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idium sp.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9초

Oidium sp.에 의한 스타티스 흰가루병 발생 (Occurrence of Powdery Mildew on Statice (Limonium shinuatum) Caused by Oidium sp. in Korea)

  • 권진혁;강수웅;김정수;박창석
    • 한국균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75-78
    • /
    • 2001
  • 2000년 경상남도농업기술원 창원화훼시험장 스타티스포장에서 흰가루병이 발생하여 병원균의 형태, 병원성, 분류학적인 특성을 조사를 하였다. 병징은 이병엽 앞뒷면과 잎자루, 줄기에 전형적인 흰가루 모양의 균총이 많이 형성되었고, 병징이 심하게 진전될 경우 잎에 황화되고 갈색 또는 암갈색으로 되며 결국 말라죽는다. 병반부에서 분생포자, 분생자병이 형성되었다. 분생포자는 분생자병의 끝에 형성되고 단상으로 원통형 또는 장타원형의 무색, 단포이다. 크기는 25.3{\sim}49.4{\times}12.3{\sim}17.2{\mu}m$이며, Fibrosin body는 없었다. 부착기는 손바닥 또는 가느다란 실모양이었다. 분생자병은 $2{\sim}4$개의 격막으로 되어있고 길이는 $65.7{\sim}124.8{\mu}m$이었다. Foot cell은 원통형이었다. 포장에서나 접종시 나타난 이병엽 병반부에서 자낭각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과 같은 본 병원균은 Oidium sp.에 의한 스타티스 흰가루병으로 동정되었으므로 국내에서 처음 확인된 새로운 병으로 보고한다.

  • PDF

Oidium sp.에 의한 잠두 흰가루병 발생 (Powdery Mildew on Broad Bean (Vicia faba) Caused by Oidium sp. in Korea)

  • 권진혁;강수웅;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7권2호
    • /
    • pp.120-122
    • /
    • 2001
  • 2001년 5월 하순 경상남도 남해군 창선면 잠두 재배포장에서 흰가루병이 발생하여 병징과 병원균의 형태등을 조사하였다. 병징은 이병및 앞 뒷면과 잎자루에 전형적인 흰가루 모양의 균총이 많이 형성되었고, 잎이 황화되고 갈색 또는 암갈색으로 되며 결국 말라죽는다. 분생포자는 분생자병의 끝에 형성되고 단상으로 원통형의 무색, 단포이다. 크기는 29~45$\times$13~23 um(평균. 36~18 um)이며, Fibrosin body는 없었다 분생자병은 3~4개의 격막으로 되어있고, 크기는 28~100$\times$6~l0 um(평균. 70~8 um)이었으며, Foot cell의 크기는 28~53$\times$7~10 um(평균. 39$\times$8 um)이었다. 부착기는 가느다란 실모양이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보아 Oidium sp.에 의한 잠두 횐가루병으로 동정되었기에 국내에서 처음 확인된 새로운 병으로 보고한다.

  • PDF

Oidium sp.에 의한 풀협죽도 흰가루병 발생 (Powdery Mildew on Phlox Caused by Oidium sp. in Korea)

  • 권진혁;박창석
    • 한국균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50-52
    • /
    • 2003
  • 2002년 경남 하동군 청암면 풀협죽도에서 흰가루병이 심하게 발생하였다. 병징은 잎과 줄기등 식물체 전부분에 발생을 하며 병든 잎에 전형적인 흰가루 모양의 균총이 많이 형성하고, 심하게 진전될 경우 잎이 황화되고 갈색 또는 암갈색으로 말라죽었다. 병반부에 분생포자, 분생자병이 많이 형성되었다. 분생포자는 분생자병의 끝에 단상으로 형성되고 원통형의 무색, 단포였다. 크기는 $24{\sim}39{\times}12{\sim}23{\mu}m$이며, fibrosin body는 없었다. 분생자병은 $2{\sim}4$개의 격막으로 되어있고 크기는 $112{\sim}225{\mu}m$었다. 부착기는 가느다란 실모양이었다. 병반부에서 자낭각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본 병원균은 Oidium sp.에 의한 풀협죽도 흰가루병으로 동정되었으며 국내에서 처음 확인된 새로운 병으로 보고한다.

엽연초(葉煙草) 인공(人工) 숙성중(熟成中)의 미생물(微生物)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microorganisms during the tobacco fermentation)

  • 양차범;전재근;김재훈;배효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7권
    • /
    • pp.53-58
    • /
    • 1966
  • 엽연초인공숙성(葉煙草人工熟成)에 관여(關與)하는 미생물(微生物)들을 분리(分離)하고 분리균주(分離菌株)에 대(對)하여 배양(培養), 형태(形態), 생리(生理) 및 회수화물(灰水化物) 발효시험(醱酵試驗)을 행(行)하고 이 결과(結果)들로부터 이들 미생물군(微生物群)을 각각(各各) Asperfillus gavus, A. restrictus, A. nidulans, A. awamori, Oidium sp. Edmundmasonia Sp. spicaria Sp. Bacillus subtilis, B. subtilis var aterrimus, B. licheniformis Flaavobacterium harrisonii, Aerobacter aerogenes으로 동정(同定)하였다. 그리고 이들 균주중(菌株中)에서 발효전기간(醱酵全期間)에 걸쳐, 관여(關與)한 것으는 Aspergillus flavus, A. restriclus.,와 Bacillus subtilis, B. licheniformis이었고 이 곰팡과, 세균(細菌)은 각각(各各) 14, 7 일간(日間)에 최고분포(最高分布)를 이루었으며 기후(其後)에는 뚜렷한 분포(分布)의 변화(變化)를 보이지 않았다.

  • PDF

Inhibitive Effect of Fuyuziphine isolated from Plant (Pittapapra) (Fumaria indica) on Spore Germination of Some Fungi

  • Pandey, M. B.;Singh, Ashok K.;Singh, Anil K.;Singh, U. P.
    • Mycobiology
    • /
    • 제35권3호
    • /
    • pp.157-158
    • /
    • 2007
  • The alkaloid fuyuziphine was isolated from the whole plant of Fumaria indica. It had inhibitive effect against spore germination of some plant pathogenic fungi (Collectotrichum sp., C. gloeosporioides, C. falcatum, Curvularia maculans, C. lunata, Erysiphe cichoracearum, Helminthosporium pennisetti, Oidium erysiphoides, Ustilago cynodontis, Alternaria chieranthi, A. mel-ongenae, A. brassicicola and A. solam). Curvularia lunata, Oidium erysiphoides, Alternaria brassicicola and A. solani did not germinate at 750 and 1000 ppm and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C. falcatum, Curvularia maculans were inhibited at 1000 ppm for 24 hr incubation. Germination of most fungi was significantly inhibited at $100{\sim}750ppm$.

한국에서 흰가루병에 대한 중복기생균 Ampelomyces quisqualis의 새로운 기주 (New Hosts of Ampelomyces quisqualis Hyperparasite to Powdery Mildew in Korea)

  • 이상엽;김용기;김홍기;신현동
    • 식물병연구
    • /
    • 제13권3호
    • /
    • pp.183-190
    • /
    • 2007
  • 우리나라에서 1994년부터 2004년까지 73 식물체의 흰가루병균으로부터 중복기생균 Ampelomyces quisqualis를 308 균주 분리하였다. 그중에서 A. quisqualis의 새로운 균기주(mycohost)와 식물기주(plant host)는 38 식물체에서 흰가루병균 8 속(Erysiphe, Sphaerotheca, Microsphaera, Phyllactinia, Podosphaera, Uncinula, Uncinuliella, Oidium) 13종이 발견되었다. A. quisqualis의 새로 발견된 기주는 어수리의 흰가루병균(Erysiphe heraclei), 꽃향유의 흰가루병균(E. hommae), 콩의 흰가루병균(E. glycines), 싸리의 흰가루병균(E. lespedezae), 모시물퉁이의 흰가루병균(E. pileae), 녹두의 흰가루병균(E. pisi), 토대황과 소리쟁이의 흰가루병균(E. polygoni), 쑥의 흰가루병균(Golovinomyce artemisiae), 삼잎국화의 흰가루병균(G. cichoracearum), 꼭두서니의 흰가루병균(G. rubiae), 쥐오줌풀, 가는잎왕고들빼기, 두메담배풀, 흰까실쑥부쟁이, 수세미오이, 씀바귀, 풀협죽도, 도깨비바늘과, 담쟁이덩굴의 흰가루병균(Oidium sp.), 갈참나무의 흰가루병균(Microsphaera alphitoides), 댕댕이덩굴의 흰가루병균(M. pseudolonicerae), 쥐똥나무의 흰가루병균(Podosphaera sp.), 딸기의 흰가루병균(Sphaerotheca aphanisi), 물봉선의 흰가루병균(S. balsaminae), 국수호박, 쥬키니호박, 단호박, 관상용호박, 곰취, 가지, 박, 참외, 깨풀, 코스모스와 참취의 흰가루병균(S. fusca), 찔레꽃의 흰가루병균(Uncinuliella simulans)과 배롱나무의 흰가루병균(Uncinula australiana)이다.

Diversity and Antifungal Activity of Endophytic Fungi Associated with Camellia oleifera

  • Yu, Jinxiu;Wu, Ying;He, Zhen;Li, Mi;Zhu, Kaiming;Gao, Bida
    • Mycobiology
    • /
    • 제46권2호
    • /
    • pp.85-91
    • /
    • 2018
  • Endophytic fungi strains (n = 81) were isolated from the leaves, barks, and fruits of Camellia oleifera from Hunan province (China) to delineate their species composition and potential as biological control agents of C. oleifera anthracnose. The fungi were identified by morphological and phylogenetic analyses. Fungal colonization rates of the leaves, barks, and fruits were 58.02, 27.16, and 14.81%, respectively. The isolates were identified as 14 genera, belonging to two subdivisions, Deuteromycotina and Ascomycotina; 87.65% of all isolates belonged to Deuteromycotina. The dominant species, occurring with a high relative frequency, were Pestalotiopsis sp. (14.81%), Penicillium sp. (14.81%), and Fusarium sp. (12.35%). The Simpson's and Shannon's diversity indices revealed the highest species diversity in the leaves, followed by the barks and fruits. The similarity index for the leaves versus barks comparison was the highest, indicating that the number of endophytic fungal species shared by the leaves and barks was higher than barks and fruits or leaves and fruits. Based on the results of dual culture experiments, only five strains exhibited antifungal activity against C. oleifera anthracnose pathogen, with isolate ty-64 (Oidium sp.) generating the broadest inhibition zones.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endophytes associated with C. oleifera could be employed as natural agents controlling C. oleifera anthracnose.

First Report of Powdery Mildew Caused by Erysiphe cruciferarum on Arabidopsis thaliana in Korea

  • Choi, Hyong-Woo;Choi, Young-Jun;Kim, Dae-Sung;Hwang, In-Sun;Choi, Du-Seok;Kim, Nak-Hyun;Lee, Dong-Hyuk;Shin, Hyeon-Dong;Nam, Jae-Sung;Hwang, Byung-Kook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5권1호
    • /
    • pp.86-90
    • /
    • 2009
  • In November 2008, typical powdery mildew symptoms were observed on leaves of Arabidopsis thaliana ecotype Col-0 plants in a growth room under controlled laboratory conditions at Korea University, Seoul. The disease was characterized by the appearance of white powder-like fungal growth on the surface of infected leaves. As the disease progressed, infected leaves exhibited chlorotic or necrotic brown lesions, and leaf distortion and senescence. Conidiophores of the causal fungus were hyaline, unbranched, 3-4 celled, cylindrical, and $80-115{\times}6-9{\mu}m$ in size. Singly produced conidia (pseudoidium type) were hyaline, oblong to cylindrical or oval in shape, and $26-55{\times}15-20{\mu}m$ in size with a length/width ratio of average 3, angular/rectangular wrinkling of outer wall and no distinct fibrosin bodies. Appressoria on the hyphae were multi-lobed. These structures are typical of the powdery mildew Oidium subgenus Pseudoidium, anamorph of the genus Erysiphe. The measurements of the fungal structures coincided with those of Erysiphe cruciferarum. The phylogenetic analysis using ITS rDNA sequences revealed that the causal fungus Erysiphe sp. KUS-F23994 is identical to E. cruciferarum. The isolated fungus incited powdery mildew symptoms on the inoculated Arabidopsis leaves, which proved Koch's postulates. Taken all data together, we first report the occurrence of powdery mildew disease of A. thaliana caused by Erysiphe cruciferarum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