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ganic Meat

검색결과 144건 처리시간 0.028초

유기농 닭에 대한 말라위 소비자 인식 및 가치 추정 (Consumers' Perceptions and Valuation of an Organic Chicken in Malawi)

  • 샤바 삼손 음코사나;최세현;정원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9-31
    • /
    • 2018
  • In general, an increase in consumer income increases interest in safe foods and increases consumption of environmental friendly foods. Meanwhile, even in Malawi, interest in safe food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food has been increasing due to increase in per capita income, but research related to this has not been done y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value of environmentally friendly foods in Malawi consumers. For this purpose, we surveyed the consumption patterns and estimated the value of organic chicken for consumers visiting supermarkets. As a value estimation techniqu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 was used. Probit model analysis showed that price, expenditure on regular chicken, and knowledge of organic food affect the willingness to pay for organic chicken. CVM analysis shows that Malawi supermarket consumers are willing to pay MK2,514 (3.59) dollars per kilo of organic chicken, which is 25.7% higher than the average price of a regular chicken. Thus, Malawi supermarket consumers can deduce that they have a higher value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food than regular food. These findings can be used in formulating policies on food safety by government officials, organic chicken meat marketing strategies by supermarket mangers, decision making to enhance organic food production by producers, in order to develop organic food industry.

Astaxanthin을 생성하는 Phaffia rhodozyma를 포함한 미생물제제의 급여가 오리의 성장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Probiotics Supplementation Contained with Astaxanthin Produced by Phaffia rhodozyma on the Productivity and Meat Quality of Ducks)

  • 김경수;이준훈;신명수;조미선;김영필;조성구;강연중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73-80
    • /
    • 2005
  • 본 연구는 갓 부화한 오리에게 astaxanthin 생성균주인 phaffia rhodozyma를 포함한 미생물제제를 사료에 첨가하여 급여시킴으로써 오리의 성장에 미치는 효과와 오리고기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암수 동수의 1일령 오리 150수를 공시하여 배합사료에 미생물제제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C)와 Phaffia rhodozyma를 포함한 미생물제제를 첨가한 처리구(T)를 두었다. 처리구는 Phaffia rhodozyma가 제제에 $1\times10^8cfu/g$이 함유되도록 제조하여 사료에 $0.1\%$씩 혼합하여 급여하였다. 사양실험을 통하여 폐사율과 증체량, 사료효율을 조사하였고 45일령 때 도압하여 고기에 대한 일반성분조사, 육질검사, 관능검사, 지방산 분석, 콜레스테롤 분석, 저장시험, astaxanthin 함량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미생물제제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는 $3.7\%$의 폐사율을, 처리구에선 $0\%$의 폐사율을 보여 병에 대한 저항성이 증가하였음을 보였다. 대조구의 경우 평균 2.68 kg의 증체를, 처리구는 2.84 kg의 증체를 보였다. 사료요구율도 대조구 2.15, 처리구 1.83으로 처리구의 효율이 유의성있게 개선되었다. 오리고기에 대한 육질검사 결과 대조구와 비교하여 처리구의 육질이 부드럽고 고소하였다. 일반성분검사 결과 처리구의 오리가 대조구에 비해 지방은 줄고 단백질함량은 높아졌으며, 콜레스테롤은 줄고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이 높은 고품질의 고기임을 알 수 있었다. 오리 조직내의 카로티노이드 함량의 경우 처리구의 오리 조직 내에 astaxanthin과 $\beta-carotein$이 축적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김치양념과 유기산을 이용한 소형 적색육어 조미숙성제품 개발 1. 꽁치 조미제품의 숙성 중 화학적 변화 (Development of Conditioning for Small Red Muscle Fish Using Kimchi Seasoning Ingredients and Organic acids 1. Chemical Changes during Conditioning in Conditioned Saury with Kimchi Seasoning and Organic acids)

  • 정인학;임영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09-314
    • /
    • 2001
  • 소형 적색육어의 소비기호에 부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잔뼈를 연화시켜 제거하고 비린내를 저감시키기 위하여 대표적인 소형 적색육어인 꽁치, Cololabis saira를 김치양념과 유기산 그리고 미강을 첨가하여 $5\pm0.5^{\circ}C$에서 60일 동안 숙성시키면서 15일 간격으로 숙성 중 화학적 변화를 검토하였다. 마른간이 물간에 비해 염침투도 및 탈수도가 높아 조미양념과의 평형이 15일 정도 빨랐으며, 그로 인해 숙성 중 pH가 높고, 휘발성염기질소함량과 TBA가가 낮아 조미숙성제품 제조시 염 첨가방법은 마른간이 적합하였다. 마른간에 미강을 첨가한 제품은 첨가하지 않은 제품에 비해 미강에 함유되어 있는 아미노산이 제품으로 이행되어 정미성분의 함량을 나타내는 아미노태질소가 높았고, 단백질 산패억제 및 미강의 carotenoid와 tocopherol 둥의 항산화물질에 의한 지질산화 억제효과도 있어 저이용 자원의 활용 증대측면에서 상업적 제품화가 기대된다.

  • PDF

새롭게 출현한 Arcobacter butzleri의 유기산과 trisodium phosphate 처리에 의한 생육저해효과 (Growth Inhibition of Newly Emerging Arcobacter butzlrei by Organic Acids and Trisodium Phosphate)

  • 장정순;이영덕;박종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1169-1173
    • /
    • 2003
  • 새롭게 출현한 식중독 세균으로 국내 유통 계육 등에 많이 오염이 되어 있는 Arcobacter butzleri를 제어하기 위해 여러 위생제 처리에 따른 생육영향을 평가하였다. 이들 균체에 1%농도의 유기산과 trisodium phosphate를 5, 10분간 처리한 결과 대부분이 10분 이내에 사멸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젖산의 경우는 5분 이내에 모든 균주가 사멸하였다. 배양할 때의 유기산의 농도별 생육영향은 1%의 농도로는 1시간 이내에, 0.1%의 농도에서 72시간 이내에 A. butzleri가 사멸한 것을 볼 수 있었으며, trisodium phosphate의 경우 2% 농도에서는 1 시간이내에 사멸하였다. 유기산 중에는 젖산의 생육저해효과가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hydrogen peroxide, sodium hypochlorite와 ethanol에 대한 사멸효과를 보았으나, 이 처리제는 효과가 나쁘거나 풍미에 영향을 주어 좋은 처리제라 할 수 없었다. 그리고 마늘과 양파즙에 대한 항미생물 작용에서 마늘에만 생육저해작용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젖산균이 생산하는 유기산에 의한 낮은 pH에 의한 저해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계육 등의 육가공 및 취급 시에 유기산 및 TSP 등을 이용하여 주요 Arcobacter에 의한 식중독저해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of Dairy Beef Round Subjected to Various Cooking Methods

  • Yousung Jung;Hye-Jin Kim;Dongwook Kim;Bumjin Joo;Jin-Woo Jhoo;Aera Ja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767-791
    • /
    • 2023
  • To evaluate the effect of different cooking methods on the physicochemical quality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 of dairy beef round, twelve beef round piece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raw, boiling, microwave, and sous-vide. The sous-vide group had a higher pH than the boiling or microwave groups. The boiling group exhibited the highest shear force and CIE L*, followed by the microwave and sous-vide groups (p<0.05). The sous-vide group received higher taste and tenderness scores from panelists (p<0.05) and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aspartic and glutamic acids than the other groups. The sous-vide and microwave groups had the highest oleic acid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 levels, respectively. The sous-vide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hypoxanthine and inosine levels than the other groups. However, the microwave group had higher inosine monophosphate levels than the other groups. The sous-vide group had a higher alcohol content, including 1-octen-3-ol, than the other groups. Octanal and nonanal were the most abundant aldehydes in all groups. (R)-(-)-14-methyl-8-hexadecyn-1-ol, p-cresol, and 1-tridecyne were used to distinguish the VOC for each group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Sous-vide could be effective in increasing meat tenderness as well as taste-related free amino acid (aspartic acid and glutamic acid) and fatty acid (oleic acid) levels. Furthermore, specific VOC, including 1-octen-3-ol, 2-ethylhexanal ethylene glycol acetal, and 2-octen-1-ol, (E)-, could be potential markers for distinguishing sous-vide from other cooking methods.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understand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 predominant association of these VOC with the sous-vide cooking method.

유기셀레늄 혼합제 급여가 비육말기 거세한우의 성장, 도체성적, 체내 셀레늄 분포 및 경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ganic Selenium Mix on the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Tissue Selenium Distribution, and Economic Value in Finishing Hanwoo Steers)

  • 김동균;정다운;성하균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6호
    • /
    • pp.975-984
    • /
    • 2005
  • 본 연구는 유기태 셀레늄 급여가 한우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유기태 셀레늄 혼합제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비육말기 거세한우에 급여하였을 때 나타나는 성장, 육질, 체내 셀레늄 분포 및 경제성을 분석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총 45두의 비육후기 거세한우를 유기태 셀레늄 혼합제 급여 수준에 따라 15 두씩 3개의 시험구에 임의배치 하고 사료 건물 중 셀레늄 함량을 0.5ppm 수준이 되도록 유기셀레늄 혼합제를 급여한 시험구(0.5ppm OSM구), 1.0ppm 수준으로 처리한 시험구(1.0ppm OSM구) 및 대조구(혼합제 무첨가 관행사육구)로 나누어 4개월간 사양시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3개의 시험구간 총 증체량, 일일 증체량 및 사료 섭취량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05). 도체중량, 배최장근면적, 등지방두께, 육량지수, 육색지수, 지방색, 연도, 성숙도 등에서도 시험구간 유의적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p>0.05). 그러나 상대적으로 유기태 셀레늄과 함께 미생물 제제가 많이 공급된 1.0ppm OSM 구에서 사료효율(사료요구량과 증체당 TDN), 도체등급 및 육질등급이 다른 시험구보다 좋은 성적을 나타냈다. 각 조직의 셀레늄은 유기태 셀레늄 급여에 의해 함량이 증가되었는데 0.5ppm OSM 구에서는 간과 우둔 그리고 1.0ppm OSM 구에서는 신장, 간, 등심 및 우둔의 셀레늄함량이 대조구보다 높았다(p<0.05). 조직 내 셀레늄 함량은 전반적으로 1.0ppm OSM 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각 조직간 셀레늄 함량은 신장, 간, 등심 그리고 우둔 순으로 높았다. 사양시험 종료시 도체 경락가를 기초로 경제성을 평가하였을 때 1.0ppm OSM 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수익성이 5.5% 정도 높았다. 결론적으로, 유기셀레늄 혼합제의 급여와 급여수준은 사료섭취량, 증체량 그리고 도체특성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각 조직의 셀레늄 함량을 증가시켰다. 또한 유기셀레늄 혼합제를 1.0ppm 수준으로 사용하였을 때 육우 판매수입이 증가하였다.

친환경 유기농 식품을 활용한 한식 건강 메뉴의 이용 실태 및 선택 속성의 중요도 연구 -성별을 중심으로- (Study on Actual State and Importance of Selection of Healthy Korean Food Menu Items Made from Environmentally-Friendly Organic Foods - Focused on Gender-)

  • 김미자;박금순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88-502
    • /
    • 2014
  • Research on the actual state of healthy Korean food menu items made from environmentally-friendly organic foods showed that 65.6% of subjects had experience of purchasing environmentally-friendly organic foods, and both genders chose 'expensive but reliable' as their prime reason for purchasing. Having no experience of purchasing environmentally-friendly foods constituted 34.5% of respondents, and the reasons were 'high price' and 'finding no difference from ordinary food'. Research on awareness of healthy Korean food menu items made from environmentally-friendly organic ingredients showed that both men and women thought the given menu items were 'fresh' but had little awareness of other factors such as 'good value for price', 'good visual style' and 'various recipes'. Regarding development prospective of environmentally-friendly organic foods, the number of subjects who answered positively was 405 (93%), which indicates that most research subjects showed positive attitudes. Top-selling menu items in the grain section were Sundubu-jjigae, Dubu-kimchi and Jeonju-bibimbap, and pajeon took first place in the vegetable selection. Moreover, Imjasu-tang showed high scores in the meat section. Furthermore, research on menu selection showed that menu selection was usually dependent on 'the price of menu (3.86)', 'fresh ingredients (4.03)', 'harmony of color (3.65)' and 'mood of the day (3.25)'. Research on menu selection revealed that 'quality of food' factors had the greatest influence upon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for environmentally-friendly organic foods. Visual and psychological factors and values had significant an effect. Therefore, the food service industry should use this study as a source to develop menu items, by considering quality and visual factors. In addition, there should be various research performed on marketing strategies about menus from using environmentally-friendly organic foods and high value products.

계육에 오염된 Campylobacter 균의 불활성화 평가 (Assessment of Inactivation for Campylobacter spp. Attached on Chicken Meat)

  • 장금일;정헌상;김정호;김광엽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02-307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위생제 처리에 의해 계육에 존재하는 Campylobacter 균의 불활성화 효과를 신속하고 직접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먼저 Campylobacter균의 계육중 오염 부위는 계육 표면의 주름진 틈 사이 및 모공 주변에 존재하였다. 그리고 TSP처리에 의한 Campylobacter균의 불활성화 효과를 in vitro 방법으로 평가한 결과, Campylobacter 균은 활성상태인 나선형에서 구형으로 형태변환이 발생하였는데, 구형으로 변환된 Campylobacter균은 배양된 배지성분이 제거된 경우 불활성화 효과가 나타내는 반면, 배지성분이 잔존한 경우 TSP처리에 의해 불활성화되지 않은 VBNC의 구형 상태로 잔존하였다. 또한 계육 표면에 오염된 Campylobacrer균을 불활성화 시키기 위해 TSP를 처리하였을 때, Campylobacter균의 모양이 구형으로 변환되었지만, TSP처리에 의해 불활성화 효과를 나타내지 않고 계육 표면에 VBNC 형태로 잔존하여 배지성분을 제거시킨 결과와 같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Campylobacter균의 배지성분 내의 유기물 및 계육표면에 존재하는 유기물을 이용하여 TSP에 대한 저항력을 향상시킨 것으로 생각되며, 이는 다양한 위생제 처리에 의한 식품의 안전성을 추구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문제점이라고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계육에 존재하는 Campylobacter균에 대하여 위생제 처리에 의한 불활성화 효과를 직접적이면서 신속하게 평가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유색육용계에 에너지 및 단백질 수준이 다른 유기 사료 급여가 생산성, 혈액성상, 계육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arious Organic Dietary ME and CP on Performance, Blood Composition and Meat Quality in Meat Type Cross-Bred Chicks)

  • 정용대;전병수;류경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39-147
    • /
    • 2009
  • 본 연구는 교잡육용계에서 최적 수준의 유기 사료 영양소 함량을 구명하고자 에너지 및 단백질 수준이 다른 사료 급여가 육색육용계의 생산성, 혈액 성상 및 계육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공시동물은 0, 6, 11 주령 유색육용계를 사용하였다. 시험 사료의 에너지 및 단백질 수준은 0~5주에 ME 3,000, 3,050, 3,100 kcal/kg, CP 21, 22%, 6~10주는 ME 3,050, 3,100, 3,150 kcal/kg, CP 19, 20%, 11~15주는 3,100, 3,150 kcal/kg, CP 17, 18%로 하였다. 처리구는 0~5, 6~10주에 $2{\times}3$ factorial design으로 총 6개 처리구 이고 처리구당 4반복, 반복당 20수씩, 11~15주는 $2{\times}2$ factorial design이며, 총 4개 처리구, 3반복, 반복당 28수씩 배치하였다. 0~5주의 증체량은 에너지 수준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사료 섭취량은 에너지 수준이 높을수록 현저하게 감소하였다(P<0.05). 사료 요구율은 ME 3,100 처리구가 ME 3,000, 3,050 처리구보다 통계적으로 감소하였고 단백질은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P<0.05). 6~10주간 증체량, 사료 섭취량은 에너지 수준이 높을수록 각각 증가 및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사료 요구율은 ME 3,100, 3,150 처리구가 ME 3,050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단백질 처리구들은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P<0.05). 11~15주간 증체량, 사료 섭취량은 에너지가 높고 단백질이 낮은 처리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사료 요구율은 ME 3,150 처리구가 ME 3,000 처리구보다 두드러지게 감소하였고, CP 처리구는 차이가 없었다(P<0.05). 각 기간별 생산성에 대한 에너지 및 단백질 간 교호 작용은 나타내지 않았다. 혈액 성상 및 계육 품질은 에너지와 단백질 수준에 따른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으며 교호 작용도 없었다. 따라서 0~5주 사료의 에너지 수준은 3,100 kcal/kg, 단백질은 21%, 6~10주는 ME 3,100 혹은 3,150 kcal/kg, CP 19%이고 후기 사료의 에너지 및 단백질 수준은 혹서기에 영향을 받아 적정 수준을 정할 수 없다. 본 연구 결과는 사양 기간별 수행한 결과이므로 0~15주간 수행하는 추가 시험이 필요하다.

지렁이를 이용한 계분처리 그리고 지렁이를 이용한 계육 및 계란의 생산과 안전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reatment of Poultry Waste by Earthworms, and the Effect of Feeding Earthworms Meal on the Performance of Broilers and Laying Hens, and Safety of Meat and Egg)

  • 손장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63-82
    • /
    • 2009
  • 본 논문은 지렁이를 이용한 계분처리 그리고 지렁이를 이용한 계육 및 계란의 생산과 안전성에 관한 연구에 대해서 정리하였다. 1. 대구교육대학교 내 지렁이가 계분을 양질의 물질로 전환시키는 친환경 계사가 만들어졌다. 2. 높은 단백질 함량과 균형 잡힌 아미노산 및 양질의 지방산을 포함하는 지렁이 분말은 단위동물의 사료원으로 최상이다. 3. 육계의 사료 중 $0.2{\sim}0.4%$의 지렁이 분말의 첨가는 사료 중 단백질 소화율을 개선시켜서 생산성을 증가시켰다. 4. 산란계에서의 지렁이 분말 $0.2{\sim}0.6%$ 첨가는 산란성적을 개선시켰으며, 계란의 질 특히 난황중의 n-6/n-3의 균형을 개선시켰다. 5. 지렁이 분말 중에 As, Cd, Cr, Hg 및 Pb 등의 중금속이 소량 검출되었으나 이 지렁이 분말을 사료첨가제로 먹고 생산된 계육과 계란에서는 상기에 제시한 중금속이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지렁이 분말을 첨가제로 생산된 계육과 계란은 중금속의 축적에서 안전하다고 할 수 있다. 5. 본 연구에서는 지렁이는 친환경 축산에도 매우 중요한 소재로 활용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