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al Health Subjective

검색결과 405건 처리시간 0.037초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임상적 특성에 따른 심리상태 (Psychological state of the patients according to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symptoms)

  • 김선옥;진미영;유병철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05-216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patients according to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symptoms. Methods: The subjects were 200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clinical manifestation, and T score of Korean version of self-rated Symptom Checklist-90-Revision modified by Jae-hwan Kim.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AS version 9.2 and t-test, ANOVA, and ANCOVA were used. Clinical manifestation included subjective recognition and radiological analysis. The subjective recognition of the patients consisted of self-satisfaction of the appearance, phonation, mastication, and temporomandibular joint pain. T score consisted of somatization, obsessive-compulsive, interpersonal sensitivity, depression, anxiety, hostility, phobic anxiety, paranoid ideation, and psychoticism. Results: The most serious factor in 9 scales was the severe TMJ pain by ANCOVA. Male patients had a higher T score in phobic anxiety, psyochoticism, somatization and depression than female patients. Those having low appearance satisfaction had the problem in interpersonal sensitivity. Obsessive-compulsive symptoms were conspicuous in phonation difficulty and temporomandibular pain. Conclusions: The patients with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have more satisfaction with appearance, pronunciation, and phonation than those with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and overjet. Proper dental treatment will improve the communication and quality of life.

주관적인 치아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와 자아존중감과의 관련성 (Relationships between subjective teeth awareness and satisfaction on self-esteem)

  • 정은서;이경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2호
    • /
    • pp.315-324
    • /
    • 2016
  • 본 연구는 치아가 외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 및 자신의 치아 만족도, 주관적인 치아에 대한 인식과 자아존중감에 대해 살펴보고, 이들의 관련성에 대해 조사함으로써 향후 치아 미용 관련 환자의 진료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2015년 5월부터 8월까지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일반인 320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이중 응답이 미흡한 18부를 제외한 302(94.38%)부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적합된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p<0.001), 모형 설명력은 23.4%로 나타났으며, 선정된 독립변수 중 학력(대졸 이상)과 치아가 외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 주관적인 치아에 대한 인식은 자아존중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 주관적인 치아에 대한 인식이 증가할수록 자아존중감을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나 치과를 내원하는 환자들의 구강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이와 관련된 구강보건교육을 시행하고, 치아의 색이나 배열 등을 개선할 수 있는 적극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하여 자신감과 만족감을 더 고취시킬 수 있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비만 및 다이어트가 치아우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복합 연구: 국민건강영양조사 2008, 2018자료 (A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s of Obesity and Diet on Dental caries: Use of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08, 2018)

  • 손은교;박일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0호
    • /
    • pp.319-327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비만 및 다이어트가 치아우식에 미치는 관계를 융합적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2008년, 2018년)를 활용한 2차 분석연구로, 연구대상은 영구치우식경험이 있는 대상자이다. 연구에서 자료는 SPSS /WIN 24.0을 이용하여 t-test, ANOVA,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성별에 따른 영구치 우식경험여부는 여성이 높았고(M=.76, W=.83), 교육수준에 따른 영구치 우식경험여부는 고학력에서 높았다(대학 이상=.92). 주관적 체형인식에 따른 차이에서는 비만이 영구치 우식경험과 연관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체중 조절 방법 중 단식이 영구치 우식경험에 영향이 컸다. 체중 변화에 따른 영구치 우식경험여부는 체중의 감소, 증가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연구에서는 비만과 관계있는 당 섭취의 연구뿐만 아니라 현 트렌드에 맞추어 진행되는 다이어트에 치아우식의 위험을 알리는 올바른 구강보건 교육 연구가 계속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치기공과와 치위생과 학생의 특성과 전공학습 인지도 (A study of subjective oral health actual condition 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Daegu area)

  • 송경희;배봉진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522-535
    • /
    • 2009
  • Surveying perception of majors to students of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 433(48.3%) and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463(51.7%), and their sex rates 272 (30.4%) for males and 624 (69.6%) for females, 896 examines in total, have let us to know the level of student's perception of their majors and now able to adjust the level of major's lectures and maximize the ability to study has brought these conclusions. 1. Although the hometowns of students had similar rates between large and small cities disregarding their departments, the type of highschool had differences for the academic highschool graduators were the most. Also, CSAT was the highest than other specialized types when entering. 2. Self selection considering employment percentage was the highest for the student's choice of selecting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and dental technology. 3. For the satisfaction of school and education systems, "satisfied" and "normal" were as high as 74% in both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and dental technology for school satisfaction, and 75%, 74% for satisfaction of environment from the two departments. 4. As for the satisfaction of department and environment,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and dental technology both answered "satisfied" and "normal" the most, but in satisfaction of companions, they have shown relatively high satisfaction by answering "very satisfied" and "satisfied". 5. Difficulties of majors relating to the perception of learning,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 and dental hygiene both answered too much to memorize and hard to understand. 6.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s try for majors relating to the level of perception of learning have shown that they have high understandings in proportion to how much they try but for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has shown not much differences. 7.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had higher stress than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 in studying majors and there were both some differences statistically.

  • PDF

미충족 치과의료 연구 동향 및 영향요인 분석 : 체계적 문헌고찰을 이용하여세요 (Analysis of dental unmet needs medical research trends and influence factors : using structural literature review)

  • 김우종;신영전;김소애;김잔디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43-256
    • /
    • 2020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and facilitate provisions for the unmet dental needs of Koreans, stratified by time, influencing factors, and research trends, through a systematic review of related published studies since 2006. Methods: this review focused on previous studies published between January 2006 and November 2019 that analyzed influencing the factors underlying the unmet dental needs of koreans. We followed the guidelines set for each phase of research and selected the final 32 studies that met the selection criteria for the analysis. Results: The number of studies has rapidly increased since 2015 (22 studies, 68.7%). the were 68.9% in 2006, 25.9% in 2009, 41.3% in 2010- 2012, and 33.3% in 2013-2015 for adults and 27.9% in 2010, 24.6% in 2015, and 16.1% in 2017 for the rates of older adults. the rates of unmet dental needs related to economic factors, were 38.6% in 2006, 41.4% in 2007-2009, and 35.9% in 2013-2015 for adults and 50.5% in 2010 and 41.2% in 2015 for the older adults. There were common influencing factors for unmet dental needs. the rate of unmet dental needs was increased by with female gender, younger age, single marital status, low family income, low educational level, worsened subjective health condition, and the presence of chronic diseases. Conclusions: Standardized studies with more accurate definitions and assessment tools are required. however, our study emphasizes the need for a policy intervention that accounts for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s to reduce unmet dental needs.

일부 성인의 구강건조감, 구취와 스트레스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Correlation between stress, dry mouth and halitosis in adults)

  • 홍민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89-397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behaviors by the degree od dry mouth related to stress, dry mouth and halitosis. Methods: The subjects were 400 adult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from August 1 to November 30, 2014.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program.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eight questions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one question of subjective stress symptom, six questions of dry mouth symptom, four questions of dry mouth behavior, and one question of halitosis.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alitosis and stress in patients having systemic diseases. Stres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gender, income, drinking frequency and alcohol consumption. The degree of dry mouth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gender and age. In dry mouth severity, behavior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age, education, and times and amount of alcohol consumption. Ag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igarette consumption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dry mouth and dry mouth behavior. Cigarette consumpt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lcohol consumption. Drinking frequency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lcohol consumption, dry mouth, dry mouth behavior, halitosis and stress. Alcohol consumption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dry mouth behavior, and dry mouth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dry mouth behavior, halitosis and stress. Dry mouth behavior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halitosis and stress, while halitosi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tress. Conclusions: Stress, dry mouth and halitosis were closely correlated. Since stress i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stress relief will be the most effective measure to alleviate oral symptoms. Therefore, stress relief measures need to be devised for oral health management in adults having stressful life.

경로당 여성 노인들의 치매와 잔존 치아 수와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dementia and the number of remaining tooth of the elderly women on senior center)

  • 조민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2호
    • /
    • pp.279-286
    • /
    • 2016
  • 최근 노인 인구의 증가로 노인들의 삶의 질과 관련하여 구강건강에 관한 관심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 치매의심, 정상인 세 그룹으로 나누어 여성 노인들의 잔존 치아 수와의 관련성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일부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경로당을 방문한 60세 이상 여성 노인 177명의 구강 상태와 그들의 MMSE 점수로 인지기능을 평가하였다. 모든 자료는 SPSS를 이용하여 chi-square test, t-test, ANOVA, multiful logistic regression 통계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Multiful logistic regression으로 MMSE 점수에 따른 치매와 잔존 치아 수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고, 95% 신뢰구간으로 정하였다. 치매가 있는 대상자가 잔존 치아수가 0-10개로 적을 위험비가 3.53배(95% confidence interval: 1.382-8.997)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여성 노인들에서 MMSE 점수에 따른 치매와 잔존 치아 수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국 노인의 주관적 감각장애와 인지기능 간 관계: 2017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The Association between Self-Reported Sensory Impairment and Cognitive Function among Korean Older Adults: Results from the 2017 National Survey of the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of Older Koreans)

  • 배수현;김기연
    • 한국노년학
    • /
    • 제39권2호
    • /
    • pp.389-404
    • /
    • 2019
  • 본 연구는 한국 노인이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감각장애와 인지기능 간의 관계 조사이다. 연구방법은 2017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65세 이상 10,082명에 대한 주관적 감각장애에 대한 평가 자료와 MMSE-DS를 통한 인지기능 간 관계를 위계적 다중회귀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시력, 청력, 구강 기능에 대해 주관적 불편감을 보고할수록 인지기능 감소의 위험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청력, 구강에 대한 불편감은 치매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음을 발견하였다. 특히 다른 감각기능에 비해 청력 불편감이 치매의심 집단의 인지기능과 상관관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노인의 감각기능을 정부 차원에서 관리할 필요성이 있으며, 노인 스스로 감각기능의 신체적 변화를 지각하고 평가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아울러 노인의 건강 증진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20대 일부 성인의 교합력 관련 요인 (Influencing factors on bite force of adults in twenties)

  • 이미라;정수진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03-310
    • /
    • 2014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ite force by gender and physical features. Methods :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filled out by 212 college students in Chungnam province from October to December, 2013.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oral health condition. The bite force of the first molar teeth was measured. Results : Males showed the greater bite force than females(p<0.001). Those who had temporomandibular joint(TMJ) disorder suffered from mouth opening difficulty and weaker bite force than those who had not(p<0.05). Those who had malocclusion showed weaker bite force (p<0.01). Those who had a habit of chewing gums tended to have greater bite force than those who had not(p<0.05). The bite force was correlated with height(r=0.309), weight(r=0.345), and BMI(r=0.249)(p<0.01). Conclusions : Males showed greater bite force than females.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MJ) disorder, subjective malocclusion, and eating habit also affected the bite force.

정교한 데이터 분류를 위한 방법론의 고찰 (A Review of the Methodology for Sophisticated Data Classification)

  • 김승재;김성환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27-34
    • /
    • 2021
  • 전 세계적으로 인공지능(AI)을 구현하려는 움직임이 많아지고 있다. AI구현에서는 많은 양의 데이터, 목적에 맞는 데이터의 분류 등 데이터의 중요성을 뺄 수 없다. 이러한 데이터를 생성하고 가공하는 기술에는 사물인터넷(IOT)과 빅데이터(Big-data) 분석이 있으며 4차 산업을 이끌어 가는 원동력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기술은 국가와 개인 차원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나 특정분야에 집결되는 데이터를 기준으로 빅데이터 분석에 활용함으로써 새로운 모델을 발견하고, 그 모델로 새로운 값을 추론하고 예측함으로써 미래비전을 제시하려는 시도가 많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데이터 분석을 통한 결론은 데이터가 가지고 있는 정보의 정확성에 따라 많은 변화를 가져올 수 있으며, 그 변화에 따라 잘못된 결과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이렇듯 데이터의 분석은 데이터가 가지는 정보 또는 분석 목적에 맞는 데이터 분류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빅데이터 분석결과 통계량의 신뢰성과 정교함을 얻기 위해서는 각 변수의 의미와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다중공선성 등을 고려하여 분석해야 한다. 즉, 빅데이터 분석에 앞서 분석목적에 맞도록 데이터의 분류가 잘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이에 본 고찰에서는 AI기술을 구현하는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ML) 기법에 속하는 분류분석(classification analysis, CA) 중 의사결정트리(decision tree, DT)기법, 랜덤포레스트(random forest, RF)기법, 선형분류분석(linear discriminant analysis, LDA), 이차선형분류분석(quadratic discriminant analysis, QDA)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분류한 후 데이터의 분류정도를 평가함으로써 데이터의 분류 분석률 향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