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ocyte development

검색결과 610건 처리시간 0.401초

Protein Patterns of Ovary and Hemolvmph in Gerris paludum

  • 황명실;최원철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37-350
    • /
    • 1989
  • 본 연구에서는 SDS/polyacrylamide젤 전기영동과 2차원 전기영동을 사용하여 Gerris paludum(소금쟁이)의 난 형성 동안 난소 단백질과 혈림프 단백질을 비교하였다. 또한 난물질의 구성성분인 glycoprotein의 양상을 살펴 보았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난을 갖지 않는 5령의 난소 단백질의 양상을 성체의 산란 무 난소 단백질 퍼턴과 유사하였다. 난 발달동안의 난소의 단백질중 M.W 66,000-110,000 사이의 단백질이 난을 갖지 않은 난소 단백질에 비해 많은 양이 존재하였다. 난을 갖지 않은 난소에서는 glycoprotein은 나타나지 않았다. glycoprotein은 5령의 난 발달이 진행됩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하였다. 산란후 성체의 난소에서는 5령의 난을 갖지 않는 난소에서처럼 glycoprotein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M.W 66,000-110,000 사이의 혈림프 단백질은 5령의 난 형성 동안 양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난소 단백질 중 일부를 혈림프로부터 얻을 것이라는 사실을 제시하는 것이다. 발달하고 있는 난의 glycoprotein은 이 단계의 혈림프에서도 점차 증가하였다. 낮은 분자 영역에서 하나의 band (M.W. 9,500)가 난을 갖지 않는 5령과 성체의 혈림프에서 분리되었다. 이 단백질은 고분자량의 영역(M.W. 66,000-110,000)에서 나타나는 glycoprotein 전구체라고 생 각된다. 2차원 전기영동에서는 난을 갖지 않은 난소 단백질이 난을 가지고 있는 난소 단백질에 비해 적은 spots로 분리되었고 그 양도 적었다. M.W 45,000-110,000 사이의 band들은 2차원 전기영동에서 산성쪽으로 분리되어 나타났다. 특히, M.W. 102,000의 분자량을 가지는 band는 4개의 spots bl, b2, b3 및 b4로 분리되었다. 반면에 M.W 24,000이하의 단백질들은 산성쪽의 단백질보다 염기성쪽으로 분리되었다. Gepris paludum의 난황 형성과정에 있어서 세포내 기관(= 세포 소기관)의 기작이 난세포의 난황단백질 합성과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 PDF

돼지 난자의 체외성숙에서 Caffeine 처리가 난자 성숙과 체세포 핵이식 배아의 체외발육에 미치는 영향 (Caffeine treatment during in vitro maturation improves developmental competence of morphologically poor oocytes after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in pigs)

  • 이주형;유진영;이한나;신혜지;이근식;이승태;이은송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31-13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체외성숙 배양액 내 caffeine 첨가가 돼지 난자의 성숙과 단위발생 및 체세포 핵이식 후 배 발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난세포질 및 난구세포 부착정도의 형태학적 특징에 따라 MGCOCs와 MPCOCs로 구분된 미성숙난자를 각각 무처리군(대조군)과 2.5 mM caffeine이 첨가된 배양액에서 체외성숙 22-42(20시간), 34-42(8시간), 38-42(4시간)동안 처리하는 군으로 나누어 체외성숙을 유도하였다. 또한 체외성숙 난자를 단위발생 및 체세포 핵이식에 공여하여 배아를 생산한 후 7일 동안 체외배양하여 체외성숙 동안 caffeine 처리가 분할률, 배반포 형성률 및 배반포의 세포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분할률 및 배반포 세포 수는 caffeine의 처리 시간에 따라 유의적인 영향을 받지 않았다. 그러나 MPCOCs 유래 난자에서 체외성숙 후기 4시간 동안 caffeine 처리는 체세포 핵이식 배아의 배반포 형성률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 이 결과는 caffeine 처리가 체외성숙 동안 난자의 MPF 수준의 감소를 억제시킴으로써 체세포 핵의 리모델링이나 리프로그래밍에 영향을 미쳐 핵이식 배아의 발육능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난소 수송 온도에 따른 소 체외 수정란의 발육 및 동결-융해 후의 생존성 (In Vitro Development and Survival Following Cryopreservation of Bovine Embryos according to Ovary Transport Temperature)

  • 조상래;최선호;김현종;최창용;진현주;손동수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63-168
    • /
    • 2006
  • 본 연구는 도축되는 소 난소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서 도축장으로부터 실험실로 운반되는 난소 수송 온도에 따른 체외 수정란 생산 효율을 조사하고자 실시되었다. 도축장의 HACCP 적용으로 도축장 출입이 불가능하므로 위탁하여 난소를 공급받게 되어 취급자의 부주의로 적절한 온도 유지가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특히 겨울철에는 더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겨울철 난소수송 온도에 따라서 4처리 그룹, 즉 $7{\sim}10^{\circ}C$ (T1), $11{\sim}17^{\circ}C$(T2), $18{\sim}25^{\circ}C$(T3) 그리고 $26^{\circ}C$ 이상인 경우를 control 그룹으로 구분하였다. 회수된 난포란을 체외 성숙, 수정 및 배양을 실시하여 처리 그룹간 체외 성숙율, 분할율, 배반포 발달율 및 배반포의 세포수를 비교하였으며, 동결-융해한 배 반포에 대해서도 생존성에 대하여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회수된 난포란을 22시간 동안 체외 성숙시켰을 때 수정 적기인 제2감수분열 중기에 도달한 비율은 $T1{\sim}T3$ 그룹에서 $60.0{\sim}68.2%$의 비율로 나타났으나, control 그룹에서는 81.8%로 다른 처리군에 비해서 유의적으로(p<0.05) 높은 결과를 보였다. 2. 체외 수정 후 48 시간에 확인한 분할율은 control 그룹이 83.6%로서 T3 그룹과는 유의적인 차이 가 없었으나, T1(52.6%) 또는 T2 그룹(54.5%)에 비해서 유의적인(p<0.05) 차이를 보였다. 수정 후 168시간과 192시간까지의 배반포 생산율은 처리군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생산된 blastocysts를 동결-융해하여 수정란의 생존성을 확인한 결과, T1 그룹이 46.2%로서 다른 처리군($68.8{\sim}73.1%$)에 비해서 유의적으로(p<0.05) 낮은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실험의 연구 결과를 살펴볼 때 도축되는 소 난소의 수송 온도는 $26^{\circ}C$ 이상을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저온에 의한 난포란 손상을 최소화하여 체외 발달율 및 동결-융해 후 생존율을 높여, 궁극적으로 수정란이식 산업과 생명 공학 분야의 실험의 효율을 증진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맛조개, Solen strictus와 붉은맛, Solen gordonis의 생식년주기 (Annual Reprodutive Cycle of the Jackknife Clams, Solen strictus and Solen gordonis)

  • 정의영;김형배;이택열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63-574
    • /
    • 1986
  • 한국산 맛조개류 중 가장 다산되며, 식용되고 있는 맛조개와 붉은맛을 대상으로 생식세포형성과정, 난경조성변화, 생식년주기, 군성숙도등을 조사하였다. 1. 맛조개와 붉은맛은 자웅이체로서 난생이다. 생식소는 내장낭에서부터 족부의 근육결체섬유층 사이에 수지상 소낭 및 소엽으로 구성 분포하고 있다. 2. 분열증식중인 난원세포는 $10{mu}m$내외의 크기로 핵과 단일인이 뚜렷하고, 초기의 난모세포는 난병을 형성하여 생식상피위에 부착한 채 직접 영양을 흡수하는 한편 부분화간충직과 호산성과립세포들이 성장에 관여하고 있다. 성숙난모세포는 내강내에 유리되며 나오며 완숙난의 크기는 맛조개는 $80{\sim}85{\mu}m$정도이고 붉은맛은 $80{\sim}90{\mu}m$이다. 3. 정소소엽 상피위에는 정원세포, 정모세포, 정세포 및 변태한 정자 순으로 내강을 향하여 층상배열을 하며 성숙발달해 간다. 4. 방난, 방정을 마친 생식소는 퇴화되면서 조직이 완전 해체되어 휴지기상태를 거치고 이듬해 새로 분화된 조직이 재배치 되면서 새로운 성장을 하게된다. 5. 생식소의 발달단계는 분열증식기, 성장기, 성숙기, 방출기, 퇴화 및 휴지기등의 연속적인 연주기로 구분할 수 있었다. 6. 맛조개의 산란기는 다대포산이나 군산산 공히 환경수온이 $20^{\circ}C$ 이상으로 상승하는 6월부터 시작하여 $25^{\circ}C$ 이하인 7월까지 산란이 지속되는데 이들의 주산란기는 다대포산은 6월이고, 군산산은 7월이다. 그리고 붉은맛의 산란기는 $5{\sim}6$월이며 주산란기는 6월이다. 7. 맛조개의 경우, 다대포산이나 군산산맛조개의 군성숙도가 $50\%$를 넘는 개체는 암수 공히 각장이 $5.1{\sim}6.0cm$인 개체들이었으며, 암수 전개체가 방난, 방정하여 재생산에 $100\%$ 참여하는 개체의 크기는 각장이 $7.1{\sim}8.0cm$이상인 개체들이었다.

  • PDF

체외에서 성숙되고 수정된 소 난자의 배반포 형성에 있어 항산화제의 역할 (Effect of Thiol Compounds on the Blastocyst Formation of In Vitro Matured and Fertilized Bovine Embryos)

  • 정미용;도정태;엄진희;엄상준;김남형;이훈택;정길생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93-300
    • /
    • 1998
  • 본 연구는 체외에서 성숙되고 수정된 소 수정란의 체외 발달에 thiol compound인 $\beta$-mercaptoethanol($\beta$-ME)과 cysteine(CYS)의 첨가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미성숙 난포란을 회수한 후 TCM-199 배양액내에서 24시간 동안 성숙을 유도하였다. 수정은 Fert-TALP 배양액에서 실시하였으며, 2세포기로 발달한 수정란만을 선별하여 CR1aa 배양액내에 $\beta$-ME 및 CYS를 첨가하여 체외배양하였다. 실험 1에서는 $\beta$-ME과 CYS의 최적농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0, 5, 25, 125$\mu$M의 $\beta$-ME과 0, 0.01, 0.1, 0mM의 CYS이 첨가된 배양액에 2세포기 난자를 9일 동안 배양하면서 배반포까지 발달율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25$\mu$M의 $\beta$-ME 그리고 0.1mM의 CYS이 첨가된 배양액에서 배반포까지의 발달율은 각각 30.7%와 31.0%로 대조군의 발달율(8.0%, 15%)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5). 실험 2에서는 배반포 형성에 있어 최적농도인 25$\mu$M의 $\beta$-ME과 0.1mM의 CYS을 각각 초기배(2$\longrightarrow$8세포기)와 후기배 (8세포기 이후) 배양시 첨가하였을 때,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후기배양시 25$\mu$M의 $\beta$-ME과 0.1mM의 CYS이 첨가된 배양액내에서 배반포까지의 발달율은 각각 60.2%와 43.1%로 초기배 배양에서의 첨가군(18.2%, 23.7%)과 대조군(22.5%, 18.1%)에 비해 유\ulcorner거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따라서 배양액내 $\beta$-ME과 CYS의 첨가는 체외에서 생산된 소 난자의 배발달율을 향상시키며, 초기배 수정란의 genome 활성이 일어나는 시기 (8~16 세포) 이후에 첨가효과가 큼을 알 수 있었다.

  • PDF

다양한 배지에서 장시간 배양에 의한 돼지 난자의 단위발생 유도 (Spontaneous Parthenogenesis of Porcine Oocyte Induced by Prolonged Culture in Various Media)

  • J. M. Koo;Y. J. Ryu;Lee, E. G.;Kim, D. Y.;Kim, S. W.;S. K. Kang;Lee, B. C.;W. S. Hwang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9-73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TCM-199, mSOF, NCSU-23 세 종류의 배지의 자연 단위 발생 유도로 형성된 돼지 배아의 초기 발육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였다. 실험 1에서는 세 종류의 배지에서 체외 성숙된 도축장 유래 돼지 난자의 성숙율을 성숙 48 시간째 핵상 관찰로 조사하였다. 각 배지에서의 핵 성숙율은 mSOF군에서 83.1$\pm$2%, NCSU-23 군에서 78.0$\pm$3%, TCM-199군에서 83.5$\pm$2%로 세 배지의 난자 성숙율에 대한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P(0.05). 실험 2에서는 돼지 난자의 전핵 형성률, 단위 발생으로 형성된 배아의 분할율, 6-8세포기까지의 발육율 등이 각각 체외 성숙 55-58 시간, 96시간 그리고 168 시간 후에 관찰되었다. 전핵 형성율 (5.4$\pm$2 % in mSOF and 3.7$\pm$1% in NCSU-23 vs 1.7$\pm$3% in TCM-199) 그리고 6-8cell까지의 발육율은 (3.2$\pm$3% in mSOF and 4.0$\pm$1% in NCSU-23 vs 1.4$\pm$3% in TCM-199) mSOF군과 NCSU-23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를 볼 때 mSOF 배지와 NCSU-23 배지에서 장시간 배양에 의한 난자의 단위발생 유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Effect of IVM Medium and Protein Source on In Vitro Maturation of Canine Oocytes

  • Lee, Hyo-Sang;Yin, Xi-Jun;Lee, Young-Ho;Chun, Se-Jin;Suh, Young-Il;Park, Keum-Ju;Seo, Jin-Sung;Jo, Su-Jin;Kong, Il-Keun
    • 한국발생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발생생물학회 2003년도 제3회 국제심포지움 및 학술대회
    • /
    • pp.123-123
    • /
    • 200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ability of nuclear development of canine oocytes depend on the kind of maturation media and addition of serum sources. Ovaries were collected from a bitches at various stages of estrus cycle by an ovariohysterectomy. Oocytes were collected of cumulus oocytes complexes after slicing of ovaries with blade. The maturation medium was containing 0.6 mM/ml cysteine, 0.2 mM pyruvic acid, 20 ng/ml $E_2$ and 1 $\mu g/ml$ rbST Exp. 1, the oocytes were matured in four different maturation medium as follows: 1) TCM-199, 2) DMEM, 3) NCSU37 and 4) modified-NCSU37 with 10% FBS. Exp. 2: the oocytes were matured in mNCSU37 supplemented with different protein sources (10% FBS, 10% EDS, 0.3% BSA and 0.1% PVA) to select the optimal one. Oocytes were matured in a humidified atmosphere containing 5% $CO_2$ at $39{\circ}C$ for 72 hrs. The maturation rate were analyzed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using General Linear Models procedure in SAS. The rates of meiotic resumption to MI-MII depend on different culture media were achieved with TCM-199 (5.2%), DMEM (5.0%), NCSU37 (7.2%) and m-NCSU37 (5.9%), respectively. The rates of meiotic resumption to MI-MII according to addition of protein source were 10% FBS (13.3%), 10% EDS (25.0%), 0.3% BSA (25.0%) and 0.1% PVA (15.4%),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 results obtained showed that in vitro maturation media and protein supplement to m-NCSU37 culture medium tested did not promote the final steps of IVM in canine oocytes.

  • PDF

돼지정액의 동결에 관한 연구 II. 동결한 돼지정액의 체내, 체외수정능력 (Studies on the Freezing of Boar Semen II . In Vitro and In Vivo Fertilizing Capacity of Frozen Boar Spermatozoa)

  • 김광식;송해범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8
    • /
    • 2005
  • 본 실험은 LEY에 다양한 당류를 첨가한 용액으로 동결보존한 돼지정자의 응해후 생존율과 정상 첨체율, 체외성숙한 난자와의 수정능력과 배 발달 능력 및 인공수정을 통한 수태율과 산자수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융해후의 정상 첨체율은 glucose 농도 증가와 함께 증가되었으나, 생존율에 있어서는 효과가 인정되지 않았다. LEY에 fructose를 단독 또는 glucose와 함께 첨가하면 융해후의 생존율이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 (p<0.05), 정상 첨체율에 있어서는 LEY 보존액에 fructose와 glucose를 첨가한 구가 $81.4{\pm}2.3\%$로 control의 $41.6{\pm}0.6\%$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p<0.001). 체외성숙 난자와의 수정율, 분할율 및 배반포 발생율은 $70.8\~80.7\%$, $44.6\~45.7\%$$13.6\~16.0\%$로 glycerol과 fructose 농도 및 정자농도 간에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1회 발정당 2회의 인공수정을 하였을 때, 수태율은 $83.3{\pm}0.1\%$, 산자수는 $9.4{\pm}1.7\~10.4{\pm}0.7$두로서 SGI사의 동결정액의 $50.0{\pm}0.1\%(p<0.05)$과 $8.0{\pm}1.1$두에 비하여 높았다.

Subcellular Characterization of Porcine Oocytes with Different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Activities

  • Fu, Bo;Ren, Liang;Liu, Di;Ma, Jian-Zhang;An, Tie-Zhu;Yang, Xiu-Qin;Ma, Hong;Zhang, Dong-Jie;Guo, Zhen-Hua;Guo, Yun-Yun;Zhu, Meng;Bai, Ji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8권12호
    • /
    • pp.1703-1712
    • /
    • 2015
  • The in vitro maturation (IVM) efficiency of porcine embryos is still low because of poor oocyte quality. Although brilliant cresyl blue positive (BCB+) oocytes with low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G6PDH) activity have shown superior quality than BCB negative (-) oocytes with high G6PDH activity, the use of a BCB staining test before IVM is still controversial. This study aimed to shed more light on the subcellular characteristics of porcine oocytes after selection using BCB staining. We assessed germinal vesicle chromatin configuration, cortical granule (CG) migration, mitochondrial distribution, the levels of acetylated lysine 9 of histone H3 (AcH3K9) and nuclear apoptosis feature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G6PDH activity and these developmentally related features. A pattern of chromatin surrounding the nucleoli was seen in 53.0% of BCB+ oocytes and 77.6% of BCB+ oocytes showed peripherally distributed CGs. After IVM, 48.7% of BCB+ oocytes had a diffused mitochondrial distribution pattern.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AcH3K9 in the nuclei of blastocysts derived from BCB+ and BCB- oocytes; at the same time, we observed a similar incidence of apoptosis in the BCB+ and control groups. Although this study indicated that G6PDH activity in porcine oocytes was correlated with several subcellular characteristics such as germinal vesicle chromatin configuration, CG migration and mitochondrial distribution, other features such as AcH3K9 level and nuclear apoptotic features were not associated with G6PDH activity and did not validate the BCB staining test. In using this test for selecting porcine oocytes, subcellular characteristics such as the AcH3K9 level and apoptotic nuclear features should also be considered. Adding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s or apoptosis inhibitors into the culture medium used might improve the efficiency of IVM of BCB+ oocytes.

경골어류 잉어과 쉬리(Coreoleuciscus splendidus)의 난자형성과정 (The Oogenesis of Coreoleuciscus splendidus, Cyprinidae, Teleostei)

  • 김동희;김완종;등영건;김석;이규재
    • Applied Microscopy
    • /
    • 제40권1호
    • /
    • pp.9-14
    • /
    • 2010
  • 경골어류, 잉어과, 모래무지아과에 속하는 쉬리(Coreoleuciscus splendidus)의 난자형성과정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쉬리의 난소는 한 쌍으로 부레와 창자사이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회색을 띠었다. 난소의 형태는 장타원형(장축 20 mm, 단축 5 mm)이었다. 난원세포는 다각형으로 세포질은 호염기성이었고 핵 안에 여러 개의 인들이 분포하고 있었다. 초기시기의 제1난모세포(primary oocyte)는 난원세포에 비하여 크기가 커졌으며 난황포(yolk vesicle)들은 핵 주변부에는 관찰되지 않았고 세포질의 가장자리에만 국한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제1난모세포가 발달함에 따라서 난황포는 바깥 가장자리에서 안쪽으로 증식되어 핵 쪽으로 이동되었으며 난막 바깥쪽은 짙은 푸른색의 여포상피(follicular epithelium)로 싸여 있었다. 그러나 핵의 주변부는 아직 푸른색을 띠고 있었다. 제2난모세포는 세포질이 전체적으로 호산성이었으며 난황포가 세포질 전체에 분포하였다. 성숙한 난자는 난자의 크기가 상당히 커졌으며 난막이 두꺼워졌다. 또한 난황포는 난황괴(yolk mass)로 전환되었다. 이상과 같이 쉬리의 난자형성과정은 난세포의 크기 증가, 난황낭의 축적, 세포질 내 염기성 물질이 산성으로 전환 및 난막의 발달로 요약될 수 있으며 일반적인 다른 과의 담수경골어류와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어종의 종특이성을 찾기 위해서 난막의 미세구조적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