 - 20%로 나타났으며 체류시간과 일정한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조류 형성과 유속 간의 관계를 통해 최소 유속 조건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체류시간과 제거효율의 관계식은 차집수로 설계와 운영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안성천 중소하천의 하천분류 및 2차원 수리특성, 하상변동 모의 (Stream Type Classification and 2-Dimensional Hydraulic Characteristics and Bed Change in Anseongcheon Streams and Tributaries)

  • 이지완;이미선;정인균;박근애;김성준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77-9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안성천 유역의 중소하천에 Rosgen(1994)의 하천분류체계를 적용하여 하천을 분류하고, 분류된 하천 유형별로 2차원 수리해석 모형을 이용하여 수리특성 및 하상변동을 모의하였다. 하천분류체계를 안성천 유역의 진위천과 오산천에 적용한 결과 크게 C 유형과 E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분류된 유형의 2차원 수리모형 적용에 따른 수리특성 및 하상변동 분석을 위해 C 유형의 구간 중 진위천과 통삼천의 만곡구간, 공세천, E 유형중 수원천을 연구대상지역으로 선정하였다. 하천분류체계에 의해 선정한 연구대상지역에 대하여 CCHE2D 모형을 이용한 빈도별 홍수량에 따른 하상변동 수치모의를 수행하였다. 모형의 경계입력자료는 WMS HEC-1의 유출량 결과 자료를 이용하여 50, 80, 100년 빈도별 홍수량에 대하여 모의하였다. 모의 결과 비교적 하폭/수심비가 큰 C 유형의 경우 하천의 물리적 특성의 변화에 따른 하상변동의 침식 및 퇴적의 경향이 잘 나타난 것으로 분석 되었고, C 유형에 비해 작은 E 유형의 경우 변화에 따른 하상변동의 경향을 파악 할 수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하천의 물리적 변화에 따른 흐름 및 하상변동을 예측하는 방법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