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timal Feeding

검색결과 281건 처리시간 0.028초

A perspective on partially hydrolyzed protein infant formula in nonexclusively breastfed infants

  • Vandenplas, Yvan;Munasir, Zakiudin;Hegar, Badriul;Kumarawati, Dewi;Suryawan, Ahmad;Kadim, Muzal;Djais, Julistio Tb;Basrowi, Ray Wagiu;Krisnamurti, Deni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2권5호
    • /
    • pp.149-154
    • /
    • 2019
  •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recommends that infants should be exclusively breastfed for the first 6 months of life to provide optimal nutrition in this critical period of life. After this, infants should receive nutritionally adequate and safe complementary foods while breastfeeding continues for up to 2 years of age or beyond. For nonbreastfed infants, infant formula is an available option to provide the nutrition needed. Infant formula is usually prepared from industrially modified cow's milk and processed to adjust for the nutritional needs of infants. However, cow's milk is one of the most common causes of food allergy, affecting 2%-5% of all formula-fed infants during their first year of life. One strategy to prevent cow's milk allergy in nonbreastfed infants is the use of partially hydrolyzed formula (pHF) in high-risk infants, which are infants born in families with atopic disease. However, based on an epidemiological study, approximately half of the infants who develop allergy are not part of the at-risk group. This is because the non-at-risk group i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e at-risk group and the non-at-risk infants have approximately 15% risk of developing allergie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partially hydrolyzed whey formula (pHF-W) in nonbreastfed infants and determine whether pHF-W can prevent atopic disease in high-risk infants and can be used as routine starter formula regardless of the allergy risk status.

Coexistence between Zostera marina and Zostera japonica in seagrass beds of the Seto Inland Sea, Japan

  • Sugimoto, Kenji;Nakano, Yoichi;Okuda, Tetsuji;Nakai, Satoshi;Nishijima, Wataru;Okada, Mitsumasa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1권3호
    • /
    • pp.45-53
    • /
    • 2017
  • Background: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the growth conditions of Zostera marina and Zostera japonica, but few studies have examined how spatial and temporal factors affect growth in established seagrass beds or the distribution range and shoot density.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Zostera marina and Zostera japonica in the Seto Inland Sea east of Yamaguchi Prefecture. Methods: The study site is in Hiroshima Bay of the Seto Inland Sea, along the east coast of Yamaguchi Prefecture, Japan. We monitored by diving observation to confirm shoot density, presence or absence of both species and observed water temperature, salinity by sensor in study sites. Results: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Zostera marina was high in all seasons, even in water depths of D.L. + 1 to -5 m ($80{\pm}34%$ to $89{\pm}19%$; mean ${\pm}$ standard deviation), but lower (as low as $43{\pm}34%$) near the breakwall, where datum level was 1 to 2 m, and it was further reduced in datum level -5 m and deeper.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Zostera japonica was highest in water with a datum level of +1 to 0 m. However, in datum level of 0 m or deeper, it became lower as the water depth became deeper. Datum level +1 m to 0 m was an optimal water depth for both species. The frequency of occurrence and the shoot density of both species showed no negative correlation. In 2011, the daily mean water temperature was $10^{\circ}C$ or less on more days than in other years and the feeding damage by S. fuscescens in the study sites caused damage at the tips. Conclusions: We consider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species at the optimal water depth was not competitive, but due to differences in spatial distribution, Zostera marina and Zostera japonica do not influence each other due to temperature conditions and feeding damage and other environmental conditions. Zostera japonica required light intensity than Zostera marina, and the water depth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distribution of both species.

Feeding of Juvenile Purple Washington Clam, Saxidomus purpuratus (Sowerby): Effects of Algal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 Lee, Chang-Hoon;Choi, Yong-Suk;Bang, Jong-Deuk;Jo, Soo-Gun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53-260
    • /
    • 2002
  • To find the optimal rearing conditions for Saxidomus purpuratus juvenile, filtering activity was estimated as functions of algal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by measuring the rates of clearance (CR) and ingestion (IR), when S. purpuratus was feeding. The clams were fed on unialgal diet of Isochrysis galbana at 6 algal concentrations (4.6$\times$$10^4$~2.6$\times$$10^6$ cells/ml) and at 6 temperatures (5, 10, 15, 20, 25, and 30^{\circ}C ). Algal concentration significantly affected the CR and the IR at all temperatures. At lower algal concentrations, CR increased, but decreased beyond a particular concentration. The maximum CR ($CR_{max}$) at 5, 10, 15, 20, 25, and 30^{\circ}C were 0.30, 1.73, 5.95, 15.17, 21.12, and 0.33 $l/g/h$, respectively. Below the level of 5.6$\times$10$^{5}$ cells/ml, IR increased as algal concentration increased, but was saturated at higher concentrations. To maintain high growth rate of S. purpuratus, I. galbana should be supplied with more than 5.6$\times$10$^{5}$ cells/ml. The maximum IR ($IR_{max}$) at 5, 10, 15, 20, 25 and30^{\circ}C were $2.2$\times$10^8, $1.5\times$10^9, 3.4$\times$10^9, 4.9$\times$10^9, 5.3$\times$10^9, and 1.0$\times$10^8$ cells/g/h, respectively. As for temperature, both $CR_max$ and $IR_max$ increased remarkably with raising temperature from 5 to 25^{\circ}C, but rapidly decreased at 30^{\circ}C. Between 15 and 25^{\circ}C $CR_{max} and IR_{max}$ were higher and most stable, At this temperature range, the $Q_{10}/s for CR_{max} and IR_{max}$ were 3.5 and 1.6, respectively. Therefore the optimal thermal range for the juvenile is 15~$25^{\circ}C$. The annual variation in IR$_{max}$ predicted by natural seawater temperature shows that inactive period (with lower $IR_max$) lasts for 5 months (from December to April). To ensure higher growth of juvenile during this inactive period at hatcheries, rearing temperature should be elevated to $15^{\circ}C$.>.

지렁이 사육에 있어서 음식물쓰레기의 부숙정도와 분변토 혼합비의 영향 (Investigation on optimal factors in regard to matureness degree of food waste and mixing rate of the casting in vermicomposting)

  • 김영구;박상준;최훈근;배재근
    • 유기물자원화
    • /
    • 제12권2호
    • /
    • pp.72-81
    • /
    • 2004
  • 전체 유기성폐기물 가운데 약 30%가량을 차지하는 음식물쓰레기는 높은 염분과 함수율로 인해 적정 처리 방안의 부재라는 상황에서 기존의 처리방법들에 비해 보다 환경친화적인 지렁이를 이용한 퇴비화 방안은 최근 들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그러나 지렁이 이용기술은 도입초기의 운영방법 및 기술이 현재에도 적용되고 있으며 자료부족과 경험부족으로 인해 효율성이 떨어진다고 볼 수 있다. 지렁이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자원화 단계에서 높은 수분, 염분, 그리고 유기물 함량은 지렁이의 생육에 큰 저해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이러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전처리 단계에서 가능한 한 수분의 양을 줄이고 유기물을 1차적으로 분해하여 이용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렁이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자원화에 있어 음식물쓰레기의 염분농도와 급이되는 음식물쓰레기의 부숙정도 그리고 혼합비에 따른 지렁이의 영향정도를 관찰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실험 결과, 지렁이 생육과 관련된 최적의 함수율은 약 55%로 한계 염분 농도는 0.5%로 조사되었다. 음식물쓰레기의 높은 염분농도와 유기물 분해에 따른 발열 및 유기산 생성등의 부하를 줄이기 위한 분변토와의 혼합은 필수적 이었으며, 유기물 감량이 목적인 부숙과정은 결과적으로 음식물쓰레기의 염분농도를 증가 시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가급적 부숙과정은 피하고 분변토와의 적절한 혼합을 통한 유기물감량이 요구되며, 결과적으로 음식물쓰레기와 분변토와의 혼합비는 모든 조건등을 고려했을 때 부숙되지 않은 음식물쓰레기와 분변토와의 3:7 혼합비가 가장 적절하다고 사료된다.

  • PDF

청보리 재배 시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와 우분의 시용이 생산성, 사료가치 및 유기한우 사육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wing Mixed Legume Forage and Applying Cattle Manure on the Productivity, Feed Values and Organic Hanwoo Feeding Capacity of Whole Crop Barley)

  • 조익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54-261
    • /
    • 2014
  • 본 연구는 환경오염을 감소시키고 유기축산물의 생산에 기여할 수 있는 유기조사료를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대표적인 동계작물인 청보리에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와 발효우분을 시용하여 생산성과 사료가치를 평가하고, 토양의 지력 향상과 가축분뇨의 자원화를 위한 가축분뇨의 적정시용수준을 구명하여 단위면적당 유기한우 사육능력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에 따른 평균 청보리의 건물, 조단백질 및 TDN 수량은 5.09~5.21, 0.48~0.51 및 3.19~3.21 톤/ha으로 단파로 재배했을 경우의 4.28, 0.38 및 2.8톤/ha 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혼파구 간에는 차이가 없었고, 발효우분의 질소시용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청보리의 평균건물, 조단백질 및 TDN 수량은 무비구(3.97, 0.37 및 2.56 톤/ha)에 비해 100~150 kg N/ha (5.23~5.76, 0.49~0.54 및 3.28~3.55)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콩과사료작물의 혼파에 따른 조단백질과 ADF 함량은 헤어리베치 혼파구(각각 9.7과 34.5%) >사료용 완구 혼파구(각각 9.3과 33.0%) >청보리의 단파구(각각 8.7과 30.5%) 순으로 유의하게 낮아졌으며 우분 질소시용수준에 따른 청보리의 조단백질 함량과 NDF 함량은 처리수준 간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지만 ADF 함량은 시용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TDN 함량은 반대로 감소하였다(p<0.05).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에 따른 청보리에 의한 유기한우 사육능력(체중 450 kg, 400 g 일당증체 목표)은 평균 2.62~2.72두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발효우분 질소시용수준이 증가됨에 따라 청보리에 의한 유기한우 사육능력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청보리 재배 시 콩과 사료 작물의 혼파 하였을 경우에는 단파재배 보다 발효우분의 질소시용수준을 ha 당 50 kg 이상 줄이면서도 건물수량을 포함한 생산성과 유기한우 사육능력 증대는 물론 조단백질 함량 등 사료가치를 향상을 시켜 한우 사양 시 조사료자원의 다양화 뿐 아니라 저투입에 의한 고품질 조사료 생산으로 유기축산물 생산에 크게 기여하리라 사료된다.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와 우분의 시용이 총체 밀의 생산성과 유기한우 사육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wing Mixed Legume Forage and Applying Cattle Manure on the Productivity and Organic Hanwoo Feeding Capacity of Whole Crop Wheat)

  • 조익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59-372
    • /
    • 2015
  • 본 연구는 토양오염을 감소시키고 유기축산물의 생산에 기여할 수 있는 유기조사료를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대표적인 동계작물인 총체 밀에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와 발효우분을 시용하여 생산성과 사료가치를 평가하고, 토양의 지력 향상과 가축분뇨의 자원화를 위한 단위면적당 유기한우 사육능력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에 따른 2년(2012~2013년) 평균 총체 밀의 건물, 조단백질 및 TDN 수량은 6.10~7.70, 0.59~0.76 및 3.84~4.74톤/ha으로 단파로 재배했을 경우의 4.07, 0.35 및 2.54 톤/ha 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혼파구 간에는 차이가 없었고, 발효우분의 질소시용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총체 밀의 평균 건물, 조단백질 및 TDN 수량은 100~150 kg N/ha (7.24~7.59, 0.67~0.73 및 4.43~4.69톤/ha)가 무비구(5.96, 0.57 및 3.71톤/ha)에 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총체 밀의 조단백질 함량은 콩과사료작물의 혼파구에서 평균 9.83~10.03%로 총체 밀 단파구의 8.37%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ADF 함량은 헤어리 베치 혼파구 그리고 RFV는 사료용 완두 혼파구가 다른 처리구 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발효우분의 질소시용수준에 따른 조단백질 함량은 9.17~9.52%로 처리수준 간 차이가 없었고 ADF 함량은 시용수준이 100 kg N/ha 까지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TDN 함량은 반대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에 따른 총체 밀에 의한 유기한우 사육능력(체중 450 kg, 400 g 일당증체 목표)은 평균 3.99~4.20두로 단파구(평균 2.21두) 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발효우분 시용수준이 증가됨에 따라 질소 수준 100 kg/ha(평균 3.68두)까지 무비구(평균 3.09두) 보다 총체 밀에 의한 유기한우 사육능력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총체 밀 재배 시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 하였을 경우에는 단파재배 보다 발효우분의 질소시용수준을 ha 당 50 kg 이상 줄이면서도 건물수량을 포함한 생산성과 유기한우 사육능력 증대는 물론 조단백질 함량 등 사료가치를 향상을 시켜 한우사양 시 조사료자원의 다양화 뿐 아니라 저투입에 의한 양질의 조사료 생산으로 유기축산물 생산에 크게 기여하리라 사료된다.

Optimal Cultivation Time for Yeast and Lactic Acid Bacteria in Fermented Milk and Effects of Fermented Soybean Meal on Rumen Degradability Using Nylon Bag Technique

  • Polyorach, S.;Poungchompu, O.;Wanapat, M.;Kang, S.;Cherdthong, 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9호
    • /
    • pp.1273-1279
    • /
    • 2016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an optimal cultivation time for populations of yeast and lactic acid bacteria (LAB) co-cultured in fermented milk and effects of soybean meal fermented milk (SBMFM) supplementation on rumen degradability in beef cattle using nylon bag technique. The study on an optimal cultivation time for yeast and LAB growth in fermented milk was determined at 0, 4, 8, 24, 48, 72, and 96 h post-cultivation. After fermenting for 4 days, an optimal cultivation time of yeast and LAB in fermented milk was selected and used for making the SBMFM product to study nylon bag technique. Two ruminal fistulated beef cattle ($410{\pm}10kg$) were used to study on the effect of SBMFM supplementation (0%, 3%, and 5% of total concentrate substrate) on rumen degradability using in situ method at incubation times of 0, 2, 4, 6, 12, 24, 48, and 72 h according to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highest yeast and LAB population culture in fermented milk was found at 72 h-post cultivation. From in situ study, the soluble fractions at time zero (a), potential degradability (a+b) and effective degradability of dry matter (EDDM) linearly (p<0.01) increased with the increasing supplemental levels and the highest was in the 5% SBMFM supplemented group. However, there was no effect of SBMFM supplement on insoluble degradability fractions (b) and rate of degradation (c). In conclusion, the optimal fermented time for fermented milk with yeast and LAB was at 72 h-post cultivation and supplementation of SBMFM at 5% of total concentrate substrate could improve rumen degradability of beef cattle. However, further research on effect of SBMFM on rumen ecology and production performance in meat and milk should be conducted using in vivo both digestion and feeding trials.

효소촉매 담지체용 다공성 베마이트 제조 (Formation of Porous Boehmite for Supporting Enzyme Catalyst)

  • 염혜숙;김기도;전창림;김희택
    • 공업화학
    • /
    • 제17권2호
    • /
    • pp.188-193
    • /
    • 2006
  • 용액의 pH, 주입방법, 온도, 유량의 변화를 주면서 질산알루미늄($Al_{3}(NO_{3})_3{\cdot}9H_{2}O$)을 암모니아수($NH_{4}OH$)로 침전시켜 베마이트(Boehmite)를 합성하였다. 베마이트 상이 형성되는 pH 범위와 입자의 형상과 기공특성에 미치는 합성 조건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베마이트는 반응 용액의 pH가 7.5~9일 때 형성되었고, P2jet 주입방법은 침전이 일어나는 동안 pH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용액내의 반응에 참여하는 이온의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균일한 크기의 입자와 기공을 형성할 수 있게 하였다. 따라서 비표면적과 기공부피 두 가지 동시에 향상되었다. 온도가 올라갈수록, 유량이 감소할수록 비표면적과 기공부피가 증가함을 보이고, $60^{\circ}C$ 이상에서는 미세섬유모양의 입자를 얻을 수 있었다. 최적의 조건은 pH 9에서 P2jet 방법으로 주입하고 반응온도 $90^{\circ}C$와 유량 2.5 mL/min을 유지하였을 경우로 비표면적은 $385.46m^2/g$이고 기공 부피는 1.0252 mL/g을 가지는 평균 10 nm의 기공이 형성된 다공성 베마이트를 얻을 수 있었다.

Effects of Protein and Lipid Levels in Extruded Pellets on the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th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during the Summer and Whiter Seasons

  • Kim, Kyoung-Duck;Kang, Yong-Jin;MoonLee, Hae-Young;Kim, Kang-Woong;Son, Maeng-Hyu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2권2호
    • /
    • pp.104-110
    • /
    • 2009
  • Feeding trials were performed at two different water temperatures (summer and winter seasons) to identify suitable protein and lipid (energy) levels to be used in formulating extruded pellets for olive flounder.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rotein and lipid levels in extruded pellets on the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the flounder in both feeding trials. Six experimental diets were prepared containing three protein levels (46%, 51%, and 56%) and two lipid levels (10% and 17%). In the first experiment, during the summer season ($22{\pm}2.2^{\circ}C$), a triplicate group of fish (initial weight, 114 g) were fed to satiation one of the six diets for 11 weeks. The highest weight gain was observed in fish fed the 56/17 (% protein/% lipid) diet, but this weight gai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fish fed the other diets, except for those fed the 46/10 diet. The feed efficiency and protein efficiency ratio of fish fed the 17% lipid diets were higher than those of fish fed the 10% lipid diets at each protein level. In the second experiment, during the winter season ($13{\pm}1.5^{\circ}C$), a triplicate group of fish (initial weight, 107 g) were fed to satiation one of the six diets for 9 weeks. Weight gai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all groups. The feed efficiency and protein efficiency ratio tended to increase with increasing dietary lipid level at each protein level. The whole-body crude lipid content of the of fish fed the 17% lipid die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ish fed the 10% lipid diets at each protein level in both feeding trials. Based on the data obtained in this study, the inclusion of dietary protein at a level of 46% appears to be sufficient to support optimal growth, and increasing the dietary lipid level from 10% to 17% had no beneficial effects on the growth and feed utilization of olive flounder (110-300 g), except for fish fed a 56% protein diet in the summer season.

온라인 전기자동차의 상용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비용 타당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Validity of the Infrastructure Construction Cost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Online Electric Vehicles)

  • 송용욱;박상언;김우주;홍준석;전동규;이상헌;박종한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71-95
    • /
    • 2013
  • 본 연구는 온라인 전기자동차를 상용화하기 위해 필요한 인프라 구축비용의 타당성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의 버스노선을 대상으로, 온라인 전기자동차 운영을 위해 필요한 인프라의 구축비용에 대해 연구하였다. 현재 전기자동차 운영방식의 대안으로는 OLEV 방식과 PEV 방식이 고려되고 있으며, 각 방식은 충전지 비용과 충전기 비용에서 각기 장점을 갖고 있다. 두 방식의 총비용을 비교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 전기버스의 급전장치 설치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급전 장치 최적 배치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버스정류장에 서로 다른 길이의 급전장치를 설치할 경우의 총 설치비용을 최소화하는 혼합정수계획법(Mixed Integer Programming) 모형을 모델링하였다. 모형에서 사용하는 계수를 구하기 위해 각 버스정류장에서의 평균 정차시간을 구하는 시뮬레이터를 개발하였으며, 계산된 계수와 최적화모형을 이용하여 시내버스 노선 전체에 대하여 최적화된 인프라의 배치 개수와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서울시의 실제 자료를 대상으로 OLEV 방식과 PEV 방식에서의 총비용을 계산하고 비교한 결과 OLEV 방식의 총 비용이 저렴하게 나타났으며, 결과적으로 OLEV 방식의 상용화 타당성을 입증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