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gcheon meta-sedimentary rocks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9초

괴산지역 지하수의 라돈 함량 (Radon Concentrations in Groundwater of the Goesan Area, Korea)

  • 조병욱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2권5호
    • /
    • pp.63-70
    • /
    • 2017
  • Radon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in 250 groundwater samples collected from the Goesan area where uraniferous black slate and granites abundantly occur in the formations. The measured radon levels ranged from 0.90 to 7,218.7 Bq/L with the median value of 54.3 Bq/L, similar to the value measured in the nationwide survey in 4,853 wells (52.1 Bq/L). The median value was highest in the Cretaceous granite area (390.0 Bq/L) while it was as low as 20.0~58.8 Bq/L in the Ogcheon meta-sedimentary rock areas. About 23.6% of the total samples exceeded the WHO guideline value of 100 Bq/L established in 2011. The exceeding rate was 69.0, 39.4, and 7.0~13.7% in the Cretaceous granite area, Jurassic granite area, and Ogcheon meta-sedimentary rock areas, respectively.

보은화강섬록암(報恩花崗閃綠岩) 서남부(西南部) 접촉대(接觸帶)에 관(關)한 암석학적(岩石學的) 연구(硏究) (A Petrological Study on the Southwestern Contact Zone of the Boeun Granodiorite, Ogcheon Zone)

  • 이대성;박종심
    • 자원환경지질
    • /
    • 제14권2호
    • /
    • pp.55-76
    • /
    • 1981
  • Southwestern contact zone of the Boeun granodiorite occurs near the thrust fault between the Ogcheon Group and Majeonri Limestone Formation. Ogcheon Group, metasediments composed of the Munjuri Formation, Changri Formation, and unconformably overlying Hwanggangri Formation, belongs to greenschist facies of regional metamorphism accompanied with deformation of two fold axes, $N10^{\circ}E$ and $N45-65^{\circ}E$ directions. Basic metamorphic rocks occurring in the Changri and Limestone Formations are the meta-basalts and meta-diabases of tholeiitic basalt series. The meta-basalts intruded in the Changri Formation as sills, whereas the meta-diabases in the Changri and Limestone Formations as stocks in appearance. They are considered to have emplaced before the formation of two fold axes and related with the thrust fault, based on the geologic setting of the area. The metamorphic facies are identified to be greenschist facies to epidote-amphibolite facies for the meta-basalt, and epidote-amphibolite facies for the meta-diabases. It is interpreted that such a variety of facies was related from the combination of earlier deuteric alteration and later regional metamorphism. The metasediments in southwestern contact zont of the Boeun granodiorite which is a product of later syntectonic intrusion of middle Jurassic in age, show pyroxene-hornfels facies near the contact and amphibole-horenfels facies away from the contact to the mineral zoning in the contact metamorphic aureole of the Limestone Formation, based on the paragenetic analysis of mineral assemblages. The Limestone in the area appears to be considerably $SiO_2-CaO-MgO-CO_2-H_2O$ can be adopted to evaluate equilibrium conditions of the mineral assemblages in each mineral zone. It is revealed that a temperature gradient was existed accross the contact aureole ranging from the higher igneous side to lower sedimentary side, whereas no clear trend of $XCO_2$ variation appears but high mole fraction. The tremolite diopside-quartz-calcite assemblages occurs in common through the most mineral zones of contact aureole that is in good agreement with the equivalent reaction curve which extends over a wide range of $T-XCO_2$ conditions.

  • PDF

한반도(韓半島) 옥천대(沃川帶) 탄질이암층중(炭質泥岩層中)의 저품위(低品位) 우라늄광(鑛)의 부존상태(賦存狀態) 및 우라늄, 바나듐 회수공정개발연구(回收工程開發硏究) ( I ) (Uranium Occurrences, and Process Development for Recovering Uranium and Vanadium from Uranium Ore in Coaly Meta-Pelites in Ogcheon Terrain, Korea (I))

  • 소칠섭;최청송
    • 자원환경지질
    • /
    • 제17권1호
    • /
    • pp.35-47
    • /
    • 1984
  • Combined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studies were made on two hundred eighty one representative samples from uraniferous coaly meta-pelites of the Ogcheon metamorphic terrain. Different mineral occurrence of the areas investigated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for chemical processes for uranium extraction. Secondary uranium minerals identified are metauranocircite, metatorbernite and autunite. These are disseminated mostly on the laumontites which infused and filled secondary openings in the coaly matrix, and are often closely associated with iron oxides. The uranium distribution show distinctly log normal. Geochemical correlation coefficient of uranium and organic carbon displays +0.624~+0.796. The relationship of the major components to uranium can be expressed by the following regression equation: Log $(U_3O_8{\times}10^4)$=1.40117-0.00076 (quartz) -0.00118 (muscovite) +0.00235 (biotite) +0.00323 (other silicates) - 0.01114 (apatite) +0.01124 (hematite) +0.00149 (limonite) -0.01823 (opaques)+0.03049 (organic carbon). Uranium in the coaly meta-pelites of the Ogcheon Group was deposited together under same physico-chemical environmental conditions. There is a considerable variation in the ${\delta}^{34}S$ values (11.2~16.8 per mil) of the pyrites from the U-bearing meta-pelites, which implies sedimentary origin. The two U-bearing coaly rocks analyzed have ${\delta}^{13}C$ values between -16.88~-18.00 per mil, which suggests organic.

  • PDF

감마선분광분석기를 이용한 괴산 옥천하부천매암대 일대의 감마선량 평가 (Assessment of Gamma-radiation dose Rate in the Ogcheon Lower Phyllite Area, Goesan County, Korea, Using Gamma-ray Spectrometry)

  • 윤욱;조병욱
    • 지질공학
    • /
    • 제29권4호
    • /
    • pp.461-468
    • /
    • 2019
  • 휴대용 감마선분광분석기를 이용하여 괴산지역 옥천하부천매암대(og2) 주변 일대 77개 지점에서 감마선량을 측정하였다. 전체 시료의 40K 함량은 1.8-8.8% 범위(평균 4.6%)로 Kgr에서 함량이 가장 높았으 며, eU의 함량 범위는 0.2-217.9 ppm (평균 16.7 ppm)인데 og2에서 가장 높았으며(중앙값 29.6 ppm)다. eTh의 함량 범위는 11.9-76.5 ppm (평균 29.5 ppm) 이었는데 Kgr의 평균 함량은 45.4 ppm으로 og1, og2, og3의 함량(26.6-30.6 ppm)보다 높았다. og2에 속하는 일부 고 우라늄 지점을 제외한 연구지역의 감마선량에 기여하는 방사성물질은 40K가 절대적이다. 연구지역의 옥외 유효선량률은 0.08-1.71 mSv/y (평균 0.28 mSv/y)의 범위로 나타났다. 유효선량률이 1 mSv를 넘는 지점은 함 우라늄 층이 협재된 og2의 덕평리지역 3지점이며 이를 제외한 나머지 대부분 지역은 정상적인 자연방사선지역에 해당한다.

남한 탄산수의 지구화학적 특성과 안정동위원소 조성 (Geochemistry and Stable Isotopes of Carbonated Waters in South Korea)

  • 윤정아;김규한
    • 대한지하수환경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16-124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남한에 분포하는 23개의 약수지역을 대상으로 탄산수의 수질 특성과 탄소의 기원을 연구하기 위하여 용존 이온 및 동위원소 분석연구를 수행하였다. 지질 특성별로 분류.비교된 국내 탄산수는 대체로 Ca-HC $O_3$형에 속하며 pH는 5.3~6.3의 범위이다. 탄산수내 대부분은 양이온과 음이온의 농도가 각각 $Ca^{2+}$>$Na^{+}$>M $g^{2+}$>S $i^{4+}$>F $e^{2+}$> $K^{+}$ 와 HC $O_3$$^{-}$>S $O_4$$^{2-}$ >C $l^{-}$의 순이다. 탄산수의 수질 유형은 대체로 Ca-HC $O_3$형에 해당되나 지역별로 다소 차이가 나타나 강원 지역의 선캄브리아기 변성암류 및 쥬라기 화강암지역(GI)의 탄산수는 Ca-HC $O_3$형이 우세하나 전형적인 Na-HC $O_3$형을 보여주는 경우도 있다. 경상 퇴적분지내의 중생대 퇴적암 및 화강암류 지역(GII)의 탄산수는 Ca-HC $O_3$형 내지 Ca(-Mg)-HC $O_3$형이 우세하다. 옥천 변성퇴적암류 및 화강암류 지역(GIII)의 탄산수는 Ca-HC $O_3$내지 Ca(-Na)-HC $O_3$형을 보여준다. 산소 및 수소 동위원소 분석 결과, 탄산수의 기원은 탄산수 지역 부근의 순환수 기원이며 지형 특성에 따라 동위원소 고도 효과 및 위도 효과를 반영하고 있다. 탄산수의 탄산이온의 탄소의 $\delta$$^{13}$C(PDB)값은 -6.2~0.0$\textperthousand$범위이며, 그 기원은 대수층인 지층내 탄산염암 또는 탄산염 광물의 용해에서 유래한 무기기원 탄소로 해석된다.다.

  • PDF

문경지질공원 쌍룡계곡, 용추계곡, 문경새재 지질명소 화성암류의 SHRIMP 저어콘 U-Pb 연령과 지구화학 (SHRIMP Zircon U-Pb Age and Geochemistry of Igneous Rocks in the Ssangyong and Yongchu Valleys and Mungyeong Saejae Geosites, Mungyeong Geopark)

  • 정원석;김윤섭;한기운;김태환
    • 광물과 암석
    • /
    • 제36권1호
    • /
    • pp.73-94
    • /
    • 2023
  • 문경 지질공원 후보지의 지질명소 쌍룡계곡, 용추계곡 그리고 문경새재를 구성하고 있는 화강암류와 규장질 관입암류의 저어콘 U-Pb 연령측정과 전암 지구화학 성분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들 화성암류들은 각각 문경시의 서부, 북서부, 중부에 분포하고 있으며, 옥천변성대의 변성암류와 문경층군의 퇴적암류를 관입하고 있다. 고분해능 이차이온질량분석기(SHRIMP)를 사용하여 측정한 쌍룡계곡의 두 개의 규장질 반암과 한 개의 화강암 시료의 저어콘 U-Pb 연대측정 결과는 각각 93.9±3.3 Ma (tσ), 95.1±4.0 Ma (tσ) 그리고 94.4±2.0 Ma (tσ)으로 백악기 관입 연령을 정의한다. 용추계곡의 화강암, 규장질 암맥, 그리고 문경새재 반상 화강암에서 측정한 관입 연령은 각각 90.2±2.0 Ma (tσ), 91.0±3.0 Ma (tσ) 그리고 88.6±1.5 Ma (tσ)의 관입연령을 갖는다. 이 지역의 화강암 연대에 대한 기존 연구결과(Lee et al., 2010; Yi et al., 2014; Aum et al., 2019)와 더불어 계산한 평균표준오차를 계산해보면, 쌍룡계곡(94.5±0.2 Ma)과 용추계곡(89.7±0.4 Ma) 화강암들 사이에 대략 5 Myr 정도의 관입 시기의 차이가 존재함이 나타난다. 이 두 지역 사이의 문경지역의 규장질 화성암류의 지구화학 성분분석 결과는 후조산성 화강암 특성을 나타내며, 이는 초기 백악기 조산운동 및 이자나기의 섭입 말기의 화성활동에 대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