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ffset Time

검색결과 724건 처리시간 0.027초

광 버스트 스위칭 망에서 망 고장에 대한 offset 시간 영향 분석 및 QoS를 고려한 장애 복구 기법 (Analysis of the Effect on Offset Time under Fault and Propose a New Restoration Scheme Considering QoS in OBS Networks)

  • 이해정;송규엽;소원호;김영천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0권12호
    • /
    • pp.94-105
    • /
    • 2003
  • 광 버스트 스위칭 망에서는 헤더정보와 버스트 정보를 분리하여 offset 시간 후에 버스트를 전송하는 One-Way reservation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링크 장애와 같은 망 장애가 발생하였을 경우 offset 시간의 영향으로 선행된 헤더 정보에 대한 버스트의 추가적인 손실이 발생하여 심각한 서비스 품질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망 장애 발생 시 광 버스트 스위칭의 가장 큰 특징인 offset 시간이 버스트 손실에 미치는 영향과 기존 장애 복구 기법을 사용하였을 경우 offset 시간에 따른 버스트 손실을 수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또한 offset 시간 영향으로 링크 장애 발생 시 선행된 제어 패킷으로 인해 후 행하는 버스트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QoS를 고려한 offset 시간 기반의 새로운 장애 복구 기법을 제안하였다.

광 버스트 교환 망에서 차등적 다중 서비스 제공을 위한 offset 시간 결정 및 성능 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and Offset Time Decision for Supporting Differential Multiple Services in Optical Burst Switched Networks)

  • 소원호;김영천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1권1호
    • /
    • pp.1-12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광 통신망에서 서비스 차별화를 제공하기 위하여 광 버스트 교환 (Optical Burst Switching; OBS) 기술의 특징을 이용한다. 제시된 기법은 제어 패킷과 버스트 데이터간의 offset 시간을 이용하는 방식으로서 다중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하여 서비스마다 서로 다른 크기의 offset 시간을 이용한다. 이를 위하여 서비스 차등률과 보존 법칙에 의해서 버스트 손실률을 결정하고 이 서비스 요구 QoS 에 맞는 offset 시간을 결정한다. 제시된 첫 번째 방식은 상위 클래스와 하위 클래스로 분류되는 두 종류의 서비스를 고려하여 상위 클래스의 요구 QoS에 적합한 offset 시간을 결정하는 알고리즘이다 두 번째 알고리즘은 두 종류이상의 다중 서비스 클래스 환경에 맞도록 첫 번째 알고리즘에 이용된 분석 방법을 확장한다. 제시된 알고리즘은 서비스를 상위 그룹과 하위 그룹으로 구분하며 상위 그룹의 QoS를 위한 offset 시간을 먼저 결정하고, 이것을 이용하여 각서비스에 맞는 offset 시간을 최종적으로 결정한다. 제시된 알고리즘의 성능 평가는 시뮬레이션을 이용한다. 사용자가 요구하는 서비스 차등률에 맞는 offset 시간을 제안된 알고리즘에 의해서 결정하고 요구 버스트 손실률이 만족됨을 보인다.

Neutral-Point Voltage Balancing Method for Three-Level Inverter Systems with a Time-Offset Estimation Scheme

  • Choi, Ui-Min;Lee, Kyo-Beum
    • Journal of Power Electronics
    • /
    • 제13권2호
    • /
    • pp.243-249
    • /
    • 2013
  • This paper presents a neutral-point voltage balancing method for three-level inverter systems using a time-offset estimation scheme. The neutral-point voltage is balanced by adding a time-offset to the turn-on time of the switches. If an inaccurate time-offset is added, the neutral-point deviation still remains. An accurate time-offset is obtained through the proposed time-offset estimation scheme. This method is implemented without additional hardware, complex calculations, or analysi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is verified by experiments.

광 버스트 스위칭 망에서 QoS 보장을 위한 Offset 시간 결정 알고리즘 설계 및 성능 평가 (Desig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Offset Time Decision Algorithm for Guaranteeing the QoS in Optical Burst Switching Networks)

  • 소원호;차윤호;노선식;김영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7권1C호
    • /
    • pp.1-10
    • /
    • 2002
  • 인터넷 사용자의 폭발적인 증가와 대용량의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와 같은 인터넷관련 서비스의 증가와 함께 WDM 기술을 이용한 광대역의 광 인터넷 구축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광 버스트 스위칭 (optical burst switching; OBS) 기술을 이용한 광 통신망에서 QoS를 제공할 수 있는 offset 시간 결정 (offset time decision; OTD)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성능을 평가한다. 제시된 알고리즘은 인터넷 트래픽의 중요한 QoS 요소인 요구 버스트 손실률을 보장하기 위하여 망의 트래픽 부하, 파장수를 고려하여 적합한 offset 시간을 결정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offset 시간을 고려한 버스트 손실률에 대한 새로운 일반식을 제시한다. 하지만 요구되는 버스트 손실률에 의한 offset 시간의 결정은 제시된 일반식을 역으로 적용해야 하기 때문에 제안된 일반식을 그대로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제시된 일반식과 일반식의 특성을 고려한 비례식을 이용하여 버스트 손실률에 대한 역 변환이 가능한 경험적 일반식 (heuristic loss formula; HLF)을 정의하고, 이를 이용하여 offset 시간을 결정하는 OTD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의 성능 평가결과 OTD 알고리즘에 의하여 결정되는 offset 시간은 다양한 입력 부하에서 요구 버스트 손실률이 보장됨을 보인다.

CDMA 시스템을 위한 정수론 접근 방법에 의한 주기이진부호의 사건?? 계산 (Periodic Binary Sequence Time Offset Calculation Based on Number Theoretic Approach for CDMA System)

  • 한영열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952-958
    • /
    • 1994
  • 본 논문에서 정수론에 기초한 이진수호와 이전된 이진부호 사이의 시간옵셉을 계산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 방법을 이용하여 이진부호 사이의 시간옵셉을 계산할 수 있다. 모든 기지국은 동일한 확산부호를 사용하므로써 동기 부호분할 다원접속 시스템에서 기준(영 \ulcorner\ulcornerV)부호를 정의하는 것은 중요하다.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에 수신되는 신호를 구별하기 위하여 영옵셉부호에 대한 시간옵셉을 사용하고 있다. 본 논문은 기준부호를 정의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 PDF

GPS 시각전송 측정데이터에 대한 딥러닝 모델 기반 시각오프셋 예측 (Deep Learning based Time Offset Estimation in GPS Time Transfer Measurement Data)

  • 유동희;김민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3호
    • /
    • pp.456-462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세계협정시(UTC)를 결정하기 위해 GPS 위성에서 전송된 코드 신호에서 추출한 측정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정밀시각비교 기법에 딥러닝 모델인 LSTM을 적용하여 시각 오프셋을 예측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이를 위해 우선, 하루 단위로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코드 신호에서 시각 정보를 추출하고 하루 단위의 시각 오프셋을 하나의 시계열 데이터로 구축하는 과정을 소개한다. 구축된 시각 오프셋 시계열 데이터에 대해 딥러닝 모델을 적용하는데, 순환신경망 중 하나인 LSTM을 적용하여 GPS의 시각 오프셋 예측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GNSS 기반 정밀 시각비교분야에서 딥러닝을 적용한 시각 오프셋 예측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옵셋전압을 저감시킨 실리콘 바이폴라 홀 IC 설계 (Design of HALL effect integrated circuit with reduced wolgate offset in silicon bipolar technology)

  • 김정언;홍창희
    • 전자공학회논문지A
    • /
    • 제32A권1호
    • /
    • pp.138-145
    • /
    • 1995
  • The offset voltage in silicon Hall plates is mainly caused by stress and strain in package, and by alignment in process. The offset voltage is appeared random for condition change with time in the factory, is non-linearly changed with temperature. In this paper proposed new method of design of Hall IC, and methematicaly proved relation layout of chip of 90$^{\circ}$-shift-current Hall plate pair is matched with "Differentail to single ended Conversion amplifier." In the experiment, the offset voltage is reduced about 1/100 time than the original offset voltage.

  • PDF

Synchronization System for Time of Mission and Flight Computers over UAV Network

  • Lee, Won-Seok;Jang, Jun-Yong;Song, Hyoung-Kyu
    • Journal of Positioning, Navigation, and Timing
    • /
    • 제10권4호
    • /
    • pp.387-393
    • /
    • 2021
  • This paper proposes a system to synchronize the time of computers over an unmanned aerial vehicle (UAV) network. With the proposed system, the UAVs can perform missions that require precise relative time. Also, data collected by UAVs can be fused precisely with synchronized time. In the system, to synchronize the time of all computers over the UAV network, two-step synchronization is performed. In the first step, the mission computers of the UAVs are synchronized through the server of the system. After the first step, the mission computers measure time offset between the time of the mission computers and the flight computers. The offset values are delivered to the server. In the second step, virtual time is determined by the server from the collected time offset. The measured offset is compensated by moving the synchronized time of mission computers to the reasonable virtual time. Since only the time of mission computers are controlled, any flight computers that use micro air vehicle link (MAVLink) protocol can be synchronized in the proposed system.

무인이동체 및 지상국 컴퓨터 간의 시간 정보 동기화를 위한 시스템 연구 (A Study on System for Synchronization of Multiple UAVs and Ground Control System)

  • 이원석;이운상;송형규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16
    • /
    • 2020
  • In this paper, system that includes multiple unmanned aerial vehicles (UAVs) are considered. The vehicles are equipped with a mission computer for a specific mission and equipment. The mission equipment operates based on the time of mission computer. Also, data collected by flight computer and mission computer is saved with the time of each operating system. Generally, time offset between multiple computers always exists, though the computers are connected to the Internet. When the data collected by multiple computers is combined, the time offset causes damage on reliability of the combined data. Computers that connected to the Internet are synchronized by network time protocol (NTP). This paper proposes a system that the time of multiple mission computers are synchronized by the same NTP server to minimize the time offset. In the results of the measurement, the system time offset of multiple mission computer is maintained within 10ms from the system time of the server computer.

Performance Estimation of KPST to GPS Time Offset for GNSS Interoperability to Increase Navigational Performance

  • Lee, Young Kyu;Yang, Sung-hoon;Lee, Ho Seong;Lee, Jong Koo;Hwang, Sang-wook;Rhee, Joon Hyo;Lee, Ju Hyun
    • Journal of Positioning, Navigation, and Timing
    • /
    • 제11권3호
    • /
    • pp.191-198
    • /
    • 2022
  • In order to increase the practical use and navigational application performance of the Korean Positioning System (KPS), it is required to provide interoperability with other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This kind of interoperability can be obtained by broadcasting the time offset between KPS and GNSS using a KPS navigation message. With the assumption that KPS Time (KPST) will be generated by the similar method and equipment of UTC(KRIS), the overall behavior of KPST will be close to that of UTC(KRIS). Therefore, the time offset between KPST and GPS Time (GPST) is estimated by using UTC(KRIS) instead of KPST because KPST can not available at the present time.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estimation results of the KPS to GPS Time Offset (KGTO) obtained by using a GNSS time transfer receiver which reference inputs are fed from UTC(KRIS). The estimated KGTO performance is compared to the time offset between UTC(KRIS) and UTC(USNO) which is used to generate GPST and considered as the real GPST. The time offset between UTC(KRIS) and UTC(USNO) is obtained by using the Bureau International des Poids et Mesures (BIPM) Circular T report. From the results, it is observed that KGTO can be estimated under 10 ns with the assumption that KPST will be generated by a similar method of UTC(KRIS) gen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