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ff line shopping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5초

상품 선택 특성에 따른 쇼핑채널 선택에 관한 연구: 식품 MD를 중심으로 (An Exploratory Empirical Study on Shopping Choice in Retail Channels by the Selective Characteristics of Foods)

  • 하광옥;이정희
    • 기업가정신과 벤처연구
    • /
    • 제20권1호
    • /
    • pp.35-46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의 쇼핑 시 소비자의 상품(식품) 선택 특성이 온, 오프라인의 업태별 선호도와 옴니채널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여 유통업체의 마케팅 전략 수립에 시사점을 얻기 위함이다. 연구모형은 소비자의 식품 선택 특성이 각각 업태별 선호도와 옴니채널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으로 구성 되었다. 총 477부의 설문조사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 식품의 선도, (2) 맛, (3) 품질, 안전, (4) 시식시음, (5) 식품의 기능 및 정보, (6) 원산지, (7) 브랜드 충성도의 7가지 특성을 활용한 식품 구매 특성은 업태별로 다양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채택된 가설은 브랜드 충성도(5회), 선도(3회), 시식 시음(3회), 원산지(1회) 순으로 선정이 된 것으로 보아 식품의 선택요인은 (1) 어떤 브랜드 인가, (2) 얼마나 선도가 좋은가, (3) 시식 시음으로 먹어보고 구입 한다, (4) 원산지는 확인 한다 로 압축이 되며 실제 소비자가 식품 쇼핑 시에도 7가지를 모두 활용 한다기보다는 업태별 특성에 맞는 핵심적인 선택 요인만 활용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편의점은 3개 요인이 영향을 미치고 나머지 업태는 1~2요인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옴니채널 선호도 분석에 있어서 식품의 선택 특성이 제한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왔으며 이는 옴니채널의 개념을 소비자가 아직 명확하게 이해하지 못하는 것에 기인한다고 보여진다. 셋째,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업태 별로 다양한 영향을 미치는 식품의 선택 특성을 업태별 마케팅 전략에 반영을 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과 옴니채널 이용 소비자는 식품의 품질 및 안전을 중시하고 시식을 통해 상품을 확인하고, 어느 곳에서도 신뢰를 할 수 있는 브랜드를 추구하여 온 오프라인을 동시에 이용하는 합리적인 소비를 하기 때문에 옴니채널은 합리성을 추구하는 고객이 선호도가 높을 것이라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향후 유통업의 옴니체널 전략은 많은 어려움이 예상되며, 본 연구는 유통의 패러다임을 바꾸게 되는 옴니채널을 식품의 선택특성을 활용하여 처음으로 연구를 시도한 것에 의의가 있다.

  • PDF

거리쇼핑용 보행자 네비게이션의 비즈니스 모델 개발 (Business Method Developing a "Walking" Navigator for Street Shoppers)

  • 이종덕;황기연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29-141
    • /
    • 2008
  • 최근 포터블 네비게이션 시장은 전년도 대비 95%이상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포터블 네비게이션 중에서도 보행자 네비게이션에 중점을 두고 거리쇼핑용 보행자 네비게이션의 비즈니스 모델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한 선행연구로 거리쇼핑용 보행자 네비게이션을 개발하였고,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거리쇼핑용 보행자 네비게이션의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함으로서 보행자 네비게이션의 활성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거리쇼핑용 보행자 네비게이션의 비즈니스 모델은 거리쇼핑용 보행자 네비게이터로서 제안된 워나비 쇼나비를 구조적으로 분석하여 각 구조별로 제안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제안하고 이와 함께 워나비 쇼나비 시스템 전체의 비즈니스 모델을 통합형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이러한 워나비 쇼나비 비즈니스 모델의 제안은 보행자용 네비게이터의 활성화를 위한 하나의 방안임과 동시에 궁극적으로는 현재의 시장경제 체제하에서 완전경쟁시장으로의 전환을 목표로 한다.

중국 결혼 이민 여성의 문화적응에 따른 의생활 적응과 의복소비행동 (Clothing adaptation and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according to acculturation in married Chinese immigrant women)

  • 손진아;김순영;추호정;남윤자
    • 복식문화연구
    • /
    • 제23권6호
    • /
    • pp.972-986
    • /
    • 2015
  •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lothing adaptation and acculturation for married Chinese immigrant women. In addition, it aim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ir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s according to acculturation level. To achieve these purposes, a quantitative research study was conducted on 291 wives of Korean-Chinese multicultural families in Seoul and Gyeonggi. The data was analyzed using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OVA, and the Duncun test.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women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ir level of acculturation, which was defined as 'assimilated', 'marginalized' and 'segregated'.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acculturation level and their clothing adaptation was identified. The marginalized group had the lowest level of clothing adaptation. Third, the groups' differences in clothing selection criteria were analyzed. The segregated group considered the practical aspects (price, color, quality) of clothing to be more important than the other groups. The marginalized group scored the lowest in valuing the aesthetic factors (design, style, trendiness) of clothing. Finally, conformity of clothing consumption varied significantly based on acculturation level. The assimilated and marginalized groups showed higher levels conformity than did the segregated group. Clothing purchase location also varied significantly between the three groups. The assimilated and marginalized groups preferred online shopping, but members of the segregated group preferred to carry out their shopping off-line. This study showed that clothing adaptation and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s play key roles in understanding the accultur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소비자 체험 평가를 통한 스마트 모바일 가상 스토어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Consumer-Centric Smart Mobile Virtual Store)

  • 구혜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3호
    • /
    • pp.209-219
    • /
    • 2013
  • 스마트폰 모바일 환경의 보편화는 기술의 진보 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생활패턴의 변화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렇듯 스마트폰과 같은 디지털 컨버전스 환경으로 패러다임이 변화함에 따라 소비자를 둘러싼 상품, 서비스, 그리고 유통환경까지 모든 것이 변화하고 있다. 그 변화의 한 가운데 국내 기업인 홈플러스에서는 세계 최초로 오프라인매장과 온라인 매장의 장점을 결합한 가상 스토어를 설치하고 모바일 쇼핑을 가능케 하는 제 4세대 유통모형을 운영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홈플러스의 모바일 가상 스토어에 대한 사례 분석 및 소비자의 체험 평가를 통하여 소비자중심적 관점에서 새로운 디지털 유통 모델로서 모바일 가상 스토어의 발전 방안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기술이 혁신적으로 진보하는 경우, 기술의 개발에 초점이 맞추어지고 소비자는 수용자로서의 역할을 하지만 기술이 안정적으로 구현되고, 더 큰 산업의 발달을 위해서는 소비자 중심적 관점에서 평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보았다. 이에 본 연구의 소비자 행동 중심적인 관점에서 스마트 가상 스토어를 평가하는 것은 새로운 유통모델의 등장 및 성공적 확산을 위해 필요한 탐색적 연구로서의 의의가 크다.

변형확률모델을 활용한 소매업의 상권분석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rade Area Analysis with the Use of Modified Probability Model)

  • 진창범;윤명길
    • 유통과학연구
    • /
    • 제15권6호
    • /
    • pp.77-96
    • /
    • 2017
  • Purpose - This study aims to develop correspondence strategies to the environment change in domestic retail store types. Recently, new types of retails have emerged in retail industries. Therefore, trade area platform has developed focusing on the speed of data, no longer trade area from district border. Besides, 'trade area smart' brings about change in retail types with the development of giga internet. Thus, context shopping is changing the way of consumers' purchase pattern through data capture, technology capability, and algorithm development. For these reasons, the sales estimation model has been shown to be flawed using the notion of former scale and time, and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new model.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focuses on measuring retail change in large multi-shopping mall for the outlook for retail industry and competition for trade area with the theoretical background understanding of retail store types and overall domestic retail conditions. The competition among retail store types are strong, whereas the borders among them are fading. There is a greater need to analyze on a new model because sales expectation can be hard to get with business area competition. For comprehensive research, therefore, the research method based on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excluded, and field survey and literature investigation method were used to identify problems and propose an alternative. In research material, research fidelity has improved with complementing research data related with retail specialists' as well as department stores. Results - This study analyzed trade area survival and its pattern through sales estimation and empirical studies on trade areas. The sales estimation, based on Huff model system, counts the number of households shopping absorption expectation from trade areas. Based on the results, this paper estimated sales scale, and then deducted modified probability model. Conclusions - In times of retail store chain destruction and off-line store reorganization, modified Huff model has problems in estimating sales. Transformation probability model, supplemented by the existing problems, was analyzed to be more effective in competitiveness business condition. This study offers a viable alternative to figure out related trade areas' sale estimation by reconstructing new-modified probability model. As a result, the future task is to enlarge the borders from IT infrastructure with data and evidence based business into DT infrastructure.

SEC와 FCB골격 의 통합적 접근방법을 통한 중소기업 제품군의 인터넷 판매 적합성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the On-line Sales Fitness of Small-sized Companies' Product Categories by the Integration of SEC and FCB Framework)

  • 박성용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6권3호
    • /
    • pp.169-189
    • /
    • 2006
  • 인터넷기술의 발달과 소비자의 인터넷 사용 증가로 온라인에서 팔랄 수 있는 제품군은 확장되고 있다. 흥미로운 문제는 어떤 제품군이 온라인에서 판매될 가능성이 있는가에 대한 문제보다, 제품군에 대한 브랜드 역할이 주요한 역할을 할 때, 온라인 판매 가능성이 있는가에 대한 문제이다. 특히, 중소기업제품은 대기업 제품과 달리 오프라인 유통점포에서의 취급도도 낮고, 브랜드 인지도도 떨어지고, 가격대비 품질에 대한 소비자들의 지각에서도 많은 편차가 존재하고, 구매위험도 많이 느낄 가능성도 높다. 온라인 쇼핑은 유통력 및 브랜드력이 상대적으로 약한 중소기업들에게는 기회가 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중소기업제품군의 온라인 판매가능성의 적합성율 평가하는 것은 중요하다. SEC골격 은 어떤 제품군이 온라인에서 판매될 가능성이 높은가에 대한 연구를 위해 이용되어졌고, FCB골격은 관여도와 이성/감성적 측면을 고려하여 제품군을 구분하는데 사용되어져왔다. 특히 SEC와 FCB골격과 관련된 문제이지만, 고려되지 않았던 측면이 브랜드 역할이라고 할 수 있다. 제품군의 인터넷 판매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SEC골격 과 FCB골격뿐만 아니라 인터넷 쇼핑의 장단점과 브랜드의 역할을 통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SEC와 FCB등의 이론적 골격과 주요요인들을 통합하는 접근 방법을 토대로 이론적인 골격을 만들고 이를 바탕으로 실증적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제품군들의 온라인판매 적합성을 조사한다. 총 17개 제품군에 대한 온라인 판매 적합성에 대한 실증조사는 SEC와 FCB골격, 온라인 쇼핑의 장단점, 브랜드 관련 요인들이 전체적으로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기존의 연구처럼 제품군의 특성에 따른 SEC와 온라인 판매적합성은 아주 분명하게 드러나는 것은 아니므로 독립된 골격에서 보다, 상호 의존된 골격 내에서 제품군의 구매의도 및 온라인 판매 적합성을 고려한다. 즉 제품군을 통합된 골격 내에서 정의한 후에 중소기업 제품군의 구매의도 및 온라인 적합성을 평가하는 것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 PDF

소비자의 온·오프라인 채널이동 유형의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The Determinants of Switching On·Off-Line Channels for Consumers)

  • 전상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2호
    • /
    • pp.245-256
    • /
    • 2013
  • 본 연구는 소비자가 정보탐색과 구매단계에서 온 오프라인 채널을 이동하는 유형을 온온(온라인 탐색 ${\rightarrow}$ 온라인 구매), 오프오프(오프라인 탐색 ${\rightarrow}$ 오프라인 구매), 온오프(온라인 탐색 ${\rightarrow}$ 오프라인 구매), 오프온(오프라인 탐색 ${\rightarrow}$ 온라인 구매), 온오프온(온라인 탐색 ${\rightarrow}$ 오프라인 탐색 ${\rightarrow}$ 온라인 구매)으로 분류하고, 유형의 결정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총 1,040명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소비자의 채널이동 유형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은 가격지향성, 구매가격 등 가격 변수와 편의지향성과 위험회피지향성 등의 소비성향 변수, 그리고 온 오프라인 채널 친숙도 변수로 나타났다. 온 오프라인 채널을 이동하는 크로스채널 소비자는 실물확인과 안전한 구매를 위하여 채널이동의 번거로움을 감수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온 오프라인 채널을 운영하는 기업담당자에게 유용한 자료를 제시하고, 채널이동과 관련된 소비자의사결정과정에 대한 이론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현 (An Implementation of Goods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by Mobile Devices)

  • 반정민;공규철;오길호;이광의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4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83-488
    • /
    • 2004
  • 상품 구매 시에 상대적인 가격, 사양 등은 구매결정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정보이다. 그러나 오프라인에서 상품을 구매할 경우 최저가격, 비교사양 등 상품에 대한 정보가 거의 제공되지 않는다. 본 논문에서는 PDA, 이동전화 등 모바일기기를 통하여 소비자에게 최적화된 상품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탐색로봇을 포함하는 서버와 바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클라이언트로 구성되며, 사용자가 모바일기기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하여 바코드 정보를 서버에 보내면, 서버는 해당상품에 대한 정보를 클라이언트에 전송한다.

  • PDF

Determinations of Impulsive Buying Behavior: An Empirical Analysis of Consumers' Purchase Intentions for Offline Beauty Products

  • Tayyaba Tanveer;Mustaghis ur Rahman;Syeda Qurat ul Ain Kazmi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4권7호
    • /
    • pp.45-54
    • /
    • 2024
  • Ingrained in multiple consumption theories, this research covers the seven determinants (Hedonic Consumption, Consumers' mood, Store layout, product promotion, Persons' situation, Materialism, and Product Attributes) of purchase intentions of a consumer. For this study, 384 offline shoppers were surveyed and found that out of seven, six determinants significantly trigger impulse buying behavior of customers of beauty products in a modern market setting while one determinant 'Materialism' did not have any influence on the impulse buying behavior. The relationships of the variables were statistically checked by multiple linear regression.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a consumer's mood has a significant impact on impulse buying as it can trigger the impulse behavior of consumers. Person situations also have a positive impact on impulse buying it means time, money, fear of missing out can active impulse buying. Store layout can also trigger that unplanned purchase which means store lighting, the music of the store, ambiance may affect the purchasing. Product promotion has an impact on spontaneous purchase which indicates that free coupons, discounts, free delivery, offers to attract the customer to sudden purchase. Product design, packaging, color, labeling indicate a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 on impulse buying. However, materialism indicates an insignificant impact on impulse buying.

리테일테인먼트에 따라 구매특성과 구매효용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Nature of Purchase and Purchase Utility on 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Retailtainment)

  • 오현석;전홍식
    • 유통과학연구
    • /
    • 제16권12호
    • /
    • pp.57-68
    • /
    • 2018
  • Purpose -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es lead the volume of sale on online market increase but an off-line shopping center is still a core component in the omni-channel strategy. It is generally thought that high-level retailtainment on brick and mortar store affects purchase intentions positively, but some previous studies dispute that and have reported that retailtainment does not affect purchase intentions. So we have studied the additional factors' effect - the nature of purchase and utility - with retailtainment.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re are 8 treatment groups which were assigned by the method of retailtainment (high vs. low), nature of purchase (essential vs. non-essential), and utility (acquisition vs. transaction). A total of 240 subjects (office workers = 163, 68%; undergraduates = 77, 32%; average age = 30s; female = 39%) were divided into groups and exposed to one of the eight scenarios. Participant's purchase intention was the dependent, and ANOVA and L-matrix were used to analyze for main and interactive effects between factors. Results - First, the main effect and interactive effect between retailtainment and the nature of purchase are significant. We also found that the contrast between essential and non-essential at low-level retailtainment is higher than that of high-level retailtainment. Second, in the case of retailtainment and utility, transaction utility under high-level retailtainment affects purchase intentions positively. Third, between the nature of the purchase and utility, the main effect of the nature of purchase and the interactive effect is significant, but the main effect of utility is not significant. In the case of non-essential goods, the purchase intention was high when transaction utility was provided but in the case of essential goods, acquisition utility increased purchase intentions. Finally, when transaction utility is given, purchase intentions of essential goods increase under low retailtainment, and the purchase intentions of non-essential goods increase under high retailtainment. Conclusions - When customers buy essential goods, discounts decrease purchase intentions. During the season for bargain sales, purchase intentions increase when retailtainment of essential goods is low, and retailtainment of non-essential goods is hig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