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timal yield

검색결과 1,480건 처리시간 0.029초

Effects of feeding high-energy diet on growth performance, blood parameters, and carcass traits in Hanwoo steers

  • Kang, Dong Hun;Chung, Ki Yong;Park, Bo Hye;Kim, Ui Hyung;Jang, Sun Sik;Smith, Zachary K.;Kim, Jongkyoo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10호
    • /
    • pp.1545-1555
    • /
    • 2022
  • Objective: Our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2% increase in dietary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value during the growing (7 to 12 mo of age) and fattening (13 to 30 mo of age) period of Hanwoo steers. Methods: Two hundred and twenty Hanwoo steers were assigned to one of two treatments: i) a control group (basal TDN, BTDN, n = 111 steers, growing = 70.5%, early fattening = 71.0%, late fattening = 74.0%) or high TDN (HTDN, n = 109 steers, growing = 72.6%, early = 73.1%, late = 76.2%). Growth performance, carcass traits, blood parameters, and gene expression of longissimus dorsi (LD) (7, 18, and 30 mo) were quantified. Results: Steers on the BTDN diets had increased (p≤0.02) DMI throughout the feeding trial compared to HTDN, but gain did not differ appreciably. A greater proportion of cattle in HTDN received Korean quality grade 1 (82%) or greater compared to BTDN (77%), while HTDN had a greater yield grade (29%) than BTDN (20%). Redness (a*) of LD muscle was improved (p = 0.021) in steers fed HTDN. Feeding the HTDN diet did not alter blood parameters. Steers fed HTDN diet increased (p = 0.015) the proportion of stearic acid and tended to alter linoleic acid. Overall, saturated, unsaturated, monounsaturated,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s of LD muscle were not impacted by the HTDN treatment. A treatment by age interaction was noted for mRNA expression of myosin heavy chain (MHC) IIA, IIX, and stearoyl CoA desaturase (SCD) (p≤0.026). No treatment effect was detected on gene expression from LD muscle biopsies at 7, 18, and 30 mo of age; however, an age effect was detected for all variables measured (p≤0.001). Conclusion: Our results indicated that feeding HTDN diet could improve overall quality grade while minimum effects were noted in gene expression, blood parameters, and growing performance. Cattle performance prediction in the feedlot is a critical decision-making tool for optimal planning of cattle fattening and these data provide both benchmark physiological parameters and growth performance measures for Hanwoo cattle feeding enterprises.

흑피흰개미버섯(Termitomyces albuminosus) 인공재배를 위한 균사배양 특성 (Characteristics of Mycelial Growth for Artificial Cultivation in Termitomyces albuminosus)

  • 장현유;서금희;조혜연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1권1호
    • /
    • pp.81-87
    • /
    • 2019
  • 흑피흰개미버섯(T. albuminosus) 인공재배를 위한 균사 배양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원균배지 종류에 따른 흑피흰개미버섯 균사 생장의 영향은 KNCAF 9001와 9002 모두 MEA에서 균사 생장이 89와 81 mm로 가장 좋았고 MEA, YM, PDA 순으로 균사 생장이 좋았다. 배양 온도에 따른 흑피흰개미버섯 균사 생장의 영향은 9001와 9002 모두 89와 77 mm로서 25 ℃에서 균사 생장이 빨랐다. 30 ℃에서 균사 생장이 급감되나 40 ℃에서도 생존하는 광고온성균임을 확인하였다. 배지 pH별로 9001과 9002 모두 89와 88 mm로서 pH 6에서 균사 생장이 빨랐다. 9001의 경우 주재료는 면실피(80%)와 미강(20%) 혼합 시 99 mm/10일로서 가장 좋았으며 콘코브(97 mm), 참나무톱밥(96), 포플러톱밥(93)순으로 좋았다. 영양원은 모든 처리에서 밀기울보다 미강을 처리한 것이 좋았다. 9002의 경우 주재료는 9001과 같은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다만, 9001보다 생육이 비교적 늦은 특징이 있었다. 배지의 수분함량에 따른 균사 생장의 영향은 9001, 9002 모두 수분함량이 65%일 때 101, 94 mm/10일로서 가장 좋았다. 수분함량이 65%보다 높거나 낮을 때 균사 생장 속도가 늦어지는 경향이 있었다.

안정화제로 사용된 황산칼슘비료의 물리적 형태에 따른 토양 비소 및 수은의 안정화와 식물체 전이특성 (Transfer of Arsenic and Mercury from Stabilized Farmland Soil to Lettuce using Calcium Sulfate Fertilizer with Different Physical Properties as a Stabilizing Agent)

  • 고일하;권요셉;이민현;김정은;박소영;고주인;지원현
    • 자원환경지질
    • /
    • 제56권5호
    • /
    • pp.619-628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토양 내 비소 및 수은의 안정화제로 황산칼슘비료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아울러 황산칼슘비료의 물리적 특성(입자상, 미분상, 용액상)에 따른 비소 및 수은의 안정화 특성을 상추 재배 포트실험으로 비교?검토하였다. 34일 간의 상추재배를 통해 확인한 비소 및 수은의 전이감소 효과는 대체적으로 70% 이상인 것으로 나타나 안정화제로서의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다만, 용액상 안정화제 처리조건에서 성장한 상추의 생체량은 대조구의 46% 수준으로 가장 낮았는데, 이는 안정화제로부터 유래된 영양물질의 유효도가 극단적으로 높아 오히려 식물체 성장을 저해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토양 내 비소 및 수은의 분획특성 확인결과 수은에서만 존재형태의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수은은 안정화 처리된 토양에서 원소수은의 감소와 잔류형/황화물 형태의 증가가 확인되었는데, 이러한 경향은 용액상 > 미분상 > 입자상의 순서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대형 교반장비의 진입이 어려운 농경지에서는 용액상 처리제의 살포만으로 안정화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만, 높은 영양물질 유효도로 인해 염해토양의 특성을 보일 수 있으므로, 투여량 조절을 통해 농작물 위해를 사전 제어할 필요가 있다.

가스공급속도 및 광도조절을 이용한 담수미세조류 Parachlorella sp.의 바이오매스 생산성 향상 (Improving Biomass Productivity of Freshwater microalga, Parachlorella sp. by Controlling Gas Supply Rate and Light Intensity in a Bubble Column Photobioreactor)

  • 김지훈;임경준;홍성주;장희수;장현진;윤석민;이승환;이철균;이창수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41-48
    • /
    • 2023
  •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mprove the biomass productivity of newly isolated freshwater green microalga Parachlorella sp. This was accomplished by culture conditions optimization, including CO2 concentration, superficial gas velocity, and light intensity, in 0.5 L bubble column photobioreactors. The supplied CO2 concentration and gas velocity varied from 0.032% (air) to 10% and 0.02 m/s - 0.11 m/s, respectively, to evaluate their effects on growth kinetics. Next, to maximize the production rate of Parachlorella sp., a lumostatic operation based on a specific light uptake rate (qe) was applied. From these results, the optimal CO2 concentration in the supplied gas and the gas velocity were determined to be 5% and 0.064 m/s, respectively. For the lumostatic operation at 10.2 µmol/g/s, biomass productivity and photon yield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of 83% and 66%, respectively, relative to cultures under constant light intensit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biomass productivity of Parachlorella sp. can be improved by optimizing gas properties and light control as cell concentrations vary over time.

차광처리가 제비붓꽃의 생장 및 생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Changes in Growth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Iris laevigata Fisch. by Shading Treatment)

  • 조승주;김동학;정은주;윤정원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03-213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북방계 식물 제비붓꽃의 현지외 보전에 필요한 생육 적정 광조건을 제시하기 위하여 차광처리에 따른 제비붓꽃의 생장과 생리적 반응을 조사하였다. 전천광을 수광하는 대조구와 서로 다른 차광처리구(50%, 75%, 95%)를 설치하고 엽면적당 건중량, 엽록소 함량과 형광 반응, 광합성 특성을 조사하였다. 제비붓꽃은 차광수준이 강해질수록 낮은 광도에 적응하기 위하여 광합성 효율이 높아진 잎이 형성되었다. 차광수준이 높아질수록 엽록소 함량이 증가하였고, 엽면적이 증가하면서 엽면적당 건중량은 감소하였다. 차광처리에 의해 엽록소 형광 반응 Fv/Fm과 NPQ는 변화하지 않았고, 탄소고정계의 활성 또한 처리 간에 차이가 없었다. 제비붓꽃은 양지식물에 해당하는 광포화점을 나타냈고, 75% 차광수준까지 광합성 능력을 대조구와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하였다. 제비붓꽃의 순양자수율은 95% 차광처리에서 현저히 감소하여 낮은 광조건에 적응한 상태를 보였다. 제비붓꽃은 전천광 대비 95% 차광수준에서 생육할 시 광합성 능력이 저하하는 것으로 보이며, 차광 상태를 지속하여 광을 제한할수록 생육이 불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디바이스 유형을 고려한 온라인 멀티 채널 마케팅 효과 (The Effect of Online Multiple Channel Marketing by Device Type)

  • 신하정;남기환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0권4호
    • /
    • pp.59-78
    • /
    • 2018
  • 다양한 디바이스 유형과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등장으로 온라인 환경에서 고객들의 탐색 및 구매 행동은 더욱 세분화 되었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은 고객 구매여정에서의 마케팅 채널 효과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디바이스 종류에 따라 드러나는 UI(User Interface)와 UX(User Experience)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글로벌 쇼핑몰의 대규모 클릭스트림 데이터를 활용하여 다양한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고객들의 유입 채널 효과를 분석하였다. 온라인 쇼핑을 활성화 시키는 디바이스 유형을 구별하고, 디바이스 유형에 따라 방문을 증진시키는 유입 채널 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고객의 과거 쇼핑 누적 경험과 유입 채널 전환 행태를 통해 방문과 구매액 미치는 직접효과 간접효과를 판별하였다. 그 결과 동일한 고객이더라도 디바이스 선택에 따라 활용하는 마케팅 채널이 달라지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온라인 소매업체는 이러한 결과를 통해 디바이스 유형을 고려하여 멀티 마케팅 채널 환경에서의 고객 의사결정과정을 더욱 잘 이해하고 최적의 전략을 세울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실제 글로벌 빅 데이터를 분석하여 얻어진 유의미한 결과를 기반으로 경영학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계량 경제 모델을 활용하여 의미 있는 이론적립에 학문적으로 기여한다. 실제 온라인 쇼핑 마케팅 담당자들이 시도할 수 있는 전략적 통찰력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실용적으로 활용할 가치가 있다.

비율자료 모델링을 위한 베이지안 베타회귀모형의 비교 연구 (A study on Bayesian beta regressions for modelling rates and proportions)

  • 이정인;김재오;조성일
    • 응용통계연구
    • /
    • 제37권3호
    • /
    • pp.339-353
    • /
    • 2024
  • 비율자료와 같이 반응변수가 제한된 구간에 속하는 경우 비대칭성이나 이분산성의 문제들로 인해 정규성 가정을 기반으로 하는 회귀모형의 적용은 부정확한 결과가 도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대안으로 베타회귀모형이 고려된다. 베타회귀모형은 베타분포를 평균과 정밀도 모수로 재모수화 하였을 때, 반응변수가 베타분포를 따른다는 가정하에 평균과 정밀도에 대한 하위모형을 갖는 회귀모형으로 자료의 이분산성을 쉽게 고려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실증분석에서 비율자료에 베타회귀모형을 적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제6기 국민 건강조사자료를 통해 흡연율과 커피 섭취와의 연관성을, COVID-19 자료를 기반으로 미국의 지역 특성들과 누적 사망률의 연관성을 고찰한다. 각 분석에서는 보통최소제곱 회귀모형과 베타회귀모형 및 확장된 베타회귀모형을 적용하여 최적의 모형을 선택하고 결과를 해석한다. 분석의 결과는 비율자료에서 베타회귀모형 및 확장된 베타회귀모형 적용의 적절성을 입증한다.

티머시-오처드그라스 우점초지에서 방목방법별 가축의 습성과 생산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Grazing Behaviour and Herbage Production by Different Grazing Systems in Timothy-Ochard Grassdominied Pasture)

  • 신재순;신언익;신기준;이효원;김선구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180-186
    • /
    • 1984
  • Timothy-Orchardgrass우점(優点) 초지(草地)에서 한우(韓牛) 및 교잡우(交雜牛)를 방목축(放牧畜)으로 공시(供試)하여 1980년(年) 6월(月)부터 1982년(年) 10월(月)까지 3년간(年間) 방목(放牧) 방법간(方法間)에 증체량 건물생산량(乾物生産量), 방목습성등(放牧習性等)의 차이(差異)를 검토(檢討)코자 시험(試驗)을 실시(實施)하여 얻어진 결과(結果)는 아래와 같다. 1. ha당(當) 목초건물수량(牧草乾物收量)은 'Wye 대학(大學)' 방목(放牧)이 6936.7kg, 고정방목(固定放牧)이 6794.3kg 수정고정방목(修正固定放牧)이 6686.9kg 윤환방목(輪換放牧)이 6675.7kg 그리고 예취급여구(刈取給與區)가 5083.4kg으로 방목방법간(放牧方法間)에는 유의성(有意性)이 없었다. 2 목초이용율(牧草利用率)은 예취급여구(刈取給與區)가 89.3%로 가장 높았고 윤환방목(輪換放牧), Wye 대학방목(大學放牧), 수정고정방목(修正固定放牧) 그리고 고정방목순(固定放牧順)으로 각각 73.1%, 70.8%, 64.4% 및 46.1%로 처리간(處理間)에 높은 유의성(有意性)(P<0.01)이 나타났으며 3. 1일(日) 두당건물(頭當乾物) 채식량(採食量)은 Wye 대학방목(大學放牧)이 7.32kg 윤환방목(輪換放牧)이 6.45kg 고정방목(固定放牧)이 5.82kg 그리고 예취급여구(刈取給與區)가 5.61kg순(順)으로 Wye대학(大學) 방목(放牧)이 가장 많았고 예취급여구(刈取給與區)가 가장 적었다. 4. 일(日) 당증체량을 보면 Wye 대학(大學) 방목(放牧)이 0.60kg으로 가장 높았고 윤환방목(輪換放牧)이 0.55kg 수정고정방목(修正固定放牧)이 0.5kg 고정방목(固定放牧)이 0.43kg 그리고 예취급여구(刈取給與區) 0.42kg으로 처리간(處理間)에는 유의성(有意性)이 없었다. 5. ha당(當) 총증체량에 있어서 Wye 대학방목(大學放牧)이 33339.5kg으로 가장 많았고 윤환방목(輪換放牧), 수정고정방목(修正固定放牧), 예취급여구(刈取給與區) 그리고 고정방목순(固定放牧順)으로 각각 299.1kg, 253.3kg, 226.6kg 및 222.2kg으로 고정방목구(固定放牧區)가 가장 적었다. 6. 채식시기(採食時期)은 각(各) 방목방법간(放牧方法間)에 유의차(有意差)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Wye 대학(大學) 방목구(放牧區)가 367.3 분(分)으로 가장 짧았고 고정방목구(固定放牧區)가 422.1분(分)으로 가장 길었다. 7. 계절별(季節別) 1일(日) 채식시간(採食時間)은 6월(月)이 304.9분(分) 7월(月)이 359.4분(分) 8월(月)에 437.9분(分)이 483.3분(分) 그리고 10월(月)이 395.8분(分)으로 계절간(季節間)에 유의차(有意差)(P<0.05)가 나타났으며 계절(季節)이 진행(進行)할수록 채식시간(採食時間)이 길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8. 품종별(品種別) 채식시간(採食時間)에는 차이(差異)가 없었으며 샤로레${\times}$한우(韓牛)가 457.0분(分)으로 가장 길었고 한우(韓牛)가 422.4분(分)으로 가장 짧았다.

  • PDF

자동합성장치를 이용한 [$^{18}F$]Fallypride의 합성 (Automated Synthesis of [$^{18}F$]Fallypride for Routine Clinical Use)

  • 박준형;문병석;이홍진;이효준;이인원;이병철;김상은
    • 핵의학기술
    • /
    • 제14권2호
    • /
    • pp.104-109
    • /
    • 2010
  • $[^{18}F]$Fallypride는 뇌의 도파민(dopamine) $D_2/D_3$ 수용체 (receptor)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길항제(antagonist)로 대뇌피질의 도파민 기능을 규명하기 위하여 많이 사용되어지는 방사성의약품이다. 그동안 발표되어진 자동 합성화 장치를 이용한 [$^{18}F$]Fallypride 합성은 20~30%의 낮은 합성 수율과 33~63 GBq/mmol의 낮은 비방사능이 보고되어졌고, 또, 상대적으로 긴 표지시간과 높은 농도의 base를 사용하기 때문에 다양한 부산물이 생성되어 정제의 어려움이 있어 임상에 사용되기에 한계가 많았었다. 본 연구에서는 다목적 F-18 합성장치인 GE TracerLab $FX_{FN}$ 모듈을 사용하여 base 농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연구를 수행하였고, [$^{18}F$]fallypride 합성에 적용하여 높은 합성수율과 비방사능(specific activity) 및 방사화학적 순도(radiochemical purity)를 합성하는 최적의 조건을 찾을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66{\pm}1.4%$ (decay-corrected, n=28)의 높은 합성수율과 HPLC 분리, SPE 정제시간을 포함하여 총 $51{\pm}1.2$분에 빠르게 합성할 수 있었다. 합성 후, 품질관리 테스를 해 본 결과, 방사 화학적 순도는 95%이상, 비방사능은 166~470 $GBq/{\mu}mol$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합성법은 [$^{18}F$]Fallypride를 이용한 dopamine $D_2/D_3$ 연구의 임상적 사용에 도움이 될 것이며, 낮은 농도의 base를 사용한 이 F-18 추출방법은 base에 민감한 전구체의 자동합성 생산에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다른 플러그 셀 크기와 일장에서 생산된 감자 플러그 묘의 정식 후 생육과 수량 (Growth and Yield of Potato after Transplanting of Potato Plug Seedlings Grown at Different Plug Cell Size and Photoperiod)

  • 김정만;최기영;김용현;박은석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6-31
    • /
    • 2008
  • 환경이 조절되는 폐쇄형 식물생장시스템에서 플러그 셀 크기(105공, 162공, 288공)와 일장(8/16, 12/12, 16/8hr, 낮/밤) 처리를 각각 달리하여 20일간 생산된 감자 플러그 묘 '수미'와 대지'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정식 7주째 '수미'의 플러그 셀 크기와 일장처리는 생육과 상대생장률에 차이를 주었다. '수미'의 주당 괴경 중은 셀 크기와 일장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대지'의 괴경 중은 105공 셀 크기에서 높았으며, 일장 처리에 차이를 보였다. 90일 재배 후, '수미'의 괴경 중($258.9{\sim}471.9g$/주)은 105공, 162공 처리와 16/8 hr 일장 처리에서 괴경 중이 높았다. '대지'의 괴경중 ($278.2{\sim}428.0g$/주)은 105공 처리에서 높았으나 일장처리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주당 괴경 수는 '수미'가 $2.9{\sim}6.9개, '대지' $2.2{\sim}3.6개로 플러그 셀 크기와 일장 처리에 따른 유의성은 없었다. 80g 이상의 괴경 크기 비율이 '수미'는 $32{\sim}50.9%, '대지'는 $41.0{\sim}56.7%로, 두 품종 모두 288공 셀 크기에서는 감소하였고, 일장 처리 간에는 품종에 따른 차이를 보여 '수미'는 일장이 증가함에 따라 괴경 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대지'는 일장 처리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초기 묘 소질이 감자 생육 및 괴경 중에 영향을 줌으로써 플러그 묘를 이용한 감자 생산에 적합한 플러그 셀 크기는 162공 이하, 12시간 이상의 일장이 필요하리라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