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al Health Impact Profile - 14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3초

노인들의 저작 능력과 OHIP-14를 이용한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과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masticatory ability and the quality of life oral health- related using OHIP-14 of the elderly)

  • 조민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9호
    • /
    • pp.341-348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들의 저작 능력과 구강건강영향지수(OHIP-14)를 이용하여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과의 관련성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하였다. 총 195명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주관적인 저작능력과 객관적인 저작능력 그리고 삶의 질에 관한 OHIP-14를 조사하였다. 저작능력이 낮을 경우 삶의 질이 나쁠 위험비가 증가하였고, 나이, 거주형태, 교육수준, 틀니의 사용을 보정한 결과 주관적 저작 능력은 삶의 질이 낮아질 위험비가 2.42배(p<0.05) 높게 나타났으며, 객관적인 저작 능력은 7.58배(p<0.001)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저작 능력이 노인들의 삶의 질을 나타내는 OHIP-14 총 점수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들이 저작능력이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다양한 후속 연구들이 장기적으로 진행되어 건전한 구강건강 유지와 함께 노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근로자의 구강자각증상과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 (A Study on the Oral Symptoms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HIP-14) of Industrial Workers)

  • 김아진;강은주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51-58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근로자의 구강건조증상과 다양한 구강자각증상에 대하여 알아보고 근로자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조사 분석하여 근로자의 구강건강증진을 도모하는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2012년 8월 1일부터 9월 20일까지 전라북도 소재의 5개의 산업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구강건조증상은 사무직 근로자가 2.59점으로 영업직 근로자 1.71점보다 유의하게 구강건조증상 정도가 높았다 (p<0.001). 2. OHIP-14는 비정규직이 2.05점, 정규직이 1.82점으로 나타났다(p<0.00 1). 3. 구강건조증상은 OHIP-14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r=0.456). OHIP-14는 연령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r=0.209), 최종학력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136). 4. 구강건조증상이 심할수록(${\beta}=0.383$, p<0.001), 연령이 높을수록(${\beta}=0.221$, p<0.001), 치과질환을 갖고 있다고 느꼈을 때(${\beta}=0.146$, p<0.01) OHIP-14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위와 같이 근로자들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참고하여 산업장 근로자의 구강건강증진을 도모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국가보건정책 부분에서 산업구강보건 개선을 위해 적극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Impact of skeletal divergence on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self-reported jaw function

  • Antoun, Joseph Safwat;Thomson, William Murray;Merriman, Tony Raymond;Rongo, Roberto;Farella, Mauro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186-194
    • /
    • 2017
  •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HRQoL) and self-reported jaw function between patients with hyperdivergent and normodivergent facial types. Methods: Eighty patients with a distinctively hyperdivergent facial type (mandibular plane angle greater than 2 standard deviations, or $42^{\circ}$) and 80 controls were individually matched according to age, sex, ethnicity, and treatment stage.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such as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OHIP-14) and Jaw Functional Limitation Scale (JFLS-8).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17.2{\pm}4.6years$ (range, 12-49 years), with most (65.0%) being female and of New Zealand European origin (91.3%). Individuals with hyperdivergent facial types had higher overall and social domain scores on the OHIP-14 (p < 0.05) than did the ones with normodivergent facial types. However, the intergroup differences in JFLS-8 scores were not significant (p > 0.05). Conclusions: Jaw function appears to be similar in individuals with hyperdivergent and normodivergent facial morphologies. However, those with hyperdivergent facial types are more likely to self-report poorer OHRQoL than are those with normal faces, especially in relation to social aspects.

국내 중국인 유학생의 구강건강관리행태에 따른 구강건강 삶의 질 (Oral health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by behavior of oral care)

  • 심재숙;이미라;강윤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343-350
    • /
    • 2016
  • 구강건강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구강건강관리행태를 파악하여 중국인 유학생의 구강건강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전북 소재 대학교 중국인 유학생 236명을 대상으로 2013년 4월 2일부터 5월 9일 동안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65.3%가 1년 이내 치과내원 경험이 없었으며, 82.6%가 1년 이내 치석제거를 받지 않았고, 68.2%가 구강보건교육을 받은 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OHIP-14는 학년, 건강보험 가입여부, 유학생활 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구강건강관리행태에 따른 OHIP-14는 주관적인 구강건강상태, 1년 이내 치과내원 경험과 치석제거 경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구강건강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주관적인 구강건강 상태와 1년 이내 치석제거 경험으로 나타났다(p<0.05). 중국인 유학생들의 구강건강 문제 발생 시 의료기관의 편리한 이용을 위해 자국어 번역 안내서 및 의료 전문 통역자의 배치와 대학 차원에서 학교구강보건실의 운영 및 구강건강증진을 위해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구강보건교육이 요구된다.

대도시 노인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among elderly in metropolis)

  • 류경자;이태용;김건엽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620-632
    • /
    • 2009
  • Objectives :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survey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elderly in metropolis Methods : We had individual interviews and oral survey using a questionnaire with 336 elderly who were using seniors' centers in Metropolitan City during the period from the $9^{th}$ to $31^{st}$ of July, 2007. Results : Factors of GOHAI showed the significant relation with types of health insurance, a large number of medication, perceived oral health status, perception of dental care needs those with pains i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he number of natural teeth and the explanatory power or the final model was 25.5%. Factors of OHIP-14 showed the significant relation with types of health insurance, a large number of medication, perception of dental care needs those with pains i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gingival bleeding, the number of natural teeth and the explanatory power or the final model was 26.6%. Conclusions :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elderly as factors by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by perceived heath status and oral health status, perceived oral symptoms and oral health status that were relevant. Accordingly, for the healthy maintenance of elders' natural teeth,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develop and execute continuous oral health management systems and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that promote preventive activities and enhance the perception of oral health.

  • PDF

노인 구강건강 수준과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련성 (Association between Oral Health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 김미화;김경원;이경수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88-494
    • /
    • 2014
  • 본 연구는 경상북도 일개 도 농 복합시의 보건소에서 실시하는 노인 불소도포, 스케일링사업에 참여한 65세 이상 노인을 28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1년 1월부터 12월까지로 연구의 목적과 내용 및 취지를 설명하고 자발적인 연구 참여에 동의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OHIP-14 설문 문항은 5점 만점으로 측정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구강건강 삶의 질이 낮아지는 것을 의미하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치아우식증 개수가 적을수록, 잔존치아 수와 일일 칫솔질 횟수가 많을수록, 의치를 장착하지 않은 그룹에서 구강건강 삶의 질이 유의하게 높았다. 2.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의 하위영역 점수를 비교한 결과, 기능적 제한 점수는 학력이 높을수록 적었다. 신체적 동통 점수는 나이가 많을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더 많이 느끼고 있었다. 신체적 능력저하는 학력이 낮을수록 더 많이 느끼고 있었다. 3. 구강건강상태와 칫솔질 횟수에 따른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의 하위영역 점수를 비교한 결과, 기능적 제한과 신체적 동통, 정신적 불편, 정신적 능력저하, 사회적 능력저하, 사회적 불리 점수는 치아우식증 개수가 많을수록 삶의 질이 낮았고, 잔존치아가 많을수록, 의치장착을 하지 않은 그룹에서 삶의 질이 좋았다. 4.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충치의 개수와 의치장착이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 노인들의 구강건강상태의 수준과 노인들의 삶의 질이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건강 삶의 질을 유지하기 위하여 나이가 들더라도 잔존치아 수를 많이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의치를 장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

교정환자의 교정치료 특징이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OHIP)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rthodontics Patients' Orthodontics Characteristics on the Living Quality Related to Oral Health (OHIP))

  • 윤성욱;오나래;정미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250-258
    • /
    • 2014
  • 본 연구는 교정치료 관련인자들이 구강건강영향지수(OHIP)에 주는 영향을 파악하여 교정환자의 효과적인 건강관리에 도움을 주고자 강원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OHIP의 평균은 2.97이며 신체요인 평균은 3.01, 심리요인 평균은 2.93로 교정치료는 심리요인에 더욱 영향을 주며 구강건강영향지수 10항목 중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항목은 평균 2.66으로 '치아형태로 인해 창피한 적이 있었습니까'으로 조사되었다. 일반적인 특성 중 OHIP에 유의하게 영향을 준 특성은 연령, 종교, 직업, 수입, 흡연여부로 나타났다(p<0.05). 연령은 20대 이하가 2.53으로 영향을 가장 많이 주며 직업은 생산/판매직은 2.56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냈다(p<0.05). 수입은 400만원 초과가 2.83, 2.78로 수입이 많을수록, 흡연여부는 흡연자가 비흡연자에 비해 영향을 많이 미치며 것으로 조사되었다(p<0.05). 교정치료 특징이 구강건강영향지수(OHIP)에 건강인지도로 나타났다(p<0.05). 교정치료를 한 이유에서는 '저작 시 불편감'이 2.69, 2.67로 나타났다(p<0.05). 교정기간은 '1-2년'이 2.80, 2.74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교정치료의 후회여부는 '후회한다'가 2.65, 2.60로 조사되었다(p<0.05). 교정치료의 특징과 OHIP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교정치료를 하는 이유, 구강건강인지도, 교정치료 후회여부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정환자의 신체적 정신적인 면에서 치료과정에 도움을 주고 또한 건강한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근로자의 구강건강영향지수에 미치는 요인 -경남지역 남성 성인근로자를 중심으로- (The Factors of Oral Health Impact profile of workers -Industrial workers in Gyeong-Nam province-)

  • 차정단;장경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4604-4611
    • /
    • 2012
  • 본 연구는 경남지역 산업체 근로자를 대상으로 구강건강영향지수에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27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자기기입식으로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구강건강영향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전신건강지수, 연령, 식생활 행동, 구강건조증의 4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변인중 전신건강지수와 식생활 행동은 구강건강영향지수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연령과 구강건조증은 부적 영향을 미쳐, 전신건강지수가 높고, 좋은 식생활 행동을 가질수록 구강건강영향지수가 높으며, 연령이 낮고, 구강건조증이 없을수록 구강건강영향지수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 근로자의 구강건강영향지수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힘을 써 구강질환이 발생되기 전에 예방하고 나아가 근로자의 건강과 구강건강영향지수를 향상 시켜야 할 것이다.

중증 장애인의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 관련요인 (Related factors of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severely disabled people)

  • 배미정;황세현;김성애;이지영;윤정애;박정현;엄상화;유병철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461-475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ed factors of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severely disabled people. Methods: The subjects were 205 severe disabled people in Busan and Gyeongnam. Data were collected by direct interview with the severe disabled persons from June to August, 2011. The study instruments included oral health impact profile(OHIP)-14 and Korea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K-IADL). Data were analyzed by SAS version 9.2.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eight question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five questions of oral health related problem, seven questions of K-ADL, ten questions of K-IADL, fourteen questions of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Results: The severely disabled's IADL was $19.9{\pm}7.8$ and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as $17.5{\pm}10.5$.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as closely related to multiple disorders and IADL. Conclusions: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as poor in the severely disabled people.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severely disabled people with self-supporting tools that help ADL and IADL.

다문화가족 이주여성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대구지역 조사 (Migrant Multi-Cultural Family Women's Life Quality Related to Oral Health: Survey in Dae-Gu)

  • 전은숙;안서영;최연희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81-187
    • /
    • 2011
  • 이 연구는 일부 대도시지역 다문화가족 이주여성의 구강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대구지역 다문화가족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구강검사와 개별면접조사를 통하여 인구사회학적 특성, 구강건강상태, OHIP-14를 측정하였다. 최종 수합된 189명의 자료로 t-검정 및 분산분석,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평균 우식치아는 2.23개, 상실치아는 1.48개, 처치치아 5.58로 필리핀에서 온 여성이 기타 다른 나라에서 온 여성보다 상실치아수가 많았으며, 중국에서 온 여성이 충전영구치의 수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2.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은 상실치아가 많을수록 낮았다.3. 상실치아의 여부에 따른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비교해 본 결과 정신적 불편, 신체적 능력저하, 정신적 능력저하, 사회적 능력저하, 사회적 불리 영역에서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이 가장 낮았다. 4.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은 우식경험영구치가 많을수록, 월 가구 수입이 낮을수록 낮게 나타나 우식경험영구치와, 월수입이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가장 큰 연관성이 있었다. 다문화가족 이주여성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은 상실치아 및 우식치아가 많을수록 낮아 다문화가족 여성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후속 연구를 시도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