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en-lung biopsy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2초

미만성 폐질환에 대한 폐생검의 의의 (Open Lung Biopsy for Diffuse Infiltrative Lung Disease)

  • 김해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4권9호
    • /
    • pp.903-906
    • /
    • 1991
  • Retrospective review of 26 patients undergoing open lung biopsy at the Yonsei University during 10 years period was conducted to evaluate open lung biopsy for DILD. From January 1980 to August 1990, open lung biopsy was performed in 26 patients through a limited thoracotomy incision[a limited anterior or a posterolateral thoracotomy]. Open lung biopsy was indicated for diffuse interstitial pulmonary diseases undiagnosed by indirect clinical and radiological diagnostic methods. The types of incision were limited anterior[11] and limited posterolateral[15]. Preoperative evaluation of the lung disease included sputum culture[26], sputum cytology [19], bronchoscopy[9] and TBLB[7]. In 23 patients the histologic appearances after open lung biopsy were sufficiently specific histologic pictures to confirm diagnosis. The results of the biopsies changed usual therapeutic plan in 17 patients among them. The complications were resp. insufficiency[3], pulmonary ed6ma[3], sepsis[2], and others[3] in 6 patients. Diagnosis from the open lung biopsy was included respiratory pneumonia[7], fibrosis[7], infection[5], malignancy[2], others[5]. 4 patients died of respiratory insufficiency. The causes of the other three death were not due to direct result of the biopsy itself. Open lung biopsy in the patient with a diffuse infiltrative lung disease is an one of the accurate diagnostic method and frequently leads to change of the therapeutic plans. So we conclude that open lung biopsy remains our diagnostic method of choice in diffuse infiltrative lung disease undetermined etiology.

  • PDF

미만성 폐침윤 질환에서 개흉폐생검 (Open Lung Biopsy Procedure for Diffuse Infiltrative Lung Disease -Collective Review of 50 Cases-)

  • 이해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8권1호
    • /
    • pp.53-58
    • /
    • 1995
  • Open lung biopsy still has important roles for the marking of diagnosis of diffuse infiltrative lung disease even though transbronchial bronchoscopic lung biopsy and percutaneous needle aspiration biopsy gain popularity nowadays. This is clinical retrospective review of the 56 patients with diffuse infiltrative lung disease undergoing open lung biopsy by minithoracotomy from 1984 to Dec. 1992 in the Department of Thoracic & Cardiovascular Surgery of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27 men and 29 women, aged 17 to 73 year [mean 49 year , were enrolled & divided into 2 groups;Group A consisted of patients with immunocompromised state [n=19 , Group B patients with non-immunocompromised state[n=38 . Pathologic diagnosis was made in 54 cases[96.4% of these two groups and as follows: infectious; 12 patients[21.4% , Neoplastic; 10 patients[17.9% , granulomatous; 4 patients[7.1% , interstitial pneumonia; 12 patients[21.4% , Pulmonary fibrosis; 8 patients[14.3% , others; 3 patients[5.4% , nonspecific; 5 patients[8.9% , and undetermined; 2 patients[3.6% . Therapeutic plans were changed in 39 patients[69.6% after taking of tissue diagnosis by open lung biopsy. Group B has higher incidence of infectious diseases and change of therapeutic plan than the Group A.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developed in 8 cases[14.3% ,and there is no difference of incidence between the 2 groups. 4 patients belongs to group A, died of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2 and sepsis [2 which were not related with open lung biopsy procedure. In conclusion, open lung biopsy is a reliable method to obtain a diagnosis in diffuse pulmonary infiltrates and can be performed safely, even in acutely ill, immunosuppressed patients.

  • PDF

미만성 침윤성 폐질환에 대한 폐 생검의 의의 (Open Lung Biopsy for Diffuse Infiltrative Disease of the Lung)

  • 김병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8권2호
    • /
    • pp.162-165
    • /
    • 1995
  • To evaluate the impact of open lung biopsy on diagnosis and treatment of diffuse infiltrative lung disease,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review of 28 patients who underwent this procedure at the Kyo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1986 to 1993. There were 19 men and 9 women; average age was 50.9 years. During open lung biopsy, The region of the lobe was radiographically and grossly identified and was examined by a biopsy. The biopsy yielded a specific diagnosis in 27 [96.4 % patients and changes in therapy in 24[85.7% patients. Complications developed in three[10.8% patients, directly related to the biopsy procedure in 2. One patient died[3.6% due to underlying disease. We conclude that open lung biopsy can be accomplished safely in the patient with diffuse infiltrative lung disease and it is an important tool in decision-making process and therapy.

  • PDF

특발성 폐 섬유화증 환자에서 폐 생검후 발견된 폐 선암 치험 1예 (Reported Lung Adenocarcinoma with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after Open Lung Biopsy)

  • 최창우;허균;이재욱;원용순;고은석;신화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12호
    • /
    • pp.1032-1035
    • /
    • 2004
  • 미만간질폐병에서 확진을 위해 개흉 폐 생검을 한다. 미만간질페병은 많은 경우에 있어서 페암과 병발한다. 미만간질페병환자의 폐생검후 발견된 폐 선암 증례 1예를 통해서, 미만간질폐병과 폐암의 상관관계의 고찰과, 폐 생검시 부위 및 생검 횟수에 대한 일반적 기준의 정립에 관해서 논의해보고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미만성 간질성 폐질환의 개흉 폐 생검 (Open Lung Biopsy for Diffuse Interstitial Lung Disease)

  • 성숙환;서필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7권10호
    • /
    • pp.850-853
    • /
    • 1994
  • Open lung biopsy was performed in thirty patients for the diagnosis and staging evaluation of interstitial lung disease during the period from January 1987 until December 1992. The age of the patients ranged from 14 to 71 years [mean 48 years], and the patients consisted of 14 males and 16 females. Preoperative FEV1`s were from 0.80 liter to 3.88 liters [mean 1.66]. Other non-invasive diagnostic studies such as PCNA, bronchoalveolar lavage, TBLB, and gallium scan were also done in addition to X-ray and high-resolution chest CT. Tweaty-eight were correctly diagnosed and 2 cases were not [diagnostic yield rate 93.3%]. Among the 28 cases,pathologic diagnosis influenced further treatment regimens and prognostic expectations in 23 cases [82.1%]. The diagnostic non-invasive studies other than open lung biopsy yielded a correct diagnosis without staging only in 5 cases. There was no mortality and only one complication, ARDS ; however, the patient recovered after 5 days ventilator support. Open lung biopsy, which is the gold standard for the diagnosis and staging evaluation of interstitial lung disease can be done safely and has value in clinical decision making. Also knowledge of the involvement of the lesion is important for proper selection of the biopsy site.

  • PDF

개흉 및 흉강경항폐생검의 전국실태조사 (The National Survey of Open Lung Biopsy and Thoracoscopic Lung Biopsy in Korea)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학술위원회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1호
    • /
    • pp.5-19
    • /
    • 1998
  • 연구배경: 개흉폐생검은 미만성 침윤성 폐질환의 감별진단, 면역억제 환자에서의 폐침윤의 원인 등 다양한 폐질환에서 확진에 이르기 위한 고전적인 진단술로서 충분한 크기의 검체를 제공할 뿐 아니라 폐생검시 생검사가 직접 병변부위를 관찰하고 생검장소를 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최근에는 흉강경하폐생검(video-assisted thoracoscopy, VATS)이 개발되어 늑막 및 폐질환의 진단에 이용되고 있다. 본 학회의 학술위원회에서는 폐질환에서 개흉 혹은 흉강경하 폐생검의 실시여부, 폐생검 실시 전에 시행할 진단절차, 실시시기 등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수집하여 향후 임상연구 및 진료에 활용하고자 현재 한국에서의 개흉폐생검의 적응질환, 시행빈도, 진단성적, 치료에 미치는 영향, 합병증 등을 조사하였다. 방 법: 전국의 대학병원 및 4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에서 1994년 1월 1일부터 1996 년 12월 31일까지 3년간 개흉 및 흉강경하폐생검을 시행한 환자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의뢰하였다. 본 실태조사에 응답한 37 개 병원의 511예를 대상으로 분석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통계 분석은 SA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폐생검 전후의 비교는 paired t-test를 이용하였고 각 인자들에 따른 차이비교는 $x^2$-검정 혹은 t-검정법을 이용하였으며 P값은 0.05 이하인 경우를 유의하다고 판정하였다. 결 과: 1) 실태조사에 응답한 511 예 대상환자들의 평균연령은 50.2세(${\pm}15.1$세)이었으며, 남자 54.2%. 여자 45.9% 이었다. 2) 511 예 중에서 개흉폐생검은 313예(62%). 흉강경하폐생검은 192예(38%)에서 시행되었고, 미만성 폐질환자가 305명(59.7%), 국한성 폐질환자가 206명(40.3%)이었다. 3) 흉부 X-선 검사에서 이상소견이 발견되어 폐생검을 하기까지의 기간은 평균 82.4일 이었으며, 개흉폐생검은 평균 72.8일, 흉강경하폐생검은 평균 99.4일이 소요되었고, 폐생검 이전에 기관지내시경검사는 272예(53.2%), 기관지폐포세척술은 123예(24.1%), 경피적세침흡인술은 72예(14.1%)에서 시행되었다. 4) 대상질환은 간질성 폐질환이 230예(45.0%), 흉곽종양이 133예(26.0%), 결핵을 포함한 감염성 폐질환이 118예(23.1%), 선천성질환을 포함한 가타 폐질환이 30예(5.9%)이었다. 생검 방법에 따른 진단율이나 병변특성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5) 폐생검 이전의 임상적 진단과 폐생검 후의 최종 진단이 일치한 경우는 302예(59.2%) 이었고, 질환별로는 간질성 폐질환 66.5%, 흉곽종양 58.7%. 폐감염질환 32.7%, 결핵 55.1%. 선천성 폐질환을 포함한 기타 질환 62.5%에서 임상진단과 최종진단이 일치하였다. 6) 폐생검 전 및 1일 후에 시행한 동맥혈가스분석 검사상 $PaCO_2$$38.92{\pm}5.8mmHg$에서 $40.2{\pm}7.1mmHg$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5), $PaO_2/FiO_2$$380.3{\pm}109.3mmHg$에서 $339.2{\pm}138.2mmHg$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 7) 합병증은 10.1%에서 발생하였으며 개흉폐생검시 12.4%, 흉강경하폐생검시 5.8%로 흉강경하폐생 검시 유의하게 합병증이 적었다 (p<0.05). 합병증은 기흉 23예(4.6%), 혈흉 7예(1.4%), 사망 6예(1.2%), 기타 부정맥이나 타장기손상 15예(2.9%) 등이었다. 8) 폐생검으로 인한 사망은 개흉폐생겸후 5예, 기록이 불분명한 경우가 1예 등 모두 6예 이었으며 흉강경하폐생검 후 사망한 경우는 없었다. 사망한 사랑의 기저질환은 악성종양 3예(기관지폐포세포암 2예, 악성 중피종 1예), 전이성 악성종양 2예, 간질성폐질환 1예 이었다. 폐생검 후 사망까지의 기간은 평균 $15.5\pm9.9$일 이었다. 9) 개흉 또는 흉강경하폐생검으로도 진단할 수 없었던 경우는 19예(3.7%)이었다. 진단이 안된 원인은 병소 이외에서 조작검사를 시행한 5예, 조직의 크기가 너무 작은 3예 등 폐조직검사를 부적절하게 시행한 경우가 8예 이었고, 조직검사는 잘 되었으나 병리학적으로 진단이 불가능하였던 경우가 11예 이었다. 10) 개흉 또는 흉강경하폐생검이 진단에 결정적으로 기여한 경우가 334예(66.5%), 다소 기여한 경우가 140예(27.9%), 도움이 되지 않았거나 판단이 불가능한 경우가 28예(5.6%)이었다. 따라서 폐생검을 한 경우의 94.4%에서 확진에 도움을 주었다. 결 론: 개흉 및 흉강경하폐생검은, 기관지내시경 등 다른 술기로 진단이 안되는 폐질환의 확진에 도움이 되는 방법이며 환자상태가 위중한 경우에는 보다 안전하고 대등한 진단성적을 얻을 수 있는 흉강경하폐생검이 추천된다.

  • PDF

개흉폐생검으로 확진된 신장이식 후 발생한 흉강내 Kaposi육종 -1례 보고- (Intrathoracic Kaposi's Sarcoma in Renal Transplant Recipient proven by Open Lung Biospsy -A Case Report-)

  • 성기익;김영태;성숙환;김주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3권4호
    • /
    • pp.338-341
    • /
    • 2000
  • Renal transplant recipients who received immunosuporessive agent are in high risk of development Kaposi's sarcoma. In Korea a few report of Kaposi's sarcoma has been pubilshed but any report of intrathoracic Kaposi's sarcoma provedn by open lung biopsy has not been pulbilshed until now. We report a case of intrathoracic Kaposi's sarcoma developed in a 25 year old Korean man, who had been operated renal transplantation due to end stage renal disease and received cyclosporine and prednisolone as immunosuppessive agent, without any other organ involvment and was proven by open lung biopsy. Although discontinuation of immunosuppressive agent, temporary symptomatic and radilolgic improvement were observed, he died 11 days later after open lung biopsy because of intractable resiratory failure.

  • PDF

고해상도 전산화단층촬영 시대에 있어서 미만성 간질성 폐질환의 진단 및 치료에서의 개흉폐생검의 역할 (The Role of Open Lung Biopsy in Diagnosis and Treatment of Diffuse Interstitial Lung Disease in High-resolution Computed Tomography Era)

  • 김계수;이재철;이승준;유철규;김영환;한성구;민경업;임정기;김유영;심영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5호
    • /
    • pp.746-754
    • /
    • 1996
  • 목적: 미만성 간질성 폐질환은 공통의 임상 양상, 방사선 소견, 폐기능 장애 소견을 갖는, 무수히 많은 원인 질환들로 구성되어 있어 개흉폐생검 등의 조직학적 진단이 표준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지만 관혈적 진단 방법이라는 단점이 있다. 고해상도 전산화단층촬영은 해상력을 높이고 음영의 중첩 효과를 최소화함으로써 폐간질의 미세한 변화까지 관찰할 수 있게 하겨 미만성 간질성 폐질환의 진단에 매우 유용한 진단 방법이다. 저자들은 이런 고해상도 전산화단층촬영을 한 환자에서 개흉폐생검을 시행하여 진단 및 치료에 어느 정도의 추가 이익을 얻을 수 있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988년 3월부터 1994년 7월까지 미만성 간질성 폐질환의 진단적 목적으로 개흉폐생검을 시행한 30예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고해상도 전산화단층촬영의 진단과 개흉폐생검외 진단 결과를 비교하고 각 환자들의 치료 방침을 조사하였다. 결과: 고해상도 전산화단층촬영은 28예에서 시행되었는데 이 중 22예(78.6%)에서 특이적 진단이 가능하였고 22예 중 20예에서는 개흉폐생검에 의해 같은 진단으로 확진되었다. 나머지 2예 중 1예는 개흉폐생검 결과가 비특이적이었다. 개흉폐생검은 전체 30예 중 25예(83.3%)에서 특이적 진단을 하였다. 또한 고해상도 전산화단층촬영으로 특이 진단이 불가능하였다. 6예 중 5 예(83.3%)에서 특이적 진단을 하였다. 전체 30예 중 단지 2예에서만 치료 방침의 결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결론: 미만성 간질성 폐질환 환자에서 고해상도 전산화단층촬영이 특이적 진단을 강력히 시사하는 경우에 개흉폐생검의 펼요성 여부에 대해서는 재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미만성 침윤성 폐질환에 대한 비디오 흉강경 폐생검과 개흉 폐생검의 비교 (A Comparison of Thoracoscopic and Open Lung Biopsy for the Diffuse Infiltrative Lung Disease)

  • 이재익;김영태;성숙환;김주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2호
    • /
    • pp.164-170
    • /
    • 1999
  • 배경: 미만성 침윤성 폐질환의 확진을 위해 많은 환자들에게 폐생검이 시행되고 있다. 개흉 폐생검에서의 작은 절개로 얻을 수 있는 제한된 시야와는 달리, 흉강경을 통한 폐생검은거의 전 폐실질을 관찰한 후 생검할 수 있는 장점과 전통적인 개흉으로 생길 수 있는 유병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만성 침윤성 폐질환의 진단에 있어, 흉강경 폐생검(TLB)과 개흉 폐생검(OLB)을 효율성과 안전성의 측면에서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3년 3월부터 1997년 8월까지 81명의 환자에게 폐생검을 시행하였으며, 이 중 51명에게 기존의 개흉 폐생검을, 30명에게는 비디오 흉강경 폐생검을 시행하였다. 결과:수술 시간은 TLB에서 63분, OLB에서 79분이었고(p=0.04), 생검 조직 절편의 크기(TLB 7.8 cm3, OLB 6.9 cm3 : p=0.72)와 진단률(TLB 100%, OLB 96%)은 두 군간의 차이가 없었다. 술후 재원 일수는 TLB에서 OLB보다 유의하게 짧았고(TLB 13일, OLB 22일 : p=0.01), 흉관 거치일, 진통제 투여 횟수는 차이가 없었으나 진통제 투여 기간은 TLB에서 유의하게 짧았다(TLB 2.5일, OLB 5.2일, p=0.05). 합병증은 TLB에서 2례(6.67%), OLB에서 4례(7.84%)가 있었으며, 두 군 모두에서 수술로 인한 사망례는 없었다. 결론: 흉강경 폐생검이 미만성 침윤성 폐질환의 진단에 있어서, 기존의 개흉 폐생검의 훌륭한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PDF

미만성 침윤성 폐질환의 외과적 폐생검 (Surgical Lung Biopsy for Diffuse Infiltrative Lung Disease)

  • 이장훈;권진태;이정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11호
    • /
    • pp.844-849
    • /
    • 2006
  • 배경: 미만성 침윤성 폐질환의 확진을 위해서는 외과적 폐생검이 필요하다. 개흉 폐생검과 흉강경 폐생검 방법을 비교하고 외과적 폐생검이 미만성 간질성 폐질환의 진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3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영남대학교의료원 흉부외과에서 폐생검을 시행한 환자를 후향적 조사를 하였다. 외과적 폐생검 후 조직학적 진단과 치료방침의 변화를 분석하고 소개흉술을 실시한 군(OLB)과 비디오 흉강경수술을 실시한 군(TLB)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환자는 36명이었고 기침이 가장 많은 술 전 증상이었다. OLB군과 TLB군 사이에 수술시간, 마취시간, 재원기간, 흉관거치 기간, 채취한 조직의 용적, 합병증 발생률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전 예에서 술 후 조직학적 진단이 가능하였다. 술 후 33%에서 치료 방침의 변화가 있었고 두 군 간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술 후 사망은 1예가 있었고 술 전 호흡부전이 있었던 환자에서 발생하였다. 결론: 외과적 폐생검은 미만성 침윤성 폐질환을 확진할 수 있는 진단방법이고 술 후 치료 방침의 결정에 많은 도움을 준다. 흉강경 폐생검은 개흉 폐생검에 비해 덜 침습적이고 동일한 조직학적 진단율을 보이므로 외과적 폐생검의 기본 수술술기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