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ream Type Classification and 2-Dimensional Hydraulic Characteristics and Bed Change in Anseongcheon Streams and Tributaries

안성천 중소하천의 하천분류 및 2차원 수리특성, 하상변동 모의

  • Lee, Ji-Wan (Dept. of Civil and Environmental System Engineering, Konkuk University) ;
  • Lee, Mi-Seon (Dept. of Water Environment Research,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 Jung, In-Kyun (Dept. of Civil and Environmental System Engineering, Konkuk University) ;
  • Park, Geun-Ae (Civil & Environmental Engineering, University of Washington) ;
  • Kim, Seong-Joon (Dept. of Civil and Environmental System Engineering, Konkuk University)
  • 이지완 (건국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 이미선 (국립환경과학원 물환경연구부 수질총량관리센터) ;
  • 정인균 (건국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 박근애 (워싱턴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김성준 (건국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Received : 2011.07.08
  • Accepted : 2011.11.16
  • Published : 2011.12.30

Abstract

This study tries to find a streambed scouring and sedimentation characteristics through the Rosgen(1994)'s stream classification system while experiencing several flood events. The Jinwee and Osan streams, the tributaries of Anseongcheon were selected. The streams showed type C or type E. By the classification results, two Type C tributaries one Type C stream and one Type E tributary were selected. For the four selected stream reaches, the analysis of streambed change was implemented by using numerical model CCHE2D (Center for Computational Hydroscience and Engineering). To prepare the inlet boundary conditions of each stream, the WMS (Watershed Modeling System) HEC-1 was used and the streamflows of 50, 80, and 100-year return period were generated and the outlet boundary was set to an open boundary condition. The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when the flood pulse periodically the streambed changes also appears regularly. The results can be used to acquire the basic data for stream restoration.

본 연구에서는 안성천 유역의 중소하천에 Rosgen(1994)의 하천분류체계를 적용하여 하천을 분류하고, 분류된 하천 유형별로 2차원 수리해석 모형을 이용하여 수리특성 및 하상변동을 모의하였다. 하천분류체계를 안성천 유역의 진위천과 오산천에 적용한 결과 크게 C 유형과 E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분류된 유형의 2차원 수리모형 적용에 따른 수리특성 및 하상변동 분석을 위해 C 유형의 구간 중 진위천과 통삼천의 만곡구간, 공세천, E 유형중 수원천을 연구대상지역으로 선정하였다. 하천분류체계에 의해 선정한 연구대상지역에 대하여 CCHE2D 모형을 이용한 빈도별 홍수량에 따른 하상변동 수치모의를 수행하였다. 모형의 경계입력자료는 WMS HEC-1의 유출량 결과 자료를 이용하여 50, 80, 100년 빈도별 홍수량에 대하여 모의하였다. 모의 결과 비교적 하폭/수심비가 큰 C 유형의 경우 하천의 물리적 특성의 변화에 따른 하상변동의 침식 및 퇴적의 경향이 잘 나타난 것으로 분석 되었고, C 유형에 비해 작은 E 유형의 경우 변화에 따른 하상변동의 경향을 파악 할 수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하천의 물리적 변화에 따른 흐름 및 하상변동을 예측하는 방법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준성. 2001. 하천.해안에서의 RMA-2와 SED2D모형의 적용성 검토.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건설교통부. 2001. 자연 친화적 하천정비기법 개발 보고서. 한국건설기술 연구보고서. 574 쪽.
  3. 건설교통부. 2006. 오산천수계 하천정비기본계획.
  4. 건설교통부. 2006. 진위천수계 하천정비기본계획.
  5. 김영복. 2003. SMS모형을 이용한 하상변동 예측.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박민지. 2006. SMS와 WMS를 이용한 하천의 수리학적 안정성 분석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송범. 2008. 공주대교 상.하류구간에 대한 흐름특성과 하상변동 모의.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임창수, 이준호, 정재욱, 윤세의. 2008. 국내유역의 하천분류 및 하도진화모형 적용.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8(6B):615-625.
  9. 정상만, 신광섭, 박석재, 이주헌, 한규하. 2007. 금강의 경관 향상을 위한 보의 위치변화.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1239-1243쪽.
  10. 최민하. 2001. SMS를 이용한 장.단기 하상 변동 해석.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한승원. 2010. CCHE2D 모형을 이용한 유사량 산정 공식 및 유사이송 형태에 따른 하상 변동 수치모의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홍성민, 정인균, 이준우, 김성준. 2004. SMS를 이용한 경안천 하류구간의 하천흐름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7(1):1-9.
  13. Ackers, P. and W.R. White. 1973. Sediment transport new approach and analysis. Journal of Hydraulic Division 90(11):2041-2460.
  14. Davis W.M. 1899. The geographical cycle. The Geographical Journal 14(5):481- 504. https://doi.org/10.2307/1774538
  15. Horton, R.E. 1945. Erosional development of streams and their drainage basins: hydrological approach to quantitative morphology.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ulletin 56(3):275-370. https://doi.org/10.1130/0016-7606(1945)56[275:EDOSAT]2.0.CO;2
  16. Leopold, L.B. and M.G. Wolman. 1957. River channel patterns : braided, meandering and straight. Geological Survey 282B:39-85.
  17. Olsen, R. and R. Reynolds. 1999.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narrativity and perceived message effectiveness. Carolinas Communication Annual 15:41-54.
  18. Rosgen. D.L. 1994. A classification of natural rivers. CATENA 22:169-199. https://doi.org/10.1016/0341-8162(94)90001-9
  19. Strahler, A.N. 1952. Hypsometric (areaaltitude) analysis of erosional topohrapht.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ulletin, 63(11):1117-1142. https://doi.org/10.1130/0016-7606(1952)63[1117:HAAOET]2.0.CO;2
  20. Wu, W., S.S.Y. Wang and Y. Jia. 2000. Nonuniform sediment transport in alluvial river. Journal of Hydraulic Research 38(6):427-434. https://doi.org/10.1080/00221680009498296

Cited by

  1. Numerical Analysis of Flow and Bed Changes for Selecting Optimized Section of Buried Water Pipeline Crossing the River vol.15, pp.3, 2014, https://doi.org/10.5762/KAIS.2014.15.3.1756
  2. Spatial Distribution and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Headwater Stream (Dorang) Catchments in Geum River Basin vol.30, pp.3, 2014, https://doi.org/10.15681/KSWE.2014.30.3.319
  3. Analysis of Flow and Bed Change on Hydraulic Structure using CCHE2D : Focusing on Changnyong-Haman vol.46, pp.7, 2013, https://doi.org/10.3741/JKWRA.2013.46.7.707
  4. 수리동역학적 모의를 위한 적정 격자해상도 산정방법 vol.20, pp.1, 2011, https://doi.org/10.7319/kogsis.2012.20.1.109
  5. 수리구조물에 의한 흐름 및 하상변동 연구- 강정고령보를 중심으로 - vol.19, pp.2, 2011, https://doi.org/10.17663/jwr.2017.19.2.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