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ceanic movement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2초

고해상도 해양순환모형을 이용한 씨프린스호 유류유출 사고 수치실험 (Numerical Experiment on Sea Prince Oil Spill Incident Using a High Resolution Ocean Circulation Model)

  • 김예솔;이호진;정경태;박재훈;이현정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4권3호
    • /
    • pp.337-348
    • /
    • 2012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ide, wind and oceanic currents on oil spill dispersions through a series of numerical floats tracking experiments on the Sea Prince oil spill incident occurred in 1995 using a 3-dimensional high resolution ocean circulation model. For that, a total of four experimental cases (experiment with tide, wind and oceanic currents, experiment with tide and oceanic currents, experiment with wind and oceanic currents, and experiment with tide and wind) were compared. It could be seen that results from experiment involving all external forces showed better agreement with the observed pattern of oil slick movement than other cases. The oceanic currents acted to drive floats to move to the western channel of the Korea straits and wind accelerated the eastward movement of floats in the early stage of the incident. Tidal currents played significant role in the horizontal dispersion of floats.

해수운동의 특성을 활용한 수중 무선 네트워크 시각 동기화 (Time Synchronization with Oceanic Movement Pattern in Underwater Wireless Networks)

  • 김성렬;박성진;유영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C권5호
    • /
    • pp.486-496
    • /
    • 2013
  • 많은 기존 연구들에서 수중 환경에 적합한 시각 동기화를 제안하고 있으나 동기화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높은 채널접근지연이나 노드 간의 상대적 위치에 대한 고려가 없었다. 또한 양방향 메시지 교환 방식을 사용하는 기존 연구에서는 많은 수의 송수신 및 불필요한 오버히어링이 발생하여 네트워크 수명과 처리량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중환경의 특성을 반영한 향상된 시각 동기화 방법을 제안한다. 특히 제안 방법에서는 해수운동과 센서노드가 배치되는 환경의 특성을 활용한 메시지 전송 시점 조절 기법을 소개한다. 또한 채널접근지연이 제거된 타임스탬프를 사용하여 동기화의 정확도를 높인다. 더불어 전원공급 및 교체가 어려운 수중환경에 더욱 적합한 시각 동기화를 위해 제안 방법은 기존 방법보다 적은 수의 송수신으로 시각 동기화를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실험결과를 통해 제안 방법이 비교대상인 TSHL(Time Synchronization for High Latency)과 MU-Sync에 비해 각각 2.5ms, 0.56ms의 시각 동기화 오차를 줄이는 동시에 68.4%의 소비 에너지를 절감하였음을 보인다.

Tracking the Movement and Distribution of Green Tides on the Yellow Sea in 2015 Based on GOCI and Landsat Images

  • Min, Seung-Hwan;Oh, Hyun-Ju;Hwang, Jae-Dong;Suh, Young-Sang;Park, Mi-Ok;Shin, Ji-Sun;Kim, Wonkook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97-109
    • /
    • 2017
  • Green tides that developed along the coast of China in 2015 were detected and tracked using vegetation indices from GOCI and Landsat images. Green tides first appeared near the Jiangsu Province on May 14 before increasing in size and number and moving northward to the Shandong Peninsula in mid-June. Typhoon Cham-hom passed through the Yellow Sea on July 12, significantly decreasing the algal population. An algae patch moved east toward Korea and on June 18 and July 4, several masses were found between the southwestern shores of Korea and Jeju Island. The floating masses found in Korean waters were concentrated at the boundary of the open sea and the Jindo cold pool, a phenomenon also observed at the boundary of coastal and offshore waters in China. Sea surface temperatures, derived from NOAA SST data, were found to play a role in generation of the green tides.

북부 동중국해 수괴 변화 감시를 위한 유종섬모류 분포 적용 (Using Tintinnid Distribution for Monitoring Water Mass Changes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 김영옥;노재훈;이태희;장풍국;주세종;최동림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4권2호
    • /
    • pp.219-228
    • /
    • 2012
  • Tintinnid species distribution has been monitored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ECS) in the summer of 2006 through 2011. This is used to understand the water mass movements in the northern ECS. The warm oceanic tintinnid species had largely spread in 2007 in the area, indicating that there was greater warm water extension into the northern ECS. However the extension of neritic water within the Changjiang diluted water mass has strengthened in 2008 and 2010 because the neritic species distribution had relatively grown in both years. These annual results based on the biological indicators of tintinnid species are well matched with the salinity change in the area. The warm oceanic species, Dadayiella ganymedes had frequently occurred over the study years and had shown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salinity change. This is valuable as a key stone species for monitoring the intrusion of the Kuroshio within the northern ECS. Information from tintinnid biological indicators can support physical oceanography data to confirm ambiguous water mass properties.

지자기 구조해석에 의한 해저년대의 측정과 해산의 자기기기반구조의 연구 (Age Dating of Seafloor by Interpretation of Geomagnetic Structure and Study on the Magnetic Basement of the Sea Mount)

  • 신기철;한건모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5-42
    • /
    • 1990
  • The area where age dating of the seafloor and interpretation of geomagnetic basic structure are conducted is also important in the aspect of geophysics. Near the sea mount (water depth to the top is 3900m and 6500m to the bottom), there are Mesozoic magnetic lineations at the sea-side flank along the trench axis. A two dimensional model analysis of Talwani and Heirtzler(1964) and a three dimensional model analysis of Talwani are performed by using data obtained from the marine proton magnetometer. Distribution, direction of the lineation, amplitude and period of magnetic anomaly are correlated and analysed with speed of the plate movement and lineation of the sea mount. In the west and north-west Pacific there are lots of huge sea mounts retaining the history of oceanic crust. This indicates that geomagnetic basis subsided into the oceanic crust and has interest in the aspects of the isostasy theory of the gravity.

  • PDF

영일만 순환류 발생구조와 해황 특성 (Development Mechanism of Circulation Current and Oceanographic Characteristics in Yeongil Bay)

  • 윤한삼;이인철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40-147
    • /
    • 2005
  • 본 연구는 영일만 수괴의 만내 연안수와 동해 고유수와의 상호관련성과 만내 해수순환류 발생 메카니즘에 대해서 고찰하고자 하였다. 영일만 인근 동해 고유수는 평균수온 $12.2{\sim}18.4^{\circ}C$, 평균염분 $33.32{\sim}34.43$ PSU 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펙트럼 해석결과를 통해 만내 연안수와 동해 고유수는 서로 일정한 주기성을 가지고 있으며, 표층과 저층 모두 약 0.84-0.91년, 1.84년의 주기를 나타내었다. 영일만에 출현하는 바람은 동계를 제외하고 대체로 SW와 NE방향의 왕복성 풍향을 나타내며 동계의 경우에는 SW방향의 풍향이 주로 출현하며, 이는 영일만내 수괴거동에 크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영일만내에서의 하구 해수순환류는 표층에서 형산강 담수의 외해로의 유출과 저층에서 저온-고염의 동해 고유수가 유입되는 현상이 뚜렷하며, 이는 수괴가 안정되는 봄부터 시작하여 여름에 가장 뚜렷하게 나타나며, 그 발생주기는 단주기변동으로 약 10일정도의 주기를 가진다. 이러한 해수의 수평 연직순환류는 조석영향이 미약한 영일만의 경우 내만의 오염물질을 외해로 수송하는 큰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틸트로터 무인기 함상이착륙 위한 파고운동 해석 및 시뮬레이션 (Sea Wave Modeling Analysis and Simulation for Shipboard Landing of Tilt Rotor Unmanned Aerial Vehicle)

  • 유창선;조암;박범진;강영신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2권9호
    • /
    • pp.731-738
    • /
    • 2014
  • 오늘날 무인기는 기술 발전을 통해 육해상의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에서는 육상용 수직이착륙기로 개발된 틸트로터 무인기를 해상에서 운용할 수 있도록 임무영역 확장을 고려하고 있다. 틸트로터 무인기의 효과적인 해상운용을 위해서는 함상이착륙이 필요하지만 해상은 지상에 비해 염분, 연무, 바람등 기상영향을 많이 받는다. 또한 지상과는 달리 선박 운동으로 인한 착륙지점의 운동이 발생하며, 자동 함상착륙을 어렵게 만든다. 이러한 무인기 함상이착륙을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파고에 따른 선박 운동을 모델링 하고, 무인기 시뮬레이터를 통해 시험평가한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A Case Study of Personal and Creative Fashion Design Development: Swirls in Motion - a Goddess and Seashells -

  • Choi, Kyung-Hee
    •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and Fashion
    • /
    • 제6권1호
    • /
    • pp.1-19
    • /
    • 2006
  • This case study is to embody the birth of a beautiful goddess out of seashells in a contemporary fashion design collection, on the basis of the mythology of The Birth of Venus. The main theme attempts to reinterpret the image of the goddess of love and beauty and express the organic vitality of seashells and oceanic feelings by swirls in motion. To accomplish this, three dimensional silhouette of layered forms of voluminous outer and fitted inner is applied to design ideas with spiral curves. The opposite texture of something sculptural and transparent versus smooth and shiny is used to express the layered structure of seashells with the delicacy of goddess. Neutral colours and different tones of pink appeal to oceanic feelings and feminine emotion in a modern way. Various techniques by the geometric simplicity of flat patterns and pleating with boning are also performed to express the vital movement of organism. Throughout the whole process of this case study, the conceptual idea of Swirls in Motion - a goddess and seashells is reinterpreted to a contemporary fashion by personal and creative design development process. In particular, it is evaluated by the process of primary researches, various design developments and experimentations to the main theme.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판 이동의 주된 원동력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Dominant Driving Force of Plate Movement presented in the High School Earth Science Textbooks)

  • 전태환;서기원;이규호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62-77
    • /
    • 2016
  • 초기의 판 구조론에서 지각 판은 연약권 위에 떠서 맨틀의 움직임에 따라 움직이는 수동적인 모습으로 그려졌고, 자연히 해령에서 발산되는 힘이나 암석권 하부의 맨틀 견인력(drag force)이 판을 움직이는 주된 원동력으로 묘사되었다. 하지만 최근 여러 연구들은 판의 이동을 일으키는 원동력이 맨틀의 대류보다는 섭입대에서 침강하는 판이 만드는 섭입판 인력(slab pull)이라고 보고 있다. 최근 학계는 무거운 해양판과 주변 연약권의 밀도 차이가 섭입판 인력의 핵심이라고 설명한다. 해양판의 높은 밀도는 중력에 의해 판이 해구에서 맨틀 속으로 가라앉는 원인이 되며, 이것이 판이 움직이는 가장 큰 원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서의 관련 내용을 검토하고 최근 수십 년 간의 서술 경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5차 교육과정 이래로 지금까지 거의 대부분의 고등학교 교과서가 맨틀 대류를 판 이동의 주 원동력으로 서술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대학교 교재가 개정판을 통해 새로운 학설을 꾸준히 제시해온 것과 대조적인 모습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학생들에게 더욱 정확한 학술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이와 같은 새로운 판 구조론 내용이 해당 교과서 관련 단원에 추가되어야 할 것이다.

북극해에서 입자추적 방법을 이용한 유빙 추적 연구 (Tracing the Drift Ice Using the Particle Tracking Method in the Arctic Ocean)

  • 박광섭;김현철;이태희;손영백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4권6_2호
    • /
    • pp.1299-1310
    • /
    • 2018
  • 본 연구는 북극해에 분포하는 유빙의 움직임을 이해하기 위해 현장관측 자료와 입자 추적 방법을 사용하여 분포 및 이동경향을 분석하였다. 북극해에서 유빙의 움직임은 NOAA(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에서 제공하는 ITP(Ice-Tethered Profiler)의 자료 중에서 2009년부터 2018년 자료를 이용했다. 유빙의 유동은 각 연도별로 분류하고 각각의 ITP 자료를 이용하여 위치 및 속도를 분석하였다. 입자 추적은 HYCOM(Hybrid Coordinate Ocean Model)과 ECMWF(European Centre for Medium-Range Weather Forecasts)에서 제공하는 일별 해류 및 바람 자료를 사용하여 2009년부터 2018년까지의 유빙의 움직임을 모의하였다. 북극해 전역에서 유빙의 이동경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현장관측 자료인 ITP자료를 입력 자료로 이용하여 북극해에서 해류와 바람과의 관계식을 계산하여 라그랑지안 입자 추적을 수행하였다. 입자 추적 시뮬레이션은 해류에 의한, 그리고 해류와 바람에 의한 영향을 고려한 두 종류의 실험을 수행하였고, 대부분의 입자는 해류와 바람의 영향을 고려한 경우에 현장관측 자료와 동일하게 재현되었다. 북극해에서 유빙의 움직임은 바람의 영향을 고려한 관계식을 이용하여 재현되었고, 이를 이용하여 특정 연도의 유빙의 이동경향을 분석하였다. 2010년의 경우 Arctic Oscillation Index(AOI)는 음의 해로 입자들은 보퍼트 환류(Beaufort Gyre)를 따라 명확하게 움직임을 보이고, 극점 인근에서는 상대적으로 더 빠른 속도를 나타낸다. 반면에 2017년의 경우 AOI는 양의 해로 대부분의 입자들은 Gyre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움직임을 보이며 보퍼트 해 (Beaufort Sea) 인근에서 나타나는 이동속도 또한 상대적으로 감소하였고, 극점에서의 이동속도도 감소했다. 2010년과 2017년의 계절적 특징은 2010년도의 유빙의 이동속도는 동계(0.22 m/s)에 증가되고 춘계(0.16 m/s)에 감소되며, 2017년의 경우 하계(0.22 m/s)에 증가되고 춘계(0.13 m/s)에 감소되었다. 결과적으로 입자추적 방법은 제한된 현장관측 자료를 대신하여 북극해에서 유빙의 분포 및 이동경향을 이해할 수 있는 방법으로 위성자료와 연계하여 장기적인 유빙의 탐지 및 이동경향을 이해하는 유용한 방법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