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ld People

검색결과 2,056건 처리시간 0.025초

지역사회 노인을 위한 식생활 개선 프로그램 개발 항목에 대한 타당성 연구 (Feasibility Study on the Dietary Improvement Program Development for Senior Citizens)

  • 김성희;김보람;주나미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18-227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dietary change program items that could be used to improve dietary life of the elderly and investigate their validity. Methods: The survey was were analyzed by SPSS program (Ver. 21) and descriptive statistics was performed; a t-test, ${\chi}^2$ test, One-way ANOVA and Friedman test were used to determine the priority. Results: Programs for feeding senior citizens that need to be newly established are largely divided into two fields, namely, application of welfare facilities and application of home care, classified into large, medium and sub-classes. The large class was divided into nutrition management, sanitary control, and other health management. The medium class of nutrition management was divided into nutrition education, nutrition intervention, and menu management and supply. The sub-class was composed of division into application of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and application of home care for the same age group. Responses showed high rate saying that all the categorized items were necessary and valid. With respect to expectation effect on a community program for old people feeding, 'yes' was 65 people (55.6%) showing very high expectation toward the question whether a community program for old people feeding are newly set up. Conclusions: It is believed that nutrition for the aged will be improved and it will be a help not only to a small facilities without obligation of employing a dietician but also to the aged at home if a community program for old people feeding are newly established.

노인에 대한 명시적 및 암묵적 태도: 대학생 및 노인을 중심으로 (The Differences of Explicit and Implicit Attitudes toward Older People in College Students and Older People)

  • 이현지;방희정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8권2호
    • /
    • pp.191-213
    • /
    • 2012
  • 본 연구는 노인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노인에 대한 명시적 및 암묵적 태도가 연령 및 성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남녀 대학생 64명과 남녀 노인 64명을 대상으로 명시적 태도검사, 명시적 선호도검사와 암묵적 연합검사(IAT)를 사용하여, 노인에 대한 태도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대학생은 명시적 및 암묵적 수준 모두에서 젊은이를 더 선호하는 내집단 선호를 보인 반면, 노인의 경우에는 두 수준 모두에서 젊은이를 더 선호하는 외집단 선호를 보였으나 두 집단 모두에서 노인에 대한 명시적 및 암묵적 태도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더해, 성별 및 연령에 따른 노인에 대한 태도에서 차이가 나타났는데, 명시적 수준에서는 노인에 비해 대학생들이 노인을 더 선호하고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암묵적 수준에서는 남성의 경우에는 노인이 대학생보다 노인을 더 선호하고, 여성의 경우에는 대학생 이 노인에 비해 노인을 더욱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노인에 대한 태도를 이론 및 실제적인 측면에서 논의하였고, 마지막으로 연구의 함의 및 제한점을 역시 기술하였다.

  • PDF

부산지역 일부 치위생과 학생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 및 행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ntal Hygiene Students'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towards the Elderly in Busan)

  • 강현경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19-225
    • /
    • 2006
  • 노인인구의 증가에 따라 노인의 구강관리를 위한 치과위생사의 역할은 점점 강조될 것이며, 보건의료 분야에서 학업을 하고 있으며 앞으로 구강업무를 담당할 치위생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 및 행동에 관한 연구를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2005년 11월부터 2006년 3월까지 약 5개월동안 부산지역 한 대학 치위생과에 재학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1. 대학생의 일반적인 특성에서 평균 연령은 20.9세 였으며, 종교는 무교가 52.6%였다. 2. 대학생의 노인관련특성에서 조부모님(외조부모님)생존여부에 있어서 살아계신다는 대학생이 69.2%로 많았으며, 노인과의 거주경험은 대학생들의 57.1%, 노인을 위한 자원봉사 활동경험은 65.4%, 노인관련 교육을 받은 경험은 34.6% 였다. 3. 노인에 대한 대학생의 지식정도는 총점은 $14.53{\pm}2.35$으로 전체 정답율은 69.9%였다. 4. 대학생들의 태도에 대한 평균 점수는 총점은 100점 만점에 63.12점(${\pm}7.22$) 으로 중립적인 범위(50점에서 70점)내에 있었다. 5. 대학생들의 행동에 대한 평균 점수는 총점 85점 만점에 39.09점(${\pm}13.43$)으로 중립적인 범위(43점에서 60점)보다 낮아 부정적인 행동을 보였다. 6. 대학생들의 노인관련특성에 따른 태도 점수의 차이에서는 노인과의 거주경험과 자원봉사활동경험의 유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7. 대학생들의 노인관련특성에 따른 노인에 대한 행동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변수는 노인과의 거주경험 유무였고, 노인과 함께 거주하는 대학생이 노인에 대해 긍정적인 행동을 하고 있었다. 8. 대학생들의 지식과 태도는 아주 강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지식과 행동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지만 약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행동과 태도간에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학생들은 노인에 대한 지식이 높으면 태도는 긍정적이었으나 행동은 긍정적이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인터넷 쇼핑몰에서 제공하는 관계혜택이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상호작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Relationship Benefit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Focusing on Mediating Role of Interaction)

  • 채진미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93-107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lationship benefit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by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 of interaction in internet shopping malls. The survey research was limited to respondents over 20 years old living in Seoul and other metropolitan areas who had purchased fashion products thru internet shopping malls. 562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program. The results indicated that each relationship benefit dimension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The interaction between internet shopping malls and the consumer was categorized by two factors such as content-people interaction and people-people interaction. In addition, each interactive factor showed mediating effects between relationship benefits and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운전자 특성에 따른 친환경 자동차에 대한 선호도 분석 (Eco-friendly vehicle preferences by consumer characteristics)

  • 원두환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23권2호
    • /
    • pp.281-304
    • /
    • 2014
  • 친환경 자동차의 보급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자동차 소비자들을 분석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자동차 소비자들의 특성과 친환경 자동차 선호의 관계를 성별 연령 연료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를 이용한 컨조인트법을 이용하여 응답자를 성별 연령 연료비의 기준으로 구분하여 친환경 자동차의 속성이 효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응답자의 특성에 따라 자동차의 속성에 대한 한계효용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자동차의 속성이 응답자의 효용수준에 미치는 영향이 같을 지라도 보상변이로 표출될 때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고, 반대로 효용수준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지라도 보상변이는 같은 수준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계효용은 주관적인 기준이기 때문에 응답자마다 다를 수 있는 반면, 보상변이는 상충관계를 이용한 객관적인 기준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응답자 특성에 따른 실질적인 선호의 차이를 나타낼 수 있다. 보상변이에 의하면 남성과 장년이 연비가 높은 차량을 더욱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유류비 소비자는 저유류비 소비자보다 주유시간에 더욱 민감하에 반응하고, 휘발유 차량은 청년층에서 더욱 선호된다.

독신의 시간사용과 여가활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미혼 및 기혼집단의 비교를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the Single People Time Use and Leisure Behavior : A comparison of single people an unmarried group and a married group)

  • 윤소영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0권6호
    • /
    • pp.209-217
    • /
    • 2002
  • In this study, I analyzed single people time use and leisure behavior. I have compared patterns of time use of the single people who completed a survey for this study with the data from Time Use Survey(Korea National Statistics office, 1999). The survey participants included 160 single people who were thirty- to forty-years-old and who were living alone. The data from the Time Use Survey by NSO contained 2,004 married people cases and 30,155 unmarried individuals case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ingle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not especially anti-marriage; they simply have not been married yet and were living in a one-person household. Second, single people spent more time at work and less time for leisure and socializing than two comparative groups. Third, single people spent more time for household labor than other groups, and the only exception was the married female group.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in the time spent at household work Finally, single people tended to spend their leisure time with passive activities such as reading a newspaper or a magazine, watching television, and listening to the radio.

노년기 정보격차의 메카니즘, 특징 및 시사점에 관하여 (Discussions on Mechanisms, Features and Implications of the Digital Divide in Old Age)

  • 김영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246-262
    • /
    • 2015
  • 노년기 정보격차는 정보화와 고령화로 특징되는 현대사회에서 노인 개인적 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중요한 문제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노년기 정보격차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논의가 미흡한 실정임을 고려하여, 노년기 정보격차에 대한 이론적인 접근과 논의들을 종합적으로 탐색하여 개념적 이해를 확장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지식격차가설, 정보격차가설, 혁신확산이론 및 정치경제학 등 네 가지 이론을 통해 정보격차의 일반적 메카니즘을 고찰한다. 둘째, 구조기능주의적 접근, 갈등이론적 접근 및 상호작용론적 접근 등 다양한 이론적 시각들을 통해 노년기 정보격차를 설명한다. 셋째, 노년기 정보격차 현상과 특징에 대하여 정보복지격차 등 다섯 가지 개념적 설명과 정의들에 대해서 살펴본다. 노년기 정보격차는 다중적이고 복합적이므로 이에 대해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또한 노인 개인적 안녕과 사회적 불평등 측면에서 노년기 정보격차 해소에 더 많은 학문적, 실천적 관심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장애인의 경제적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 Financial Preparation of the Disabled for Old Age on Their Satisfaction of Life)

  • 이순희;김윤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6호
    • /
    • pp.579-58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고용패널조사(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 4차 자료를 이용하여, 40세 이상의 장애인 3,396명을 대상으로 경제적 노후준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결과 첫째, 노후준비를 하고 있는 장애인이 삶의 만족도가 노후준비를 하지 않고 있는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보다 높았다. 둘째, 노후준비를 하고 있는 장애인은 국가운영 공적연금으로 노후준비를 하고 있는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경제적 노후준비는 충분하지 않다고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장애인의 노후준비에 따른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노후준비가 충분할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찾아가는 인지기능향상프로그램이 후기 노인의 고독감,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a Visiting Cognitive Enhancement Program on the Loneliness, Depression, Self-esteem of Old-Old Elderly)

  • 최수경;김향수;김민주;박소현;신지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02-112
    • /
    • 2019
  • 본 연구는 75세 이상 후기 노인을 대상으로 인지기능향상프로그램을 시행하여 고독감, 우울, 자아존중감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단일집단 사전 사후 설계(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의 유사실험 연구이다. C북도 G군에 거주하는 자 중 75세 이상 후기 노인 대상자 6명으로, 2016년 9월26일~12월17일까지 총 10주간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고독감, 우울, 자아존중감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우울감은 프로그램 적용 이후 의미 있게 감소하였으며 자아존중감은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인지기능향상프로그램은 후기 노인의 우울 감소와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문화에 따른 간호정립을 위한 기초조사연구 I -전통적인 인간관과 환자역할기대를 중심으로- (A Survey for the Construction of Nursing Theory According to Korean Culture -Traditional View of Human and Expectation of Sick Role-)

  • 박정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782-798
    • /
    • 1996
  • This study was a survey done for the purpose of constructing a nursing theory according to Korean culture and to identify the traditional Korean view of humans and the expectations of the sick role, and to confirm changes from the traditional view of humans and expectations of the sick rol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opulation. The subjects were all adults over 18 years old. 517 who lived in six large cities and 191 who lived in five rural communities. Data collection was done from November 19th, 1994 to January 19th, 1995 using a tool to measure the traditional view of humans and expectations of the sick role which was developed by the investigator through a literature review.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 Cronbach alpha, 1-test, F-test and Scheffe post hoc contrasts, with the SA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erized as follows : 1. The Traditional view of human score for all subject was 49.92, which shows that Korean traditional view of human is moderate. High scored items were "human need to live by making harmony with nature, not by overcoming the nature" (3.44), "Filial duty to parents and elders is important" (3.31), "Think of family more than a individual" (2.96). 2. The differences in the traditional view of humans between residential districts showed that the residents of Chungbuk(56.00), Kyungbuk(55.26), Chonbuk(51.32), Taegu(50.59) had a more traditional view of humans than those in Pusan(45.42) and Seoul (47.27). 3. The differences in the traditional view of human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that rural community residents, males, older people, people with lower levels of education, married and house-resident groups had a significantly higher traditional view of humans than urban residents, females, younger people, people with a higher levels of education, single and apartment-resident groups.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religion and job. Buddhism had a higher traditional view of humans than those of atheism, Christianity and Catholicism and physical workers, a significantly highers score, than technicians and professional workers. 4. Daily expected task performance during illnesses was lowest for patients with stroke (2.16) and psychosis(2.40), in which case almost no daily general tasks were expected, followed by arthritis 4.06, peptic ulcer 4.79, headache 4.99 and cough 5.58. The amount of expected role exemption during illnesses was also highest for stroke(2.25), followed by psychosis(2.08), arthritis(1.64), peptic ulcer(1.29), headache(1.16) and cough(1.09). The amount of daily task performance in the acute stage(3.05)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convalescent stage(4.95). 5. Total expectation of role exemp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urban /rural community, marriage, level of education and religion. By sex, women showed higher expectation of role exemption during illnesses than men. By age, the 31-40 year old group showed lower expectation of role exemption than the 41-50 year old group or over the 61 year old group.or over the 61 year old group.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