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ole of Open Lung Biopsy in Diagnosis and Treatment of Diffuse Interstitial Lung Disease in High-resolution Computed Tomography Era

고해상도 전산화단층촬영 시대에 있어서 미만성 간질성 폐질환의 진단 및 치료에서의 개흉폐생검의 역할

  • Kim, Gye Su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Tuberculosis Research Institutu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Jae Chu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Tuberculosis Research Institutu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Seung Jo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Tuberculosis Research Institutu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Yoo, Chul-Gyu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Tuberculosis Research Institutu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Young Wha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Tuberculosis Research Institutu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Han, Sung Ko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Tuberculosis Research Institutu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Min, Kyung Up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Tuberculosis Research Institutu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Im, Jung-Gi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You Yo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Tuberculosis Research Institutu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Shim, Young-So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Tuberculosis Research Institutu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김계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결핵연구소) ;
  • 이재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결핵연구소) ;
  • 이승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결핵연구소) ;
  • 유철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결핵연구소) ;
  • 김영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결핵연구소) ;
  • 한성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결핵연구소) ;
  • 민경업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결핵연구소) ;
  • 임정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학교실) ;
  • 김유영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결핵연구소) ;
  • 심영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결핵연구소)
  • Published : 1996.10.30

Abstract

Objective: Diffuse interstitial lung disease (DILD) is a group of diverse diseases that share conUTIon clinical, radiologic, and pulomonary function features. Open lung biopsy (OLB) has been regarded as gold standard in differential diagnosis of DILD. However open lung biopsy is a invasive diagnostic tool not free of its own risk or complications. These days, high-resolution computed tomography (HRCf) has become an important diagnostic tool in DILD through its precise image analysis. In many instances, HRCT could provide specific diagnosis or, at least, provide infonnation on the disease activity of DILD. The authors re-evaluate the role of open lung biopsy in this "HRCT era" by investigating the additional diagnostic gain and impacts on the treannent plan in patients who have undergone high-resolution CT. Method : Diagnoses obtained by high-resolution CT and open lung biopsy were compared and changes of treatment plans were evaluated retrospectively in 30 patients who had undergone open lung biopsy for the purpose of diagnosis of diffuse interstitial lung disease from March 1988 to June 1994. Results : High-resolution cr suggeted specific diagnoses in 22 out of 28 patients (78.6%) and the diagnoses were confinned (0 be correct by open lung biopy in 20 of those 22 cases (91%). Open lung biopsy could not give specific diagnosis in 5 out of 30 cases (16.7%). In 5 out of 6 cases (83.3%) in whom high reolution cr was not able to suggest specific diagnosis, open lung biopsy gave specific diagnoses. Treatment plan was altered by the result of open lWlg biopsy in only 2 cases. Conclusion: The aoove fmdings suggest that in "HRCT era", when HRCT could suggest specific diagnosis, the need for open lung biopsy should be re-evaluated.

목적: 미만성 간질성 폐질환은 공통의 임상 양상, 방사선 소견, 폐기능 장애 소견을 갖는, 무수히 많은 원인 질환들로 구성되어 있어 개흉폐생검 등의 조직학적 진단이 표준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지만 관혈적 진단 방법이라는 단점이 있다. 고해상도 전산화단층촬영은 해상력을 높이고 음영의 중첩 효과를 최소화함으로써 폐간질의 미세한 변화까지 관찰할 수 있게 하겨 미만성 간질성 폐질환의 진단에 매우 유용한 진단 방법이다. 저자들은 이런 고해상도 전산화단층촬영을 한 환자에서 개흉폐생검을 시행하여 진단 및 치료에 어느 정도의 추가 이익을 얻을 수 있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988년 3월부터 1994년 7월까지 미만성 간질성 폐질환의 진단적 목적으로 개흉폐생검을 시행한 30예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고해상도 전산화단층촬영의 진단과 개흉폐생검외 진단 결과를 비교하고 각 환자들의 치료 방침을 조사하였다. 결과: 고해상도 전산화단층촬영은 28예에서 시행되었는데 이 중 22예(78.6%)에서 특이적 진단이 가능하였고 22예 중 20예에서는 개흉폐생검에 의해 같은 진단으로 확진되었다. 나머지 2예 중 1예는 개흉폐생검 결과가 비특이적이었다. 개흉폐생검은 전체 30예 중 25예(83.3%)에서 특이적 진단을 하였다. 또한 고해상도 전산화단층촬영으로 특이 진단이 불가능하였다. 6예 중 5 예(83.3%)에서 특이적 진단을 하였다. 전체 30예 중 단지 2예에서만 치료 방침의 결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결론: 미만성 간질성 폐질환 환자에서 고해상도 전산화단층촬영이 특이적 진단을 강력히 시사하는 경우에 개흉폐생검의 펼요성 여부에 대해서는 재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