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ganic core

검색결과 328건 처리시간 0.028초

영산강유력(榮山江流域) 퇴적층(堆積層)의 수직적.공간적(垂直的.空間的) 발달(發達) 연구(硏究) (A Vertical and Spatial Study of Sediment Deposits Developing Along Yeongsan River)

  • 은고요나;유환수;김동주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540-552
    • /
    • 1997
  • 영산강 유역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퇴적층에 관해 과학적 체계적인 연구를 위해 영산강을 따라 13개 지점에서 시추가 수행되었다. 퇴적층은 가장 하류에 위치한 YS 1에서 22.0m, YS 2에서 20.0m, YS 3에서 18.5m, YS 4에서 12.0m, YS 5에서 3.0m, YS 7에서 5.5m, YS 8에서 3.0m, YS 9에서 5.9m, 그리고 가장 상류인 YS 10에서 5.0m까지 발달하고 있다. 퇴적층의 성분별 특성은 YS 4를 경계로 상류지역은 거의 사질을 포함한 자갈층이 우세하며, 하류지역인 YS 1$\sim$YS 3에서는 $11m{\sim}16m$ 정도의 두꺼운 니질층이 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 사질층과 사질층 아래에 자갈을 포함한 사질층이 연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시추공별 유기탄소의 평균함량은 YS 1에서 가장 낮은 0.5%인 반면 상류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YS 8에서 최대인 0.9%이다. 반면에 탄산염은 YS 2에서 14.2%로 가장 높고, YS 9에서 가장 낮은 2.8%이다. 결과적으로 유기탄소와 탄산염 함량의 공간적인 변화는 서로 상반적인 경향으로 나타난다. 입도분석 결과에 의하면, 강 상류지역에 퇴적층은 상대적으로 자갈의 함유량이 많은($48.8%{\sim}14.1%$) 반면 니질은 감소하고, 하류쪽으로 갈수록 자갈의 함유량이 적어지고 니질의 양이 증가하고 있다. 퇴적층의 성분별 공간적인 분포는 입도와 퇴적물 특성에 따라 자갈을 포함하고 있는 층과 포함하지 않고 있는 두개의 층으로 대분될수 있는데, 이러한 층의 경계는 YS 1$\sim$YS 4까지는 뚜렷하지만 상류지역의 퇴적층에서는 나타나지 않거나 모호하다.

  • PDF

낙동강 하구 새섬매자기 군락지 지화학 연구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cirpus planiculmis Habitats in Nakdong Estuary, Korea)

  • 김윤지;강정원;최재웅;박찬미;우한준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25-131
    • /
    • 2019
  • 낙동강 하구는 다양한 하구개발로 인해 수리 및 지형적인 변화를 겪고 있는 지역으로, 이러한 물리화학적 변화는 낙동강 하구 생태계에 영향을 주고 있다. 특히 낙동강 하구에 도래하는 겨울철새들의 주요 먹이원인 새섬매자기 군락지 및 개체수는 지난 10여년간 지속적인 감소를 보이고 있다. 낙동강 하구의 새섬매자기 개체수 감소 원인 파악을 위해 6개 정점에서 2018년 6월과 8월에 약 30cm의 주상퇴적물을 채취하였다. 퇴적물은 사질이 80% 이상으로 매우 조립하였으며, 평균 염분은 6월 $17.8{\pm}1.12psu$, 8월 $18.4{\pm}1.83psu$였다. 을숙도 퇴적물의 탄소안정동위원소비(${\delta}^{13}C$)는 평균 $-24.7{\pm}0.59$‰로 하구기원 입자성 유기물 특성을 보였다. 표층(0~1cm)에서 ${\delta}^{13}C$는 -24.0 ~ -22.6‰로 새섬매자기 뿌리와 줄기의 ${\delta}^{13}C$($-25.2{\pm}0.05$‰) 보다 다소 높았다. 이는 해양 유기물의 유입이 원인으로 판단된다. 식생지역과 비식생지역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이를 통하여 낙동강 하구 새섬매자기 군락지 환경이 비식생 지역과 거의 동일함을 유추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낙동강 하구 퇴적물은 조립하고 염분이 15 psu 이상으로, 새섬매자기 생육에 불리한 환경이 유지되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낙동강 염분 상승은 낙동강 하구둑 방류량의 감소가 원인으로 판단되며, 낙동강 하구 염분 상승이 새섬매 자기 생산량의 점진적 감소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보인다.

전기화학 반응용 표면증강라만산란 활성 실리카@금 마이크로쉘의 제작 (Preparation of Electrochemically Stable and SERS Active Silica@Gold Microshell)

  • 박려림;이지혜;정택동
    • 전기화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6-51
    • /
    • 2013
  • 전극과 용액 사이 계면에서 일어나는 전기화학 반응 현상을 보다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전기화학 반응과정을 분광학적 방법으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전극으로도 작동할 뿐만 아니라 표면증강라만산란(SERS) 활성도 강한 금 마이크로쉘을 제조하였다. 기존에 보고된 금 마이크로쉘에서 핵으로 사용한 폴리스티렌의 경우 균일성이 떨어지고 유기용매에 약하며 독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폴리스티렌 보다 균일한 구조를 가지고, 유기 용매에서도 사용 가능하며 무독한 실리카 비드를 이용하여 금 마이크로쉘을 만들고 높은 SERS 신호를 낼 수 있도록 최적화시켰다. $2{\mu}m$ 실리카 비드 표면에 서로 다른 양의 3-aminopropyl triethoxysilane (APTES)를 반응시켜 얻은 금 마이크로쉘에서 SERS 신호가 가장 월등히 증폭되는 조건을 비교한 결과 1% (v/v) APTES 조건에서 SERS 신호의 증폭이 가장 컸다. 표면증강라만산란 스펙트럼 및 전계방출형 주사전자현미경(FE-SEM) 이미지를 통해 금 마이크로쉘을 분석하였다.

OLED 조명산업 내 R&D 유망 분야 발굴 (The Detection of Promising R&D Fields m OLED Illumination Industry)

  • 심진보;김유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11B호
    • /
    • pp.1403-1412
    • /
    • 2011
  • 본 연구는 OLED 조명산업을 대상으로 직관적 방법론을 이용한 R&D 유망 분야 발굴 연구를 수행했다. 이를 위해 국내 조명산업 전문가 69명을 패널로 구성하여 1개월에 걸친 심층면접 및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OLED 조명산업을 패널, 패널용 소재/부품, 제조장비, 조명시스템의 4개 분야로 대분류하고, 각 분야별로 핵심기술을 선정하여 총 14개의 R&D 가능분야를 세분류했다. 각 분야별 기술경쟁력을 평가한 결과, 우리나라의 기술경쟁력이 가장 높게 평가된 분야는 OLED 패널 분야로 나타났으며, 반면에 OLED 패널용 소재/부품의 기술경쟁력이 낮은 것으로 평가되어 개선책이 요구된다. 한편, 경제성, 정책부합성, R&D 효과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7개 R&D 유망 분야를 선정했다. OLED 패널의 4가지 핵심기술인 백색, 투명, 색가변, 플렉시블 OLED 패널 제조 기술이 가장 유망한 분야로 평가되었고, 다음으로 면광원용 유기소재, 기판 소재/부품, 대면적 기판형성 장비가 유망 분야로 평가되었다.

Sedimentary Excess Barium from a Core of the Northwest Pacific Ocean: Geochemical Proxy

  • Suk, Bong-Chool;Park, Chan-Hong;Taira, Asahiko;Hyun, Sang-M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5권2호
    • /
    • pp.98-108
    • /
    • 2000
  • A geochemical study on a hemipelagic core sediment taken from the northwest Pacific Ocean (eastern edge of the Shikoku Basin) was conducted to use of excess barium (Ba(ex)) for evaluate the paleoceano-graphic changes. Also, the excursion of sedimentary Ba(ex) was compared with those of biogenic opal, carbonate and organic carbon content in the sediment during the last glacial and interglacial periods. The calculated Ba(ex) derived from the major and minor element shows a distinctive glacial-interglacial variations, and the mass accumulation rate (MAR) of Ba(ex) shows coincident variations with the MARs of biogenic fractions. Especially, strong positive correlation (r$^2$=0.85) between the MAR of Ba(ex) and the MAR of biogenic carbonate is recognized. Based on the strong positive correlation(r$^2$=0.85) between the MAR of Ba(ex) and the MAR of carbonate content, we estimated the degree of carbonate dissolution rate during the glacial and interglacial periods. Assuming the proportional variation and the refractory nature of barium exist between two factors, the variation of index Ca/Ba ratio in sediment indicates the degree of carbonate dissolution. Sedimentary Ca/Ba ratios index clearly show a striking fluctuation between the glacial and interglacial periods with higher positive correlation during glacial and lower correlation during interglacial. This fact indicates enhanced carbonate dissolution during interglacial period. Thus, the sedimentary Ca/Ba ratio in sedimentary records can be used as one of the useful tools for estimation of the relative degree of carbonate dissolution. The excursion of Ba(ex) and the sedimentary Ca/Ba ratio follows the typical pacific carbonate dissolution type(enhanced dissolution during interglacial and reduced dissolution during glacial time) as suggested by previous work (e.g., Wu et al., 1990). Variation in sedimentary Ca/Ba ratio thus strongly supports that glacial-interglacial fluctuation in carbonate dissolution has been prevailed in the northwest Pacific Ocean.

  • PDF

규산나트륨 바인더 수분함량이 중자 굽힘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Moisture Content in Sodium Silicate Binder on Bending Strength of Sand Core)

  • 김판성;배민아;이만식;백재호
    • 한국주조공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70-76
    • /
    • 2024
  • 규산나트륨 바인더는 주조산업의 유기바인더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무기바인더이지만, 대기 중의 수분에 대한 낮은 안정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경화된 규산나트륨 바인더가 가진 수분함량이 바인더의 강도와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경화 조건을 달리하여 중자를 제작하고 굽힘강도를 측정하였다. 규산나트륨 바인더는 130℃ 이상에서 Q3와 Q2의 실리케이트 구조를 가지는 바인더 가교를 안정적으로 형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중자의 최대 굽힘강도는 경화 조건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해당 경화 조건에서 바인더 가교를 형성한 실리케이트 구조가 유사하기 때문이다. 반면에 경화된 바인더의 수분 함량이 적을수록 강도안정성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경화된 규산나트륨 바인더의 수분함량은 바인더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인 것을 확인하였다.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Apple stem grooving virus Isolated from Talaromyces flavus

  • Shim Hye-Kyung;Hwang Kyu-Hyon;Shim Chang-Ki;Son Su-Wan;Kim Dong-Giun;Choi Yong-Mun;Chung Young-Jae;Kim Dae-Hyun;Jee Hyeong-Jin;Lee Suk-Cha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2권3호
    • /
    • pp.260-264
    • /
    • 2006
  • Talaromyces flavus mediates the transmission of Apple stem grooving virus (ASGV) to several host plants. The ASGV-F carried by T.flavus was partially purified from the fungus. Based on sequence analysis and homology searches, this is closely related to other ASGV strains isolated from host plants. The partially purified viral coat protein (CP) was separated on a 12% SDS-polyacrylamide gel and analyzed by Western blotting with an ASGV anti-serum. A single band at 28 kDa reacted with the ASGV anti-serum.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 of the ORF-l showed conserved domains, including an NTP-binding helicase motif, GFAGSGKT. The amino acid sequences of the helicase and CP showed strong homology to other ASGV strains (98%). All ASGV isolated from plants and fungi had salt bridges composed of the CP and the GFAGSGKT motif of the helicase, which are commonly conserved in plant virus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SGV-F is one of ASGV strains isolated from T.flavus based on sequence similarity as well as the serological analysis of CP.

Ecopathological Analysis of Apple stem grooving virus-K Harboring Talaromyces flavus

  • Shim Hye-Kyung;Hwang Kyu-Hyon;Shim Chang-Ki;Hong Seung-Beom;Son Su-Wan;Kim Dong-Giun;Choi Yong-Mun;Chung Young-Jae;Kim Dae-Hyun;Jee Hyeong-Jin;Lee Suk-Cha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2권3호
    • /
    • pp.248-254
    • /
    • 2006
  • Pear black necrotic leaf spot (PBNLS) on pear trees (Pyrus pyrifolia) is caused by a Korean isolate of Apple stem grooving virus (ASGV-K). Yellow spots were detected in Phaseolus vulgaris (kidney bean) and Chenopodium quinoa which were grown near the diseased pears in year 2000 through 2003. The ASGV-K, the causative agent of PBNLS, was detected from the symptoms of the diseased kidney bean plant and C. quinoa. ASGV-harboring fungi were also isolated from symptomatic plants and from soils surrounding the infected plants. The ASGV-harboring fungus was identified and characterized as Talaromyces flavus. Ecopathological studies showed that the number of ASGV-harboring fungi on the pear leaves was not correlated with differences in temperature or severity of symptoms. Additionally, there was no difference in fungus frequency among the orchard locations or different host plants. Although the frequency of fungi isolated from the soil was not affected by changes in temperature or location, the fungi occurred at higher densities in the rhizosphere than in the plants themselves.

The Pear Black Necrotic Leaf Spot Disease Virus Transmitted by Talaromyces flavus Displays Pathogenicity Similar to Apple stem grooving virus Strains

  • Shim Hye-Kyung;Hwang Kyu-Hyon;Shim Chang-Ki;Son Su-Wan;Kim Dong-Giun;Choi Yong-Mun;Chung Young-Jae;Kim Dae-Hyun;Jee Hyeong-Jin;Lee Suk-Cha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2권3호
    • /
    • pp.255-259
    • /
    • 2006
  • The pathogenicity to pear trees and other experimental hosts of the Apple stem grooving virus Korean isolate (ASGV-K) carried by a fungal vector, Talaromyces flavus was examined. ASGV-harboring T. flavus induced mild symptoms on virus-free pears. Symptom severity was intermediate between pears showing typical PBNLS and virus-free pears. Ten cultivars of Phaseolus vulgaris showed 35%-90% infectivity by direct infiltration into leaves and roots by ASGV-harboring T. flavus. Application of fungal cultures to soils showed 0%-70% infectivity depending on the P. vulgaris cultivar. Sap extracted from ASGV-infected Chenopodium quinoa induced similar symptoms on P. vulgaris at 25 days after inoculation. Similar symptoms were also detected on P. vulgaris which were inoculated with ASGV-harboring T.flavus. When healthy P. vulgaris leaves were challenged with sap extracted from P. vulgaris leaves infected with ASGV-harboring T. flavus, typical symptoms were observed. These data suggest that T. flavus mediates the transfer of ASGV to host plants.

신축성사 개발 및 물성평가 : 수축률 및 신축성의 평가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tretch Fabric : Shrinkage and Elasticity Properties)

  • 강기혁;김영성;손영아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73-179
    • /
    • 2010
  • In this study, we determine the stretch and shrinkage properties of conjugated yarns. The shrinkage(%) and elasticity(%) were determined by applying twist conditions of 0, 350, 800, 1000, 1200, 1400, 1600, 2000 T/M (twisting per meter). It is found that the shrinkage(%) and elasticity(%) gradually decreased with increasing T/M. Especially the elasticity(%) dramatically decreased over 1400 T/M condition. In contrast, it is showed that the handle and drapery properties decreased below 1000 T/M, which indicates that the optimal T/M condition could be 1000~1400. The effect of shrinkage(%) and elasticity(%) with different steam setting temperatures (60, 70, 80 and $90^{\circ}C$) was also determined. The shrinkage(%) decreased with increasing setting temperature, while the elasticity not changed. In this context, the optimal steam setting temperature could be $80^{\circ}C$ because it is not easy to weave with the yarns which was set below $80^{\circ}C$. The elasticity(%)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density of warp and weft. To produce soft handle, excellent drapery and good stretch fabrics, the warp density needs to be reached by 90% of the ideal warp density. In the case of NaOH treatments to the fabrics, the elasticity(%) increased with increasing weight reduction. Therefore, this study have demonstrated that the conjugated yarns with core yarn and the SDY CD(cation dyeable spindraw yarn) as an effect yarn would be appropriate to produce excellent mixture-yarn, which displays clean appearance, good handle and excellent elasticity, The optimized conditions are as follows; 1000~1200 twist per meter, $80^{\circ}C$ steam setting temperature, 90% of ideal warp density and relaxation condition treated with 5g/l NaOH concen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