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nline Academic Information Services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11초

팬데믹 시대 대학도서관 온라인 정보서비스의 현황과 과제 (Current Status and Future Perspectives of Academic Library Online Services in the Pandemic Era)

  • 이지수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159-185
    • /
    • 2021
  • 팬데믹 이후 대학의 비대면 원격 학습 전환으로 도서관의 정보 이용환경은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고, 대학도서관은 이러한 변화에 따른 요구나 기대에 부응하는 연구 및 교육 지원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외의 대학도서관이 팬데믹 이후에 제공하고 있는 온라인 정보서비스와 이에 대한 원격 학습자들의 이용경험과 요구사항을 파악하기 위하여, 1) 국내외 대학도서관 60곳이 제공하고 있는 온라인 정보서비스의 현황, 그리고 2) 원격 학습을 하는 대학생들의 대학도서관 온라인 정보서비스의 이용경험 및 요구사항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팬데믹 이후 국내외 대학도서관에서는 다양한 온라인 정보서비스를 제공하여 비대면 환경에 대응하고 있었으며, 이용자는 대학도서관의 전자자료 이용 서비스와 온라인 이용자 교육 서비스에 대한 높은 이용경험과 요구사항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의 대학도서관이 팬데믹 발생 후에 제공하는 온라인 정보서비스의 현황 및 대학생들의 이용경험 및 요구사항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팬데믹 위기 속에서 원격 학습으로 전환된 대학의 교육과 도서관의 온라인 정보서비스의 질적 향상 및 이용자의 요구사항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기획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뉴노멀시대 대학도서관의 지속가능한 서비스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ustainable Academic Library Services in the New Normal Age)

  • 이지욱;이용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357-377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기간 동안 대학도서관에서 실시된 다양한 비대면, 온라인 서비스를 살펴보고 뉴노멀시대 대학도서관에 적용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서비스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대학도서관 서비스의 운영 현황을 살펴보고, 국내 대학 중 재학생 10,000명 이상 대학의 도서관 63개관의 비대면·온라인 서비스 현황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 도서관의 홈페이지와 대학도서관 발전계획을 살펴보았으며, 비대면·온라인 서비스를 '장서', '시설·공간', '프로그램'의 범주로 분류하여 서비스 사례를 분석하였다. 또한 국내 공공도서관 및 해외 도서관의 비대면·온라인 서비스 사례를 분석하여 국내 대학도서관에 적용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비대면 서비스를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 뉴노멀시대 대학도서관의 지속가능한 서비스로 '수업자료에 대한 비대면·온라인 서비스 확대', '연구·학습지원 큐레이션 확대를 통한 도서관 자원의 이용 활성화', '스마트도서관 구축 및 시설·공간 서비스 혁신', '이용자와의 상호작용 확대를 통한 비대면·온라인 프로그램 기획'을 제시하였다.

Awareness and Utilization of the Internet Resources and Services for Academic Activities by the Academics of Tertiary Institutions in Adamawa State, Nigeria

  • Suleiman, Idris;Joshua, Dauda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9권2호
    • /
    • pp.7-31
    • /
    • 201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and utilization of the Internet resources and services for academic activities by the academic staff of tertiary institutions in Adamawa State. The researchers adopted a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using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to collect data from the respondents. Multi-stage sampling techniques were used. Three hundred and thirty-three (333)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administered to the respondents in the eight (8) sampled institutions and two hundred and ninety-two (292) respondents representing (87.6%) were returned and found useful.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d inferential statistics by the use of SPSS version 20.0. The findings revealed that respondents were aware of all the Internet resources, (e-books, e-journals, and online databases), but regarding the Internet services, they were mostly aware of only the e-mail. The study further found that online database and e-mail as the most Internet resources and services utilized by the respondents. There are inverse and weak relationship between awareness and utilization of the Internet resources and services by the academic staff of tertiary institutions in Adamawa State. The study recommends increase awareness and use to other Internet resources such as the e-books and e-journal and Internet services, especially Usenet, Discussion group and Telnet by the management of the institutions through training, workshops/conferences for better academic activities.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Engagement in Virtual Library Services as Learning Support Systems from the Perspectives of Post-Graduate Students: A Case Study-Graduate Students: A Case Study

  • Alenzuela, Reysa;Kamilova, Yelizaveta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6권1호
    • /
    • pp.45-64
    • /
    • 2018
  • The global information economy is transforming the way people connect with each other, learn new things, and contribute to the knowledge society. With the online platform, library services have also expanded beyond face to face interaction. Although studies of virtual reference services have been made in different parts of the world, a case study discussing various forms of online reference engagement in Kazakhstan has not been written. While most of the theories on connectivism emphasize the context of instruction, the researchers of this paper discussed the tenets as they relate to online engagement. Applying the theory of connectivism, this paper explores through a mixed method the use of various online platforms to enhance engagement connecting library users to information. Findings revealed that differences in patterns of interactions as to platforms, types of queries, and users reveal that students, faculty, and other members of the academic community served by the library have various preferences for communication. The case study further showed that respondents have not maximized the use of VLS but interest in using both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services is clear. Finding connections between sources of information, creating useful information patterns, is essential in learning. Amplifying awareness on the use of VLS giving emphasis to the unique features of each service is useful in order to enable students to see how this platform facilitates learning.

대통령기록관 학술연구지원서비스의 고도화 방안 (Advancement Plan for Academic Research Services of Presidential Archives)

  • 김도윤;이해영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39-162
    • /
    • 2021
  • 방대한 정보 획득의 공간속에서 보다 명확한 정보를 찾기 위한 요구가 증대됨에 따라 기록관리기관에서 학술연구지원서비스의 제고는 매우 중요하다 볼 수 있다. 2019년 대통령기록관은 영구기록물관리기관에서 유일하게 학술연구지원서비스를 개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통령기록관에서 시행되는 학술연구지원서비스의 미흡한 이용 현황을 파악하고, 대통령기록을 학술목적으로 이용하고 연구를 진행한 경험이 있는 이용자 8명과의 면담을 통해 문제점과 요구사항 등을 분석하여 대통령기록관의 연구지원서비스 고도화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의 서비스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자들은 대부분 온라인 검색을 통해 정보탐색을 하나, 배경지식에 따라 정보격차가 컸고, 정보가 부족하면 연구 범위를 축소시키며, 검색도구, 기록 관리 및 기록 공개 측면에서 문제점이 발생했고, 학술연구지원서비스에 대해 대부분 인지하지 못하였다. 이에 고도화방안을 연구자 간 정보격차 감소, 검색도구 기능의 개선, 기록의 상세한 기술, 지리적 제약의 해소, 학술연구지원서비스 홍보 및 콘텐츠 개발, 주제전문 아키비스트 양성 및 온라인채팅 서비스 제공 등으로 제시하였다.

온라인 공동구매형 소셜커머스의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 중국 이용자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Intention to Use for Social Commerce of Online Group-Buying : Focused on Chinese Users)

  • 방영영;김현모;박주석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27-146
    • /
    • 2017
  • The convergence of e-commerce and social media have given rise to a social commerce of online group-buying. Social commerce of online group-buying is a subset of B2C (Business to Consumer) and uses social media for marketing to facilitate online buying of products and services. The social commerce of online group-buying offers new and popular products or services every day, and uses social media to bring together separated consumers. In these backgrounds, we think that personality trait associated with seeking new and popular products or services, and social influence from social media are likely to be related to intention to use in social commerce of online group-buying. This study aims to examine and analyze novelty seeking and social influence that influence intention to use in social commerce of online group-buying in China. Our research model, which included novelty seeking and social influence, was developed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for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based on a sample of 218 users showed that novelty seeking ha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intention to use, and social influence ha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perceived usefulness. We suggested academic implications and practical implications based on our empirical research.

국회기록보존소 학술 정보 이용자 서비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to Vitalize Academic User Services of the National Assembly Archives in South Korea)

  • 장윤서;김지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41-71
    • /
    • 2021
  • 국회기록은 민주주의의 역사적 증거로써 큰 가치를 가지고 있어 공공기록 중 가장 활용가치가 높은 기록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때문에 업무상의 참고자료 혹은 증빙자료로 활용될 뿐만 아니라 학술 목적으로도 이용되고 있다. 학술 정보 이용자는 우리 사회의 지적 능력을 향상시키고 간접적 혁신을 이끌 수 있으며 이들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 한다면 기록관리기관의 지속적인 열람과 이용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회기록을 담당하고 있는 국회기록보존소의 학술 정보 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와 미국과 영국의 입법 아카이브센터 사례조사, 국회기록보존소 서비스 담당 실무자 2명과 국회기록을 학술 목적으로 이용해 본 이용자 8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온라인 원문 구축 확대와 국회기록보존소 홍보를 통한 국회기록보존소 인식 개선과 국회사무처와 협력체계 구축, 주제별 국회기록 제공, 국회기록 수집 및 분석 지원을 통한 온라인 서비스 강화, 개인화 서비스와 연구가이드를 통한 맞춤형 이용자 서비스를 제안하였다.

위변조에 안전한 블록체인 기반 학력 검증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 a Forgery-safe Blockchain-based Academic Credential Verification System)

  • 박중오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7호
    • /
    • pp.41-49
    • /
    • 2023
  • 최근 다양한 교육기관에서 졸업 및 성적에 관련된 학력 검증에 온라인 증명서 서비스의 활용도가 높다. 그러나, 기존 시스템의 증명서는 사실 여부와 세부 학력에 대한 검증과 추적에 한계가 있다. 관련하여 온라인/오프라인 증명서의 위조/변조 사건이 지속하여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 기관을 중심으로 위변조에 안전한 블록체인 기반 검증 시스템을 제안한다. 학과 별 세부 수업 카테고리와 출석 및 세부 성적 등 필요한 정보를 수집/분석하여 연계 관계를 블록체인으로 생성했다. 이외 블록체인 공유에 필요한 시스템/네트워크 환경을 고려하였고, 독립적인 웹 애플리케이션 형태의 확장 모듈로 구현했다. 블록체인 검증 결과, 학력 정보의 안전한 신뢰 검증과 세부 정보들의 관계를 추적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국내 교육기관 학력 검증 서비스 및 정보 보안 개선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Retrieval of Legal Information Through Discovery Layers: A Case Study Related to Indian Law Libraries

  • Kushwah, Shivpal Singh;Singh, Ritu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4권3호
    • /
    • pp.71-83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and evaluate discovery layer search tools for retrieval of legal information in Indian law libraries. This paper covers current practices in legal information retrieval with special reference to Indian academic law libraries, and analyses its importance in the domain of law.Design/Methodology/Approach. A web survey and observational study method are used to collect the data. Data related to the discovery tools were collected using email and further discussion held with the discovery layer/ tool /product developers and their representatives.Findings. Results show that most of the Indian law libraries are subscribing to bundles of legal information resources such as Hein Online, JSTOR, LexisNexis Academic, Manupatra, Westlaw India, SCC web, AIR Online (CDROM), and so on. International legal and academic resources are compatible with discovery tools because they support various standards related to online publishing and dissemination such as OAI/PMH, Open URL, MARC21, and Z39.50, but Indian legal resources such as Manupatra, Air, and SCC are not compatible with the discovery layers. The central index is one of the important components in a discovery search interface, and discovery layer services/tools could be useful for Indian law libraries also if they can include multiple legal and academic resources in their central index. But present practices and observations reveal that discovery layers are not providing facility to cover legal information resources. Therefore, in the present form, discovery tools are not very useful; they are an incomplete and half solution for Indian libraries because all available Indian legal resources available in the law libraries are not covered.Originality/Value. Very limited research or published literature is available in the area of discovery layers and their compatibility with legal information resources.

온라인 학술정보 서비스 상 원저작자 식별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for Identification of Original Authors in Online Academic Information Service)

  • 염정완;홍성화;주상현;전삼현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133-138
    • /
    • 2024
  • 현대 학술 연구 환경에서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연구자들에게 더욱 다양하고 풍부한 정보 접근성을 제공하고 있으나, 이와 동시에 저자 식별 문제가 새로운 도전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저자 식별 문제는 학술 커뮤니케이션의 투명성과 정확성을 저해하는 주요 요인으로, 연구 성과의 정확한 귀속과 연구 네트워크의 구축에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국제표준이름식별자(ISNI)와 연구자고유식별번호(ORCID)와 같은 식별자 시스템이 도입되었으나, 저자들의 저조한 참여와 정보의 부정확한 입력 등으로 인해 여전히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저자 정보가 최초로 시스템에 입력되는 순간부터 식별을 위한 정보 관리 방법을 중점적으로 연구함으로써, 저자 식별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고 학술 정보 서비스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학술 커뮤니티 내에서 저자 식별 문제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고, 관련 기관과 연구자들이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취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