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lder Workers

검색결과 309건 처리시간 0.026초

연장입양가족의 적응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 주 양육자인 입양모의 입장에서 (A qualitative study on the adjustment process of families adopting an older child)

  • 정익중;권지성;민성혜;신혜원
    • 사회복지연구
    • /
    • 제42권1호
    • /
    • pp.399-432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연장입양가족의 적응과정을 이해하고, 그에 대한 실체이론을 구축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연장아동을 입양하여 양육하고 있는 입양모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고 질적 접근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장입양가족의 적응과정에 대한 이론적 모형이 구성되었고, 여기에는 연장입양가족들이 적응해 가는 과정에서 거치게 되는 여러 국면들과 경험들, 그리고 연장입양가족의 적응을 방해하는 장애물과 적응을 위해 가족들이 동원하고 활용하는 자원과 전략들이 포함되었다. 적응과정상의 국면들은 낯선 만남, 충격, 고군분투, 조절, 안정 등 다섯 가지 국면으로 구성되었다. 연장입양가족의 적응과정을 방해하는 장애물들로는 문제행동, 잃어버린 시간, 준비 부족, 경험 부족, 악순환의 고리, 혼자 버팀, 부적절한 자원, 지지 받지 못함, 비난받음 등이 있었고, 연장입양가족들이 활용하는 자원과 전략으로는 양육 경험, 지적 능력, 의지, 신앙, 관점 전환과 같은 개인 자원과 능력, 배우자나 다른 자녀와 같은 가족 자원, 확대 가족, 친척, 친구, 이웃, 다른 입양가족과 같은 비공식 지지체계, 입양실무자나 원조전문가들과 같은 공식 자원 등이 포함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입양분야에서 연장입양가족의 적응을 돕기 위한 정책과 실천 지침들을 제언하였다.

조선소 근로자의 직종과 혈청 암배아성 항원 농도와의 관련성 (A Relationship between Serum Carcinoembryonic Antigen Concentrations and Job Titles of a Shipyard Workers)

  • 정갑열;김정원;예병진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41-49
    • /
    • 2013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association between serum carcinoembryonic antigen (CEA) and type of work in the shipbuilding industry. Methods: 1,072 final study subjects were admitted to a general hospital from April through July 2010 for the purpose of medical examination. Data on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age, smoking history, alcohol history and exercise habits was gathered through structur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Information on job factors was collected from a medical examination, by interview and through company personnel data. Serum CEA levels were measured after eight hours' fasting and were analyzed by a radioimmunoassay. Results: On univariate analysis, the mean serum CEA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among married (p=0.02), older age (p<0.01), longer work time (p<0.01), smokers (p<0.01), lower education (p<0.01), and indirect and direct exposure groups (p<0.01). 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erum CEA level was influenced by smoking (p=0.001), duration of work (p=0.019), and direct exposure group (p<0.001). However, among the direct exposure group, serum CEA level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welding, mounting, electro-device constructive work, grinding and cleaning, and painting. Conclusions: The goal of this research was to determine if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serum CEA levels according to occupational role among shipyard workers. The direct exposure group of shipyard workers had a relatively higher level of serum CEA than did the indirect exposure group and office workers, most likely due to occupational exposure.

농촌지역 소규모 건축공사 현장의 재해조사를 통한 저감방안 고찰 (Measures to Reduce Industrial Accidents by Investigating them at Small Scale Construction Sites in Rural Area)

  • 김병윤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95-102
    • /
    • 2014
  • The number of industrial accident victim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ccounts for 1/3 of those in the entire industries and about 30% of the total compensation costs are spent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s such,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a typical industry causing numerous safety accidents. This study analyzes the status of industrial accidents in small scale construction sites to build maximum five-story buildings by examining statistical data for the past five years, investigating those construction sites and conducting interviews with the workers. This study also seeks the causes of and measures for industrial accidents in the small scale construction industry through comparison with relevant system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To reduce hazard rate, shaping the working environment and safety measures that take into account the physically weak classes of the middle aged and the aging are urgently required, because 62.9% of the industrial accident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occurred to those who are 50 years of age or older. (2) The hazard rate at small scale construction sites with less than 10 construction workers accounts for 55% of that of the entire industries. The government, in this context, needs to support finance or technology and improve system by selecting the small scale construction sites, where industrial accidents occur frequently. (3) Because the hazard rate of unskilled workers with less than 6 months of work experience accounts for 90.95% of the total, safety education needs to be concentrated on those unskilled workers. (4) The relevant standards need to be segmented and revised and bolstered, given that 64.79% of death disaster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occurs in the temporary structures including scaffolds and ladders.

Incidence and Predictors of Hand-Arm Musculoskeletal Complaints among Vibration-exposed African Cassava and Corn Millers

  • Mbutshu, Lukuke Hendrick;Malonga, Kaj Francoise;Ngatu, Nlandu Roger;Kanbara, Sakiko;Longo-Mbenza, Benjamin;Suganuma, Narufumi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5권3호
    • /
    • pp.131-135
    • /
    • 2014
  • Background: Cassava and corn milling is a growing small-scale enterprise in Africa. We aimed to determine the incidence of hand-arm musculoskeletal complaints among vibration-exposed Congolese cassava and corn millers in the previous 12 months.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prior to a follow-up study, from March to May 2013 among cassava/corn millers in Lubumbashi,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in which 365 millers age-matched to 365 civil workers anonymously answered a questionnaire. Results: Overall incidence of hand-arm musculoskeletal complaints was 25.8% in millers (vs. 5.2% in civil workers; p < 0.001). The risk of experiencing musculoskeletal symptoms was seven times higher in millers [vs. civil workers; odds ratio (OR) = 7.10; 95% confidence interval (CI): 4.03-12.50; p < 0.0001]; 2.4 times higher in smoking millers (vs. smoking civil office workers; OR = 2.36; 95% CI: 1.42-3.88; p < 0.001); 3.6 times higher in millers with longer daily exposure (> 8 hours; vs. those working ${\leq}8$ hours; OR = 3.56; 95% CI: 1.93-3.61; p = 0.026); and 7.4 times higher in young millers (vs. older millers, OR = 7.39; 95% CI: 1.29-75.52; p < 0.001). Smoking, number of cigarettes, and daily exposure durat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musculoskeletal complaints.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a relatively high incidence of musculoskeletal complaints among African cassava and corn millers. The use of anti-vibration protective equipment and the regulation of this hazardous occupation may reduce the burden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millers.

A Retrospective Comparative Study of Serbian Underground Coalmining Injuries

  • Ivaz, Jelena S.;Stojadinovic, Sasa S.;Petrovic, Dejan V.;Stojkovic, Pavle Z.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2권4호
    • /
    • pp.479-489
    • /
    • 2021
  • Background: During 2011, a study was undertaken to assess safety conditions in Serbian underground coalmines by analysis of injury data. The study covered all Serbian coalmines, identified week spots from the aspect of safety, and recommended possible courses of action. Since then, Serbia has made changes to safety and health legislation; all coalmines introduced new preventive measures, adopted international standards, and made procedures for risk management. After 10 years a new study has been performed to analyze the impact of these changes. Materials and methods: In this study, the injuries that have occurred in the Serbian underground coal mines over the last 20 years were analyzed. Statistical data analysis was performed by IBM SPSS Statistics v23. The injuries that occurred in the last ten years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he previous study (2000-2009). The average values of injury rates for both periods were compared for each of the categories (severity, age, body part, qualification), and the results were presented as absolute difference or percentile difference. Results: The results showed reduction in the number of injuries in the category of 20-30 years old workers, where the new training procedures for workers, which were set by mandatory legal regulations, certainly contributed. They also showed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injuries in the category of old workers, which indicates that the law did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this category. Conclusion: The total number of injuries is still high;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mechanization and automation in mines and have a better policy for older workers who retire later nowadays.

사회복지사의 경력몰입 결정요인 및 직무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Determinants of Social Workers' Career Commitment and the Effects of Career Commitment on Job Attitude)

  • 강종수;류기형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9권3호
    • /
    • pp.201-227
    • /
    • 2007
  •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사회복지전문직에 대한 경력몰입 결정요인을 살펴보고, 사회복지조직별 경력몰입 수준과 차이를 비교하며 경력몰입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실시되었다. 조사는 부산 경남의 사회복지전담공무원과 사회복지관 및 생활시설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326명의 자료를 이용하였고, 자료는 SPSS를 사용하여 직무특성모형과 경력특성모형, 역할특성모형, 조직공정성모형 그리고 종합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전문직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경력몰입은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다만 상대적으로 전담공무원이 낮았다. 개인적 요인으로는 여성보다 남성이, 연령대가 높을수록, 1급보다는 2급이, 대졸보다는 고졸이 높게 나타났다. 경력몰입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직무가 중요하고 완결된 과업정체성을 갖고 적절한 피드백을 받을수록, 그리고 사회복지직 경력을 만족하고 역할갈등이 적고 분배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성이 높을수록 경력몰입하고, 오히려 다양한 실천기술을 활용하는 직무일수록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다만 결정요인은 사회복지조직별로 다소 차이가 있었다. 사회복지전문직에 대한 경력몰입은 경력변경의도에 높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 직무몰입 그리고 내재적 직무만족에는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경력몰입 증진을 위한 조직별 차별화된 접근과 체계적 대책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 PDF

저소득 재가노인의 식생활 보장에 관한 연구: 서울시 저소득 어르신 식사배달사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ood Security for Low-income Older Adults: A Case Study on Meals on Wheels Project in Seoul)

  • 김정현;전용호;장혜자
    • 한국노년학
    • /
    • 제40권4호
    • /
    • pp.617-638
    • /
    • 2020
  • 노년기 식생활은 신체적⋅심리적 건강 유지와 삶의 질 유지에 중요하다. 그러나 나이가 들수록 스스로 식사를 챙기기 어려워 영양 섭취가 어렵다. 그중에서도 저소득 재가노인은 적절한 영양섭취에 가장 취약한 인구집단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노년기 식생활 보장에 관한 사회복지 관점의 연구는 드물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저소득 재가노인 대상 식사배달사업의 운영현황을 파악하고 관련 쟁점을 탐색하여 저소득 재가노인의 식생활 보장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서울시 소재 노인 무료급식 사업 운영기관에 종사하고 있는 영양사(8인)와 사회복지사(7인)를 대상으로 표적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 FGI)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도출된 서울시 저소득 어르신 식사배달에 관한 쟁점은 모호한 사업 대상자 선정 기준, 열악한 사업 운영 여건, 일선 인력의 업무 과중, 맞춤형 식사 제공 실현의 어려움 등으로 요약된다. 재가노인의 식생활 보장은 지역사회 계속 거주(aging in place)를 위한 전제조건이며, 이를 위해서는 사회복지 차원에서 저소득 재가노인의 욕구를 반영한 식사배달제공, 그리고 영양 및 위생관리가 가능한 사업 운영 여건을 어떻게 조성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노인의 건강증진행위 실천과 관련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the Health Promotion Activities of the Korean Elderly)

  • 이정찬;박재산;김귀현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21-139
    • /
    • 2010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health promotion activities of the elderly Korean aged 65 or older and to examine the related factors associated with the health promotion activities. Methods: Data were obtained from 2008 Social Statistics Survey of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of 6,207 people aged 65 or older. We measured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physical health status, social health status, and health promotion activities. Statistical analyses were employed through the $X^2$-test and Odds ratio using Logit Model. Results: In our study, health promotion activity practice rates were varied among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physical and social health status. Our findings also support that better socio-demographic and physical health status explain the higher practice rates of health promotion activities. In addition, the higher social health status was associated with better practice rates of health promotion activities. Conclusion: We found that the health promotion activities of the elderly could be encouraged by better socio-demographic status and physical and social health status. To better accomplish the health promotion for the elderly in our community, policy-makers should need careful political deliberation for executing health promotion services considering the distinctions of programme and target groups.

노후소득보장을 위한 퇴직연금 보유의 지속성 분석 -IRP의 실효성 논쟁 중심으로- (The Persistent Effects of Retirement Pension Reserves - Debate on the effectiveness of the IRP Program)

  • 임두빈;전용일
    • 노동경제논집
    • /
    • 제38권4호
    • /
    • pp.1-29
    • /
    • 2015
  • IRP의 경제적인 유인체계가 뚜렷하지 않은 상황에서 가입자의 대다수가 퇴직급여를 받은 후 IRP 계좌를 즉시 해지하고 있어, IRP가 미래 연금소득의 가교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퇴직급여 및 IRP 제도의 선택 원리를 근로자와 정부의 경제적 의사결정 모형을 통해 고찰한다. 이론 모형의 분석결과 미래 IRP 유지의 선택 문제는 현재 근로자의 퇴직급여 선택에 영향을 미치며, 노후소득보장을 위해 정부가 퇴직연금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근로자의 퇴직금 선택을 억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근로자가 퇴직금을 선택하지 않도록 퇴직금에 대해서도 IRP의 자동 전환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점진적으로 이원화된 퇴직급여 체계가 퇴직연금으로 단일화되는 효과를 발생시킬 것이다. 또한, 퇴직연금사업자의 IRP 가입자 자료를 바탕으로 IRP 해지에 영향을 미치는 가입자 특성에 관해 실증분석을 한 결과, 상대적으로 높은 연령층, 입금액이 많은 고객, 남성이 즉시 해지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업종별로도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증분석 결과를 통해 볼 때, IRP 유지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가입자의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경제적 유인체계를 설계해야 할 것이다.

  • PDF

노년기 조기퇴직과 경력마감 형태 : 남성노인을 중심으로 (Old Age Early Retirement and Careering Ending Patterns : Centering around the US Older Men)

  • 이현기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2권
    • /
    • pp.33-61
    • /
    • 2003
  • 본 연구는 서구사회에서 대량으로 발생하는 중고령자의 조기퇴직과 그에 따른 경력의 마감형태에 대하여 개인수준의 자료를 갖고 노동시장 및 사회보장정책적인 시각에서 분석하였다. 오늘날 많은 중고령근로자들이 조기퇴직을 하고 있지만 그 이후에 어떤 형태로 경력을 종료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이제 시작단계에 불과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55세 이후 직업에서 이탈한 후 61세까지의 개인의 노동시장 경험을 분석하여 노년기의 경력마감형태를 발견 구성해 보고 어떤 요인들이 복잡한 경력종료형태에 영향을 미치는지 미시적 모형과 거시적 모형을 설정, 그 영향력을 추정하였다. 본 연구의 개념적 틀은 대규모의 조기퇴직 현상은 종래의 사회심리적 결정모델과 미시경제적인 설명방법보다는 사회의 구조적 과정으로서 노동시장의 주체(기업, 경영자협회, 노조, 국가)등의 역할을 강조하는 고령화의 정치경제적 접근(political economy of aging)에 바탕을 둔 노동시장접근방법을 차용하였다. 본 목적을 위해 전미고령자종단연구 1966-1991(최종분석대상 n=2,784)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보면 55세 현직에서 계속 근무하는 형태(27.3%), 55세 직업을 그만두고 전직하여 다른 직업에서 근무하는 형태(46.1%), 노동시장전출입을 반복한 형태(4.4%), 간헐적으로 경제활동에 종사하는 형태(15.9%), 영구 퇴직하여 노동시장에 복귀하지 않는 형태(6.3%)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설명모델을 추정한 결과 건강의 정도, 코호트 소속, 민족적 배경, 가치관 변수보다는 기업연금, 공적연금, 노동시장상태, 직업의 구조변수들이 고령자의 경력마감행동에 더 강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것은 노동시장접근관점이 조기퇴직을 설명하는데 더 강한 설명력이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