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thodontic intervention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2초

교합안정장치 사용 전, 후의 하악과두 위치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ONDYLAR POSITIONAL CHANCES BEFORE & AFTER STABILIZATION SPLINT THERAPY)

  • 이숙경;윤영주;김광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13-122
    • /
    • 1998
  • 본 연구는 조선대학교 부속 치과병원 교정과에 내원하여 교정치료를 시행하고 있는 환자중 Panadent 교합기 및 condylar position indicator(CPI)를 이용하여 중심위-중심교합 편위양을 측정한 결과, 전후방 및 수직적 편위양이 1.00mm이내, 측방편위양이 0.30mm 이내인 정상범주를 넘는 부정교합 환자 47명을 대상으로 하여 3개월간 교합안정장치를 24시간 장착하고, CPI 및 transcranial projection을 이용하여 교합안정장치 장착전과 장착후의 하악과두의 위치변화를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CPI상의 모든 군에서 중심교합-중심위 사이에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었다(p<0.001). 2. transcranial projection상의 superior joint space의 Rt와 Lt+Rt/2에서 중심교합-중심위 사이에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었다(p<0.05). 3. CPI상의 모든 superior-inferior components군에서 교합안정장치 사용 전, 후의 중심교합-중심위 사이에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었다(p<0.01). 4. transcranial projection상의 superior joint space의 Rt를 제외한 모든 군에서 교합안정장치 사용 전, 후의 중심교합-중심위 사이에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 볼 때 중심교합-중심위 사이의 변화를 평가하는데는 transcranial projection보다 CPI가 보다 유용하며, 교합안정장치는 하악과두의 전, 후방적 위치변화보다는 수직적 위치변화에 미치는 영향이 보다 큰 것으로 보인다.

  • PDF

이소매복된 하악 제2소구치의 자가치아이식을 이용한 치험례 (AUTOTRANSPLANTATION OF A MALPOSITIONED MANDIBULAR SECOND PREMOLAR : A CASE REPORT)

  • 정윤주;궁화수;최성철;김광철;박재홍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591-596
    • /
    • 2009
  • 악골내 이소매복된 치아로 인해 유치의 만기잔존, 교합이상과 같은 교정적인 문제가 발생할 경우 그 해결책으로 주기적 관찰, 최소한의 개입, 교정적 견인, 발치, 그리고 환자 자신의 매복치아를 이용하는 자가이식술 등을 들 수 있다. 자가치아이식은 치아를 구강내의 한 위치에서 다른 발치와나 외과적으로 형성된 치조와로 이동시키는 술식으로, 치아가 교정력을 가할 수 없는 위치에 존재하거나 치아 이동에 제한이 있어 통상적인 치료가 불가능할 경우에 발거에 앞서 고려할 수 있는 방법이다. 자가치아이식은 치료기간을 단축시키고, 치근 형성이 완료되지 않은 어린 환자의 경우 이식된 새로운 위치에서 치근 형성이 이루어지며, 새로운 치조골의 형성을 유도할 수 있다. 본 증례는 하악 우측 제2소구치의 매복과 하악 우측 제2유구치의 만기잔존을 주소로 본원에 내원한 11세 여아로, 하악 우측 제2소구치의 매복의 깊이가 깊고, 방향이 교정적 견인에 불리하다는 점, 미성숙 치근 발육 상태와, 만기잔존한 유구치로 인해 공간 상실이 없다는 점 등을 고려하여 자가치아이식을 시행한 뒤, 1년간의 주기적 관찰 결과, 양호한 결과를 얻어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외상성 골낭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TRAUMATIC BONE CYST)

  • 오경란;박원길;고재경;김영진
    • 치과방사선
    • /
    • 제27권2호
    • /
    • pp.145-159
    • /
    • 1997
  • Traumatic bone cyst is a pathologic cavity that is not lined with epithelium. It is, therefore, not a true cyst. It may be a normal variant rather than a disease process. The etiology of the condition is unknown. This condition is occured widely ranging ages(2 to 75years), however, most are ,found during the second decade of life. Radiographically, this condition is radiolucent lesion with well-defined outline, scalloping of superior margins, Cyst enucleation and curettage is the treatment of choice. The authors compared and analyzed the clinicoradiologic features of the five cases of traumatic bone cyst, diagnosed at the Dental college hospital in Chosun University, Kwangju, Korea. The five cases were shown the followed results; 1. 3cases occured in second decade of life & no significant sex differences (M:F, 2:3) All cases occurred in mandible. 2. Two patients complained symptoms, but three cases had no symptom with encountering during routine examination. 3. In 3 of 5cases, teeth vitality existed except one tooth and no checking of teeth vitality in two cases. 4. All cases didn't have any accurate trauma history, but one case was in orthodontic treatment, another case was postextraction site area. 5. Radiologically, 'scalloping appearance' were evident in all cases; in 3 cases, multilocular tendency & only one case seen intact mandibular canal image. 6. Histologically, all section showed bone trabeculae with blastic activity, 2 cases showed no epithelial lining, and other 2 cases were seen in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in edematous tissue. 7. Surgical intervention (curettage) was that treatment of choice.

  • PDF

다수 과잉치로 인한 합병증 치료의 임상적 고찰 (Managing Complications Related to Multiple Supernumerary Teeth)

  • 김종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80-186
    • /
    • 2014
  • 임상가가 주로 접하게 되는 과잉치는 주로 1~2개인 경우가 거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드물게 보고되는 다수 과잉치는 1~2개의 과잉치의 경우보다 교정적인 합병증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아지며, 인접치아의 손상가능성 또한 증가하게 된다. 상악 전치부에 호발 하는 과잉치는 상악 전치의 치간 이개, 맹출 장애, 전위, 인접 치아의 치근흡수 그리고 함치성 낭종의 형성 등 다양한 문제점들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조기에 발견하고 인접 구조물에 위해를 주지 않는 다면 이른 시기에 외과적 적출술을 시행해 주는 것을 권한다. 최근에는 정기 검진과 방사선적 진단 장비의 발달로 이러한 대응이 원할 해 질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었다. 본 증례는 상악 전치부에 발생한 3개의 과잉치를 가능한 인접치의 손상을 줄이고, 유치의 잔존을 목표로 두 번에 걸쳐 발거를 시행하였다. 개인 치과에서 시술을 하였기에 CBCT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와 같은 진단 장비의 도움을 얻지 못하는 상황에서 브라스 와이어를 이용한 과잉치의 심도 확인법을 응용하였다.

사선안면열, 상악돌기 중복 등 복합 기형을 유발한 신경능병변 환자의 치험례 (A CASE REPORT OF NEUROCRISTOPATHY THAT SHOWS OBLIQUE FACIAL CLEFT, MAXILLARY DUPLICATION AND OTHER FACIAL MALFORMATIONS)

  • 류동목;이상철;김여갑;이백수;최유성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1권4호
    • /
    • pp.407-413
    • /
    • 1999
  • 구강악안면부위의 선천성 기형은 복잡한 발생학적 과정과 연관이 있으며 비정상적인 기형을 적절한 시기에 치료하지 못할 경우 이로 인한 이차적인 기형을 유발하여 치료를 더욱 어렵게 할 수 있다. 저자 등은 우측 상악돌기 후외하방에 중복 발생된 상악돌기와 과잉치로 인하여 저작장애를 보이며, 안와, 관골 및 상하악골의 심한 안모 비대칭 소견을 보이는 악안면기형환자를 골절제와 발치, 교정치료, 관골과 안와재건술, 악교정수술 및 반흔교정술 등의 4회에 걸친 수술을 통해 심미적, 기능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다. 악안면영역의 선천성 기형의 치료는 매우 난이하며 수차례의 수술을 요하고 수술 결과가 만족스럽지 못한 경우가 많으므로 사전 철저한 분석이 요구되며, 환자의 심리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특별한 배려가 요구된다.

  • PDF

유치열에서 scissors bite의 치료에 대한 증례보고 (TREATMENT OF THE SCISSORS BITE IN PRIMARY DENTITION : CASE REPORT)

  • 문성권;김정욱;이상훈;한세현;장기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311-316
    • /
    • 2006
  • 중심교합위 상태에서 편측이나 양측으로 구치부의 상악치아가 하악치아의 협측으로 위치한 경우를 scissors bite라고 한다. 이런 부정교합은 상악의 폭이 크거나 하악의 폭이 좁은 경우 발생한다. 이로 인해 턱의 성장이 방해를 받고 악궁간 부조화를 유발하며 적절한 저작을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scissors bite는 즉시 차단교정을 해야하며 일반적으로 scissors bite의 치료는 고정성 또는 가철성 장치를 이용하여 하악을 확장한다. 이에 저자는 scissors bite를 보이는 환아의 4세의 두 명의 남아에게 Schwarz장치를 이용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어 scissors bite의 치료법 제시에 도움이 되고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매복 상악 견치의 처치 (Management of Maxillary Impacted Canines)

  • 장기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42-154
    • /
    • 2023
  • 상악 견치는 기능과 외모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맹출 장애로 인해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상악 견치의 매복은 비교적 흔하며 구조적 장애, 발달 이상, 공간 부족, 유전과 같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상악 견치의 구개측 매복은 서양인에게서 흔한 것으로 보고되지만 한국인에게는 순측 매복이 더 흔한 것으로 관찰된다. 순측으로 변위된 상악 견치의 경우, 치아 총생 및 골격성 부정교합이 보일 수 있으며, 측절치의 선천적 상실이나 과잉 측절치는 상악 견치의 구개측 매복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상악 견치 매복의 조기 발견 및 적절한 처치는 조화로운 치열 발달과 정상적인 치아 기능을 위해 중요하다. 본 종설을 통해 매복 상악 견치의 다양한 처치법을 제안하고 그 원리를 설명하고자 한다.

Effectiveness of laser-engineered copper-nickel titanium versus superelastic nickel-titanium aligning archwires: A randomized clinical trial

  • Omar Khairullah Ahmed;Ammar Salim Kadhum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16-25
    • /
    • 2024
  • Objective: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laser-engineered copper-nickel titanium (SmartArch) and superelastic nickel-titanium (SENT) archwires in aligning teeth and inducing root resorption and pain experienced by patients. Methods: Two-arm parallel groups with a 1:1 allocation ratio were used. The participants were patients aged 11.5 years and older with 5-9 mm of mandibular anterior crowding who were indicated for non-extraction treatment. The primary outcome was alignment effectiveness, assessed using Little's irregularity index (LII) over 16 weeks with a single wire (0.016-inch) in the SmartArch group and 2 wires (0.014- and 0.018-inch) in the SENT group (8 weeks each). Secondary outcomes included root resorption evaluated by pre- and post-intervention periapical radiographs and pain levels recorded by the participants during the first week. Results: A total of 40 participants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2 groups; 33 completed the study and were analyzed (16 in the SmartArch group and 17 in the SENT group, aged 16.97 ± 4.05 years). The total LII decrease for the SmartArch and SENT groups was 5.63 mm and 5.29 mm, respectively, which was neither statistically nor clinically significant. Root resorpt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The difference in pain level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the first 5 days following wire placement;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favoring the SENT group in the final 2 days. Conclusions: SmartArch and SENT archwires were similarly effective during the alignment phase of orthodontic treatment. Root resorption should be observed throughout the treatment with either wire. SmartArch wires demonstrated higher pain perception than SENT wires.

부정교합자의 수완부 골성숙도에 관한 누년적 연구(I) (A Longitudinal Study on the Skeletal Maturity of the Hand and Wrist among Various Malocclusion Groups(I))

  • 김경호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83-195
    • /
    • 1999
  • 성장기 환자의 교정치료에서 신체의 성장 발육상태를 파악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특히 부정교합에 따라 성장 발육시기가 차이를 보인다면 교정치료 시기의 선택에 있어서 이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하므로 부정교합의 양상에 따른 성장 발육상태를 평가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정교합 분류에 따라 골성숙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8-10세의 여자 I급 부정교합자 38명, II급 부정교합자 36명, III급 부정교합자 33명을 대상으로 약 6개월 간격으로 12-13세까지 누년적으로 촬영한 수완부골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골성숙도를 평가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부정교합에 따른 골성숙도의 차이는 없었다. 2. 유구골의 구상돌기 (hamular process)는 $9.16{\pm}0.72$세, 두상골(pisiform bone)은 $9.13{\pm}0.71$세, 모지척측 종자골(ulnar sesamoid)은 $10.34{\pm}0.84$세에 관찰되었다. 3. 골단이 골간을 둘러싸는 시기는 셋째 수지의 원심부 지절과 중간 지절에서 각각 $10.96{\pm}0.80$세, $11.27{\pm}0.87$세였으며, 첫째 수지의 근심부 지절에서는 $11.12{\pm}0.86$세, 요골에서는 $11.21{\pm}0.82$세, 다섯째 수지의 중간 지절에서는 $11.62{\pm}0.85$세였다. 4. 두상골의 출현은 유구골 구상돌기의 출현과(r=0.91), 모지척측 종자골의 출현은 구상돌기의 진행성 화골시기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r=0.86), 골단이 골간을 둘러싸는 시기는 여러 부위가 상호간에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0.80-0.90). 5. 다섯째 수지의 중간 지절의 형태가 가장 변이가 심하였다($20.6\%$).

  • PDF

Treatment modalities for Korean patients with unilateral hemifacial microsomia according to Pruzansky-Kaban types and growth stages

  • Yang, Il-Hyung;Chung, Jee Hyeok;Yim, Sunjin;Cho, Il-Sik;Kim, Sukwha;Choi, Jin-Young;Lee, Jong-Ho;Kim, Myung-Jin;Baek, Seung-Hak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336-345
    • /
    • 2020
  •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treatment modalities (Tx-Mods) for patients with unilateral hemifacial microsomia (UHFM) according to Pruzansky-Kaban types and growth stages. Methods: The samples consisted of 82 Korean UHFM patients. Tx-Mods were defined as follows: Tx-Mod-1, growth observation due to mild facial asymmetry; Tx-Mod-2, unilateral functional appliance; Tx-Mod-3, fixed orthodontic treatment; Tx-Mod-4, growth observation due to a definite need for surgical intervention; Tx-Mod-5, unilateral mandibular or bimaxillary distraction osteogenesis (DO); Tx-Mod-6, maxillary fixation using LeFort I osteotomy and mandibular DO/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Tx-Mod-7, orthognathic surgery; and Tx-Mod-8, costochondral grafting. The type and frequency of Tx-Mod, the number of patients who underwent surgical procedures, and the number of surgeries that each patient underwent, were investigated. Results: The degree of invasiveness and complexity of Tx-Mod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treatment stage and Pruzansky-Kaban type (initial < final; [I, IIa] < [IIb, III], all p < 0.001). The percentage of patients who underwent surgical procedures increased up to 4.2 times, with an increase in the Pruzansky-Kaban type (I, 24.1%; IIa, 47.1%; IIb, 84.4%; III, 100%; p < 0.001). However, the mean number of surgical procedures that each patient underwent showed a tendency of increase according to the Pruzansky-Kaban types (I, n = 1.1; IIa, n = 1.5; IIb, n = 1.6; III, n = 2.3; p > 0.05). Conclusions: These findings might be used as basic guidelines for successful treatment planning and prognosis prediction in UHFM pat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