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thodontic Band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초

Prostaglandin E2와 Indomethacin이 백서 치조골 내 Collagen과 Chondroitin Sulfate의 정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rostaglandin E2 and Indomethacin on Quantitative Change in Collagen and Chondroitin Sulfate in the Alveolar Bone of Rats)

  • 박세진;손병화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47-266
    • /
    • 1990
  • The alveolar bone remodeling is essential in tooth movement by orthodontic forces. The collagen and chondroitin sulfate are acting as an important roles in bone remodeling. This study was performed to measure out the quantity of the collagen and chondroitin sulfate in the alveolar bone of rats applied by experimental orthodontic forces. The 150 Sprague-Dawley male rats were divided into the $PGE_2$ treated group, indomethacin treated group and the normal group. A 80gm force rubber band was used as a orthodontic appliance between upper incisors and right upper 1st molar, and left side of experimental rats with no appliance was regarded as a control side. The samples of alveolar bones were obtained from pressure and tension sites in all three groups. respectively, and in control sides, too.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change in total collagen remains stable in both pressure and tension sites of all three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side by the time consuming. 2. The change in soluble collagen showed the most highest level in tension site, lowest level in pressure site of $PGE_2$ treated group in 5th. experimental day. 3. The change in chondroitin sulfate showed the most highest level in pressure site, lowest level in tension site of $PGE_2$ treated group in 5th. experimental day. 4. In indomethacin treated group, the change of soluble collagen and chondroitin sulfate showed small range of variance compared with $PGE_2$ treated and normal group.

  • PDF

Ipriflavone 투여가 백서의 실험적 치아이동 후 치주조직의 재형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priflavone on the periodontal reorganization following experimental tooth movement in the rat)

  • 민지현;조진형;이기헌;황현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347-357
    • /
    • 2008
  • 본 연구는 치아이동 후 ipriflavone 투여가 치주조직의 재형성, 나아가 치아회귀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웅성 백서 72마리를 대상으로 상악 좌우측 제1, 2구치 사이에 교정용 고무밴드를 끼워 제1, 2구치를 3주간 이동시킨 다음, 교정용 고무밴드 제거 1일 전부터 매일 체중 kg당 50 mg 또는 400 mg의 ipriflavone을 투여한 실험군과 ipriflavone을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으로 구분하였다. 교정용 고무밴드를 제거함으로써 회귀가 나타나기 시작한 날로부터 5일 간격으로 15일까지 각각 실험동물을 희생시켜가며 치아회귀 거리를 계측하는 한편 치주조직 재형성 소견을 관찰하였다. Ipriflavone을 투여하고 치아회귀를 관찰한 결과 용량에 관계없이 대조군에 비하여 적은 양의 회귀를 나타내었으며 시간 간격에 따른 치아회귀를 관찰한 결과 대부분의 회귀가 5일째 나타난 대조군과 달리, 늦게 그리고 점진적으로 나타나는 양상을 보였다. Iprinavone을 투여하고 조직소견을 관찰한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치조골연이 매끄러운 양상을 보였으며 시간 간격에 따른 조직소견을 관찰한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치주인대 재배열이 빠르게 나타나는 양상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ipriflavone의 투여가 치주조직의 재형성을 통하여 회귀를 억제함으로 교정적 치아이동 후 보정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백서의 구치 이동 초기에 Prostaglandin E2와 Evening Primrose Oil의 영향에 관한 형태학적 연구 (Morphologic Study of Effects of Prostaglandin E2 and Evening Primrose Oil on Early Orthodontic Tooth Movement in Rats)

  • 이원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61-86
    • /
    • 1990
  • To study the effect of prostglandin $E_2$ and evening primrose oil on orthodontic tooth movement in rats, one hundred and sixty ra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of 40 rats each. One group, injected with saline on the palate subperiosteally, served as a control group. A second and third group were injected subperiosteally on the palate with $PGE_2$ $10{\mu}g$ and evening primrose oil 10mg respectively. The fourth group was given indomethacin $20{\mu}g/m{\ell}$ orally by water bottle. The maxillary first molar was moved mesially from the incisors using a 50gm force rubber band. In each group at the 1, 2, 3, 5, and 7th day, 4 rats were examined by light microscope, and 4 by electron microscope.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Osteoclastic activity was maximum at the 3rd day in the $PGE_2$ group on the interradicular alveolar bone of the first molar, followed by the evening primrose oil group, control group, and indomethacin group. 2. Root resorption and vacuolar changes were maximum in the $PGE_2$ group. 3. At the 3rd day of the $PGE_2$ group, the osteoclasts showed well developed ruffled borders and clear zones. At the same day, the evening primrose oil group also showed well developed ruffled borders and clear zones, but less than the $PGE_2$ group. 4. At the 3rd and 5th day of the $PGE_2$ group, fibroblasts showed phagocytized fragmented collagen fibers in the cytoplasm. At the 7th day of the $PGE_2$ group, fibroblasts showed collagen fibers forming at the cell membrane surface.

  • PDF

Chlorhexidine varnish가 법랑질의 탈회예방에 미치는 영향 (THE PREVENTIVE EFFECT OF CHLORHEXIDINE VARNISH ON ENAMEL DEMINERALIZATION)

  • 임은경;최영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825-836
    • /
    • 1998
  • The intention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entive effect of chlorhexidine varnish on enamel demineralization. The sample consisted of 57 first premolars scheduled to be extracted for orthodontic purposes. The control group (N=10) was left untreated and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worn with specially designed stainless steel orthodontic bands on premolar for plaque accumulation. The group 1 (N=9) was worn band only, the group 2 (N=19) was applied with chlorhexidine varnish for one time, and the group 3 (N=19) was applied with chlorhexidine varnish for 3 times once a week. After 4 weeks of experimental periods, every specimen were examined by SEM and Vickers hardness test to evaluate and compare the degree of enamel decalcific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lthough SEM revealed various degree of enamel demineralization in every experimental groups, the group 1 showed more severe demineralizations than the group 2 and 3. 2. The mean Vickers Hardness Numbers measured in this study seemed to reveal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goup and the group 1 (P<0.05), and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1 and the group 2, 3 (P<0.05).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2 and the group 3 (p>0.05). 3. The results of VHN did not deemed to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xillary premolar and mandibular premolar in both group 2 and group 3 (P>0.05).

  • PDF

콧방울띠의 유병율 (Prevalence of anatomical alar band)

  • 김정석;김철순;차정열;김희진;황충주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4-12
    • /
    • 2015
  • Purpose: 입술 주위에는 여러 개의 근육이 모여있기 때문에 여러 근육의 작용에 의해 표정을 지을때, 다양한 표정과 노화에 따른 주름 등의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동물에서는 이러한 피부 및 근육이 몸 전체에 발달되어 있지만 사람에서는 얼굴에만 잘 발달되어 있고, 다른부위엔 목과 손바닥에 하나씩 있을 뿐이다. 해부학적인 연구에서 확인한 작은광대근의 변이중에 윗입술뿐만 아니라 콧방울로 갈라진 힘살이 콧방울 가쪽 부위에도 닿아서 형성되는 콧방울 가쪽 주름에 대해 alar band라 명명하였으며 이에 대한 임상적인 유병율을 알아보고자 한다. Materials & Methods: 교정 치료를 위해 경기도 개인치과의 교정과에 내원한 780명의 교정신환의 스마일 사진에서 alar band의 여부에 대해 알아보고, 측모두부방사선사진에서 골격의 형태 및 입술의 돌출, 성별, 연령 등과의 상관관계를 평가하였다. Results: 일반적 특성에 따른 alar band의 관련성에 대해서 살펴본 결과 성별에 대해서 남자는 18.5%, 여자는 27.9%로 나타나 남자보다 여자의 경우 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연령에 대해서는 가진 경우가 0-9세는 19.4%, 10-19세는 16.9%, 20-29세는 31.2%, 30-39세가 39.5%, 40-49세가 56.5%로 나타나 20대에서 40대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SN_NP에 대해서는 normodivergent facial type을 가진 경우가 26.2%, hyperdivergent facial type을 가진 집단이 22.0%, hypodivergent facial type을 가진 경우는 32.2%로 나타나 hypodivergent facial type을 가진 집단의 경우가 더 발생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Upper LIP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Lower lip에 대해서는 alar band를 보인 경우가 정상하순 안모를 가진 집단은 26%, lower lip protrusion은 14.7%, retruded lower lip은 33.3%로 나타나 retruded lower lip의 경우 발생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즉, 성별, 연령, lower lip돌출정도에서 alar band와의 유의한 관련성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Conclusions: alar band는 해부학적인 연구에서 27.8%에서 보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25.6%에서 확인할 수 있었고, 임상적인 사진에서는 여자, 나이가 들수록, 하순이 함입될수록 유의하게 더 보였으며 향후 심미 치료에서 이 부위에 보톡스 등의 심미치료를 할 때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교정용 브라켓 주위의 불소를 이용한 법랑질 탈회 예방 방법 비교 (Comparison of Prevention Methods against Enamel Demineralization adjacent to Orthodontic Bracket Using Fluoride)

  • 모혜림;김종수;오소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93-300
    • /
    • 2019
  • 고정식 교정 장치 치료의 흔한 부작용으로 구강 위생이 불량한 환자에서 브라켓과 밴드에 인접한 법랑질의 탈회가 발생한다. 이 연구는 불소를 이용한 다양한 법랑질 탈회 예방 방법 중 고정식 교정장치 주위의 탈회 예방에 무엇이 가장 효과적인지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건전한 표면을 가진 발치된 소의 절치 80개를 실험재료로 하여 4개 군으로 분류하였다 : (I군) 대조군, (II군) V $varnish^{TM}$, (III군) Tooth Mousse $Plus^{(R)}$, (IV군) $Vanish^{TM}$ XT. 각 군 별로 처리 후 인공우식용액에서 탈회시킨 다음 0일, 30일, 60일, 90일에 무기질 소실량과 비커스 표면미세경도를 측정하였다. 무기질 소실량은 IV군에서 가장 적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II군, III군 순으로 적었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표면미세경도는 IV군에서 가장 적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II군, III군 순으로 적었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 IV군이 브라켓 주위 법랑질 탈회 방지에 가장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III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법랑질 탈회 예방 효과를 보였지만, 다른 군보다는 그 효과가 적었다.

인체 섬유모세포(HGF-1) 배양에서 소아용 치과금속재의 세포친화성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연구 (A MOLECULAR BIOLOGIC STUDY ON BIOCOMPATIBILITY OF METALLIC DENTAL MATERIALS USED FOR CHILDREN WITH CULTURED HUMAN GINGIVAL FIBROBLASTS)

  • 김주미;정태성;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43-254
    • /
    • 2002
  • 소아치과 임상에 흔히 사용되는 3종의 금속재에 의한 인체 섬유모세포(HGF-1)를 이용하여 세포독성에 대한 세포적 및 분자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세포의 성장과 증식 및 세포사, 그리고 이들과 관련된 세포내 신호전달물질 발현의 변화를 보고자 하였고, 세포사는 screening한 후 세포사의 유형(necrosis/apoptosis)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HGF-1은 DMEM으로 계대배양한 후 유지하였으며, 사용한 금속재는 stainless steel crown (R), 교정용 band(B), 교정용 wire(W)의 세 종류였다. HGF-1세포의 증식에 대하여 기본적으로 cell count를 하였고, 생존세포 count를 위하여 대조군에 대한 실험군의 상대증식도를 계산하였다. 세포수는 배양일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여 7일째에 최고를 나타내었고, 11일째에는 감소하였으며, 대조군과 실험군 사이의 통계적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p>0.05). 대조군에 대한 실험군의 상대증식도 또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세포사에 대한 형태적 소견은 괴사(necrosis)를 나타내었다. PCNA lableing index에 대한 대조군과 실험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신호전달 관련 MAP kinase인 ERK1 및 ERK2, p38, JNK는 배양일의 경과에 따른 발현의 변화는 관찰되었으나, 대조군과 각 실험군 간에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대상인 stainless steel crown, 교정용 band 와 wire, 세 종류의 소아 치과용 금속재는 단기간의 인체섬유모세포를 이용한 세포친화성 검정에 있어서 세포적, 분자적 위해 양상을 나타내지 않았다.

  • PDF

Fiber-reinforced composite resin을 이용한 전치부 결손 수복 (REHABILITATION OF MISSING ANTERIOR TOOTH USING FIBER-REINFORCED COMPOSITE RESIN)

  • 박헌정;김종수;김용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62-68
    • /
    • 1999
  • One of the many dilemmas that the clinical restorative dentist must face is treating young adolescent patient who prematurely loses his permanent teeth. Temporary prosthetic replacement can be achieved with removable denture, orthodontic band-wire fixed denture, adhesion bridge, composite resin splint with reinforcing material until the patients go through growth and development. But, all of these have limitations. Advances in restorative materials and reinforcement materials have made possible new techniques which are as much esthetic, conservative and more economic and stronger than adhesion brides. Two cases are being presented where gas-plasma treated, woven polyethylene fabric to reinforce composite resin was used to fabricate a temporary prosthetic restoration to replace a missing maxillary central incisor. This relatively noninvasive and basically reversible procedure allows the patient to decide the final restoration as he or she goes thorough maturation of the hard and soft tissues.

  • PDF

교정용 밴드 제거 후 미생물 분포 및 치주 조직의 임상적 변화 (Changes of periodontopathogens and clinical parameters of periodontal tissue after debanding)

  • 양유미;김성식;전은숙;박수병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63-274
    • /
    • 2006
  • 본 연구는 밴드 제거 직후 및 4주 경과 후 치주조직의 임상적인 환경변화와 미생물 분포 변화를 알기 위해 시행하였다. 최후방 구치에 밴드를 포함하는 고정식 교정 장치를 장착하고 교정 치료를 1년 이상 시행한 1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나이 22세, 남자 6명, 여자 11명). 최후방 구치의 밴드를 제거한 직후와 제거 후 4주가 경과한 다음에 치주조직의 탐침 깊이와 출혈 빈도를 측정하였으며, 치은 연하의 치태를 채취하여 미생물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치주질환에 관련성이 깊은 미생물 중 Porphyromonas gingivalis, Tannerella forsythia, Treponema denticola를 직접 Polymerase Chain Reaction 방법으로 존재 여부를 확인하였다. 밴드 제거 직후와 제거 후 4주가 경과한 시점의 치주조직의 탐침 깊이와 출혈 빈도, 병원성 미생물의 존재 여부를 통계적으로 비교하였다. 탐침 깊이와 출혈 빈도는 모두 하악 좌측 구치 협면에서 감소율이 가장 크게 나타났고, 상악 우측 구치 설면에서 감소율이 가장 작게 나타났다. 병원성 미생물 중 T. denticola가 밴드 제거 4주 후에 가장 높은 감소율을 보였으며, 하악보다 상악에서 감소율이 더 크게 나타났다. 이는 비록 밴드를 장착하여 치주 환경이 불량해졌다 하더라도 올바른 구강 위생 관리가 시행된다면 밴드를 제거한 후 정상적인 치주 상태로 회복될 수 있음을 예시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가족력을 보이는 쇄골두개 이형성증에 관한 증례보고 (CLEIDOCRANIAL DYSPLASIA WITH FAMILIAL HISTORY - A CASE REPORT)

  • 황지영;최성철;이긍호;김광철;박재홍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82-87
    • /
    • 2008
  • 경희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3명의 환자는 외할어버지를 통해 격세 유전된 가족력을 가지고 있으며 임상 및 방사선 검사에서 관찰되는 특징들을 바탕으로 쇄골두개 이형성증으로 진단되었으나 쇄골의 기능과 형태적인 면에서 큰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쇄골두개 이형성증으로 인한 증상들은 환자마다 다양한 정도로 나타나므로 이 질환으로 인한 여러 가지 골격적 변화 및 특징들에 관한 기본적 지식을 가지는 것이 필요하며 비슷한 골격적 특징을 나타내는 다른 질환과의 감별진단도 필요하다. 더욱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유전자검사 하는 것이 추천된다. 쇄골두개 이형성증 환자를 치료할 경우 기능적, 심미적으로 원만한 치료 결과를 위하여 적절한 시기에 과잉치를 발치 한 후 공간유지장치를 사용해야 하며 보철치료 및 교정치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환자의 협조도와 더불어 여러 분야의 협진적 치료가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