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ne piece implant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16초

An analysis on the factors responsible for relative position of interproximal papilla in healthy subjects

  • Kim, Joo-Hee;Cho, Yun-Jung;Lee, Ju-Youn;Kim, Sung-Jo;Choi, Jeom-Il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3권4호
    • /
    • pp.160-167
    • /
    • 2013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that can be associated with the appearance of the interproximal papilla. Methods: One hundred and forty-seven healthy interproximal papillae between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were examined. For each subject, a digital photograph and periapical radiograph of the interdental embrasure were taken using a 1-mm grid metal piece. The following parameters were recorded: the amount of recession of the interproximal papilla, contact point-bone crest distance, contact point-cemento-enamel junction (CEJ) distance, CEJ-bone crest distance, inter-radicular distance, tooth shape, embrasure space size, interproximal contact area, gingival biotype, papilla height, and papilla tip form. Results: The amount of recession of the interproximal papilla was associated with the following: 1) increase in contact point-bone crest, contact point-CEJ, and CEJ-bone crest distance; 2) increase in the inter-radicular distance; 3) triangular tooth shape; 4) decrease in the interproximal contact area length; 5) increase in the embrasure space size; and 6) flat papilla tip form. On the other hand, the amount of gingival recession was not associated with the gingival biotype or papilla height. In the triangular tooth shape, the contact point-bone crest distance and inter-radicular distance were longer, the interproximal contact area length was shorter, and the embrasure space size was larger. The papilla tip form became flatter with increasing inter-radicular distance and CEJ-bone crest distance. Conclusions: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interproximal papilla in healthy subjects was associated with the multiple factors and each factor was related to the others. A triangular tooth shape carries a higher risk of recession of the interproximal papilla because the proximal contact point is positioned more incisally and the bone crest is positioned more apically. This results in an increase in recession of the interproximal papilla and flat papilla tip form.

치과 임플란트에서 기성 지대주와 맞춤형 지대주의 응력분석 및 피로파절에 관한 연구 (Stress Analysis and Fatigue Failure of Prefabricated and Customized Abutments of Dental Implants)

  • 김희은;조인호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9권3호
    • /
    • pp.209-223
    • /
    • 2013
  • 하악 제 1대구치에 티타늄과 지르코니아 소재의 기성 지대주와 맞춤형 지대주를 이용해 지르코니아 크라운으로 수복한 경우를 3차원 유한요소법을 통해 응력 분포를 분석해 보고, 피로 파절 강도 및 파절 형태를 고찰해 보았다. 정상교합자의 CT scan을 재구성한 하악골 모형상에 제 1대구치 임플란트 지지 지르코니아 크라운으로 수복한 6가지 유한요소 모형을 제작하고, 협측 교두 중앙에 수직과 30도 각도로 100 N의 하중을 가하는 조건으로 응력분포를 분석하였다. 현재 임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4가지 지대주를 이용하여, 군당 10개의 시편을 제작하고, ISO 14801에 따라 피로파절 실험을 실시하였다. 지대주나 고정체의 재질에 따른 응력분포의 차이는 없었고 형태에 따른 응력크기의 차이만 보였다. 맞춤형 지대주 군이 전반적으로 낮은 크라운 응력을 나타내었으며, 지대주 일체형 지르코니아 임플란트는 계면 골조직의 응력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피로수명의 평균값은 7군이 가장 높았고, 1군, 2군, 3군의 순서로 낮게 나타났으며(P<0.05), 기성 지대주 군은 피로수명의 편차가 적게 나타났다. 구치부의 임플란트 수복 시에는 맞춤형 지대주의 사용이 상부 보철물의 파절저항성 향상에 유리하며, 심미적 요구도가 높은 경우에는 고정체와의 접합부를 티타늄으로 제작한 지르코니아 맞춤형 지대주의 사용을 고려해 볼 만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