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ilcake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43초

잦은 강우 조건에서 유기질자재에 따른 유기재배 벼의 수량과 질소이용효율 (The Effects of Organic Materials on Yield and N Use Efficiency of Organic Rice Grown under Frequent Heavy Rains)

  • 조정래;이연;최현석;김월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38-143
    • /
    • 2011
  • 본 연구는 탄질비가 다른 유기자재를 시용하였을 때 유기재배 벼의 수량과 질소이용율이 미치는 기상 조건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서 2010년에 수행되었다. 처리구는 질소함량 9kg/10a 수준으로 화학비료, 가축분퇴비, 유박1배, 유박2배 (18 kg/10a), 헤어리베치, 베치+호밀을 포함하였다. 유박과 헤어리베치는 가장 낮은 탄질비를 나타내었고 가축분퇴비는 34 : 1의 가장 높은 탄질비를 보였다. 유기자재 처리구의 초기 생육은 양호하였으나 후기 태풍과 같은 기상조건에 따라 전반적으로 생육이 부진하고 수량이 감소하였다. 특히, 유박2배구는 초기생육이 월등하였으나 태풍의 영향으로 도복정도가 가장 심하게 나타났다. 탄질비가 높은 가축분퇴비구는 정상적인 질소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초기생육이 불량하였고 도복하지 않았더라도 낮은 수량을 보였다. 질소흡수량은 유박2배와 베치+호밀구에서 높았고 가축분퇴비에서 가장 낮았으며, 질소이용율도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기자재 시용이 벼의 생육과 질소이용효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rganic Materials on Growth and Nitrogen Use Efficiency of Rice in Paddy)

  • 조정래;최현석;이연;이상민;정석규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11-220
    • /
    • 2012
  • 탄질비가 다른 유기자재를 시용하여 벼를 유기재배 할 때 자재별 무기화 정도와 벼의 질소 이용효율을 조사하기 위해서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시험을 수행하였다. 유기자재 처리는 질소함량 90kg/ha 수준으로 가축분퇴비, 유박, 유박2배, 헤어리베치, 헤어리베치+호밀 처리구를 두었고 화학비료구와 대조구를 두었다. 유기자재 중 유박은 가장 낮은 탄소:질소비(탄질비)를 나타내었고 가축분퇴비가 가장 높은 탄질비를 보였다. 토양 pH, 탄소, 질소, 칼슘, 그리고 마그네슘 농도는 처리간에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2009년과 2010년의 질소 이용효율은 유박처리구가 화학비료구와 헤어리베치 그리고 퇴비구보다 높았다. 강수량이 많았던 2011년에는 축분퇴비구가 질소이용효율이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유기질 비료의 사용에 따른 맥문동 생육 및 수량 (Effects of Organic Fertilizers on Growth and Yield in Liriope platyphylla WANG et TANG)

  • 이충열;김용철;최인수;민경갑;성재덕;김성만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48-151
    • /
    • 2007
  • 1. 맥문동 괴근크기별 전체 괴근수는 각 처리별로 약간 차이를 보이나 주당 50개에서 58개 사이로 형성 되었고, 그 중 2cm이상 가장 많이 형성된 처리는 3.5소 +두엄 +유박 +계분 +초목회 처리구였다. 2. 괴근 심도 조사를 보면 0${\sim}$20cm사이에 가장 많이 분포한 처리구는 3요소 +두엄이며, 21 ${\cdot}$ 30cm 이상에 가장 많이 분포한 구는 3요소 +두엄 +유박 +계분 +초목회 처리구 였다. 3. 건근수량은 3요소 +두엄 +유박 + 계분 +초목회 처리구에서 414kg/10a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3요소 +두엄 +유박 + 계분 +초목회 처리구 이며, 3요소 +두엄의 관행 보다 34%, 25%의 수량을 높일 수 있었다.

유기자재 처리가 토양의 양분동태 변화와 수수$^*$수단그라스의 양분이용 효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ganic Materials on Changes in Soil Nutrient Concentrations and Nutrient Uptake Efficiency in Sorghum-Sudangrass Hybrid (Sorghum bicolor (L.) Moench))

  • 이연;최현석;이상민;정정아;국용인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08-113
    • /
    • 2012
  • 본 연구는 탄소 : 질소(탄질)비가 다른 유기자재를 시용하였을 때 시기별 양분의 동태와 유기재배 수수$^*$수단그라스의 비료이용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처리구는 질소함량 210kg/ha 수준으로 축분퇴비, 알팔파, 유박, 화학비료를 포함하였다. 유박과 알팔파는 가장 낮은 탄질비를 나타내었고 축분퇴비는 33.7 : 1의 가장 높은 탄질비를 보였다. 축분퇴비는 시용량이 가장 많았고 이에 따라 토양내 양분농도를 증가시켰다. 탄질비가 낮은 유박과 알팔파는 축분퇴비에 비해서 질소의 무기화율을 촉진시켰다. 질소이용효율은 화학비료구에 비해서 알팔파와 유박이 약 60% 전후를 나타내었고, 축분퇴비는 20% 이하의 효율이 관찰되었다. 인산의 이용효율은 알팔파가 가장 높았고 축분퇴비가 가장 낮았다. 이에 따라 탄질비를 고려한 유기자재를 선택해서 밭토양에 시비를 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Effect of Glucosinolates of Taramira (Eruca Sativa) Oilcake on Nutrient Utilization and Growth of Crossbred Calves

  • Das, Srinibas;Tyagi, Amrish Kumar;Singhal, K.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6호
    • /
    • pp.813-817
    • /
    • 2003
  • Taramira (Eruca sativa) cake, an unconventional oil cake, replaced 25 and 50 per cent crude protein of mustard cake in the ration of crossbred calves in an experiment of 90 days duration. Total glucosinolate content of the three concentrate mixture was almost similar (18.19, 17.95 and $17.95{\mu}mol/g$ dry matter), however, glucouracin was the major glucosinolate of experimental diets. Similar dry matter Intake, nutrient digestibility (except those of fibre fractions) and nitrogen balances as well as similar serum $T_3$ and $T_4$ levels and growth rate in all the groups indicated that taramira cake can replace 50 per cent crude protein of mustard cake in the diet of crossbred calves.

유기자재와 강수량이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의 질소이용효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ganic Materials and Precipitation on Nitrogen Uptake Efficiency in Sorghum ${\times}$ Sudangrass Hybrid)

  • 최현석;이연;정정아;지형진;이상민;국용인;정석규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57-368
    • /
    • 2012
  • 탄질비가 다른 유기자재 시용이 토양중 무기태질소의 시기별 변화와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의 질소이용률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서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수행되었다. 처리구는 질소함량 210kg/ha 수준으로 축분퇴비, 알팔파, 유박, 포함하였다. 유박은 가장 낮은 탄질비를 나타내었고, 축분퇴비는 3년 동안 가장 낮은 질소의 무기화가 관찰되었다. 토양 무기성분과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의 건물중은 처리에 따라 일관성 있게 영향을 받지 않았고, 건물중은 재배기간인 5월부터 9월까지의 강수량과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화학비료는 2009년과 2010년에 질소이용률을 크게 증가시켰고, 축분퇴비는 3년간 가장 낮은 질소이용률을 보였다. 6월부터 8월까지의 강수량 증가는 퇴비로 처리된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의 질소이용률을 다소 증가시켰으나 양분의 무기화가 빠른 화학비료는 반대의 양상이 관찰되었다. 본 시험에서는 유기자재의 탄질비 보다는 강수량의 변동이 클 때 작물의 건물중과 질소이용률에 영향을 끼치므로 이를 고려하여 밭토양에 시비를 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미곡에 있어서 ^{14}C$-BHC 잔류분의 행동 (Behavior of ^{14}C$--BHC Residues in Rice Grain)

  • Su-Rae Lee;Yong-Hwa Kim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3권4호
    • /
    • pp.221-228
    • /
    • 1981
  • 방사성 표식화합물인 ${\gamma}$-(U-$^{14}$ C)-BHC를 폿트 재배한 수도에 시용한 후 식물체에서의 분포 및 도정, 착유 과정중의 행방을 추적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4}$ C-방사능은 식물체에 흡수되어 각부위에 딘리 분포되었고 볏짚과 곡립에 이행된 방사능은 2.8%이었으며 그중 9.4%만이 현미에 이행되었다. 현미로 이행된 $^{14}$ C-방사능은 도정과정에서 쌀겨 : 백미에 12:88의 비율로. 용매에 의한 착유과정에서 기름 : 착유박에 37:63의 비율로 분배되었다. 수도체로 이행된 $^{14}$ C-잔류분은 모체인 r-BHC와 대사산물인 pentachlorocyclohexene, trichloro-benzene 및 친수성 분해산물임이 밝혀졌고 이들 성분의 비율은 볏짚과 현미에서 각각 달리 나타났다.

  • PDF

유기재배 복숭아 과원의 관리현황 및 병해충 발생 실태 (Survey on Occurrence and Management of Disease and Pests in Organic Peach Orchards)

  • 김민기;안민실;박종호;이초롱;이상범;박광래;홍승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603-61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2015년 3월부터 2017년 3월까지 친환경 인증 복숭아 재배현황, 유기농산물인증 복숭아 과원의 관리현황 및 병해충 발생실태를 조사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복숭아 유기인증 농가는 65.5%, 무농약인증 농가는 31.7% 증가하여 매우 높은 증가 추세를 나타냈다. 복숭아 유기농산물인증 농가 중 대표적인 6 농가를 선발하여 재배현황을 살펴보았다. 조사한 모든 농가에서 녹비작물을 재배하거나 초생재배를 실시하고 예초를 최소한(평균 2.5회)으로 실시하였다. 토양 양분관리를 위해 가축분퇴비, 유박 및 자가제조 액비를 사용하는 농가가 많았으며, 병해충 방제를 위해 보르도액, 석회유황합제, 교미교란제 및 자가제조 식물 추출물을 사용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병해충 피해현황을 살펴보았을 때 충해로 인한 피해는 31.6%, 병해로 인한 피해는 24.1%로 충해로 인한 피해가 다소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주요 발생 병해충으로는 복숭아순나방이 13.5%로 가장 많은 피해를 유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잿빛무늬병(13.0%), 복숭아심식나방(7.3%) 및 세균성구멍병(7.3%)이 문제 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벼유기농업단지 에너지효율 및 양분수지 평가 (Assessment of Energy Efficiency and Nutrient Balance in Organic Rice Farming Area)

  • 길근환;강종국;이경도;이장희;이경보;김재덕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67-273
    • /
    • 2008
  • 안전농산물에 대한 국민의 관심 증대와 농업환경자원의 유지 보전을 위한 지속적인 농업생산 방안으로 친환경농업 육성의 필요성이 증대되어 왔다. 이에 우리나라에서는 친환경 농업이 빠르게 성장하여 1999년 1300호였던 인증농가가 2007년에는 100배 증가하여 13만호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친환경농업의 빠른 증가 추세에도 불구하고 친환경농업이 농업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량적인 연구는 미흡한 실정으로 친환경농업의 올바른 확산을 위해서는 농업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지속가능성을 정량화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친환경농업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하고자 2006년부터 2007년까지 완주군 고산면 광역친환경농업단지 벼유기농업단지에서 쌀생산 시 에너지효율 및 양분수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벼유기농업단지가 관행논보다 에너지효율은 낮았으나 재생가능한 에너지 자원을 사용하는 유기농법이 화학비료나 농약을 사용하는 관행농법에 비하여 자원이용의 지속가능도는 높았다. 또한 벼유기농업단지는 과량의 축분퇴비 시용으로 토양 내 인산과 칼륨이 과다 축적되어 있으므로 축분 퇴비의 시용량을 줄이고 질소대비 인산과 칼륨의 함량이 비교적 낮은 자운영 등을 이용한 시비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조류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토양개량제의 퇴비화 과정에 따른 영양성분 특성 (Nutritional Properties by Composting Process of Algae Biomass as Soil Conditioner)

  • 안창혁;이새로미;박재로
    • 환경영향평가
    • /
    • 제28권6호
    • /
    • pp.604-615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폐기되는 조류 바이오매스를 재활용하여 퇴비화 과정을 통해 새로운 형태의 조류토양개량제(algae soil conditioner, ASC)로 제조하고 영양성분에 대한 특성을 평가하였다. ASCs는 응집부상공법을 통해 수집된 조류 바이오매스를 주원료로 하였으며 추가적으로 다양한 보조 원료(톱밥, 펄라이트, 깻묵 등)를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ASCs는 투입된 조류 바이오매스 질량 비율에 따라 각각 blank 0%, ASC1 11.7%, ASC2 21.6%, ASC3 37.6%, ASC4 59.5%로 구분하여 총 127일간 부숙하였다. ASCs는 호기성 미생물 반응에 의해 온도 증감이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6~7회의 크고 작은 온도 피크가 관찰되었다. 이화학 분석결과 유기물이 무기화(mineralization) 되면서 macronutrients (TN, P2O5, K2O) 뿐만 아니라 secondary macronutrients (CaO, MgO)에서도 두드러진 증가를 보였다. 미생물 군집변화는 ASCs의 부숙과정에 따라 1단계(세균, 사상균)→2단계(방선균, 세균)→3단계(고초균)로 나타났으며 온도변화와 영양성분의 거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판단되었다. 부숙 완성도에 따라 토양개량제의 품질이 결정될 수 있으며 본 연구결과에서는 조류 바이오매스를 59.5% 이내로 조절한다면 효과적인 미생물 활성을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결론적으로 조류 바이오매스를 재활용한 토양개량제의 제조 및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추가적인 기술적 발전이 이루어진다면 향후 효과적인 토양개량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