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ceanic $Ni{\tilde{n}}o$ Index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6초

국내 노지 봄배추 생산량에 대한 엘니뇨 영향 (Influence of El Niño on the Production of Spring Kimchi Cabbage in South Korea)

  • 심교문;김용석;정명표;김지원;강기경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30-336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1981년 이후 중간 강도 이상의 엘니뇨가 발생한 해의 노지 봄배추의 단위면적당 생산량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엘니뇨가 발생한 해(n=16)의 전국 평균 노지 봄배추의 생산량은 $4,016{\pm}342kg\;10a^{-1}$으로 미발생한 해(n=20)의 전국 평균 노지 봄배추의 생산량($3,800{\pm}370kg\;10a^{-1}$)보다 단위면적당 216kg 적었지만,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t=1,812, p=0.078). 또한, 엘니뇨가 종료한 해의 전국 평균 노지 봄배추의 생산량이 엘니뇨가 시작한 해와 엘니뇨가 미발생한 해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지만, 이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df=2, f=2.195, p=0.127). 하지만, 강원도와 경상북도에서는 엘니뇨가 종료한 해의 노지 봄배추의 단위면적당 생산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엘니뇨가 시작한 해와 엘니뇨가 미발생한 해보다 줄어드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원인으로 노지 봄배추 재배기간의 일조부족 현상이 1차적으로 조사되었으나, 앞으로 작물기상환경 측면에서 엘니뇨 발생이 작물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2006년과 2007년 여름에 관측한 Hawaii-Chuuk 사이의 물리특성 (Physical Oceanographic Characteristics between Hawaii and Chuuk Observed in Summer of 2006 and 2007)

  • 신창웅;김동국;전동철;김응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3권spc3호
    • /
    • pp.371-383
    • /
    • 2011
  • To investigate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variations of oceanic parameters in the tropical central North Pacific, oceanographic surveys were carried out in summer of 2006 and 2007. The survey periods were classified by Oceanic Ni$\tilde{n}$o Index as a weak El Ni$\tilde{n}$o in 2006 and a medium La Ni$\tilde{n}$a in 2007. The survey instruments were used to acquire data on CTD (Conductivity Temperature and Depth), XBT (Expendable Bathythermograph), and TSG (Thermosalinograph). The dominant temporal variation of surface temperature was diurnal. The diurnal variation in 2007, when the La Ni$\tilde{n}$a weather pattern was in place, was stronger than that in 2006. Surface salinity in 2006 was affected by a northwestward branch of North Equatorial Current, which implies that the El Ni$\tilde{n}$o affects surface properties in the North Equatorial Current region. Two salinity minimum layers existed at stations east of Chuuk in both year's observations. The climatological vertical salinity section along $180^{\circ}E$ shows that the two salinity minimum layers exist in $2^{\circ}N{\sim}12^{\circ}N$ region, consistent with our observations. Analysis of isopycnal lines over the salinity section implies that the upper salinity minimum layer is from intrusion of the upper part of North Pacific Intermediate Water into the lower part of South Pacific Subtropical Surface Water and the lower salinity minimum layer is from Antarctic Intermediate Water.

엘니뇨/라니냐가 북서태평양 아열대 난수역과 북부동중국해의 중형동물플랑크톤 생체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l Niño/Na Niña on Mesozooplankton Biomass in the Northwestern Subtropical Pacific Warm Pool and the Northern East China Sea)

  • 강형구;신창웅;전동철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7권3호
    • /
    • pp.189-200
    • /
    • 2015
  • Mesozooplankton biomass including total biomass and size-fractionated biomass and the abundance of major taxonomic groups of copepods were studied in the Northwestern Subtropical Pacific Warm Pool (NSPWP) and the Northern East China Sea (NECS) from 2006 to 2014. Mesozooplankton biomass ranged from 0.69 to $3.08mgC/m^3$ (mean $1.12mgC/m^3$) in the NSPWP and from 10.60 to $69.10mgC/m^3$ (mean $30.33mgC/m^3$) in the NECS with higher values in spring than fall. Percent composition in the biomass of each size group of mesozooplankton varied interannually both in the NSPWP and in the NECS. The smallest size group (0.2~0.5 mm) contributed the least to total biomass in both regions, but significantly higher in the NSPWP than in the NECS. The percent composition in abundance of copepod taxonomic groups (i.e. Calanoida, Cyclopoida, and Poecilostomatoida) also fluctuated interannually. Mean composition of calanoid copepods was higher in the NECS than in the NSPWP, but the opposite pattern was observed for poecilostomatoid copepods. Mesozooplankton biomass both in the NSPWP and in the NEC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Oceanic $Ni{\tilde{n}}o$ Index (ONI), indicating declines in biomass during El $Ni{\tilde{n}}o$ periods and vice versa during Na $Ni{\tilde{n}}a$ period. The effect of El $Ni{\tilde{n}}o$ on variation of mesozooplankton biomass was more prominent in the NSPWP than in the NEC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esozooplankton biomass both in the NSPWP and in the NECS responded to El $Ni{\tilde{n}}o$ events, although the biological process that explain the reduced mesozooplankton biomass might be different in both regions.

엘니뇨 발생연도의 우리나라의 이상기상 특징과 쌀 수량과의 관계 (Some Meteorological Anomalies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Rice Yield for El Niño Years in South Korea)

  • 심교문;정명표;김용석;최인태;김호정;강기경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43-150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1980년 이후 중간 강도 이상의 엘니뇨가 발생한 해의 이상기상 특징과 쌀 수량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엘니뇨가 발생한 해(n=14)의 전국 평균 쌀 생산량은 $466.3kg\;10a^{-1}$으로 미발생한 해(n=16)의 전국 평균 쌀 생산량 $476.5kg\;10a^{-1}$ 보다 단위면적당 10.2kg 적었지만,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t=1.215, p=0.234). 또한, 엘니뇨 종료해의 전국 평균 쌀 생산량이 엘니뇨 시작해와 엘니뇨 미발생해의 쌀 생산량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df=2, f=2.355, p=0.114). 엘니뇨 발생해의 이상기상 발생횟수는 0.57회/년으로 엘니뇨 미발생해의 이상기상 발생횟수(0.63회/년) 보다 다소 적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엘니뇨 발생해를 시작해와 종료해로 구분하여 이상기상 발생횟수를 조사하면, 엘니뇨 종료해의 이상기상 발생횟수가 0.71회/년으로 엘니뇨 시작해의 이상기상 발생횟수(0.43회/년)와, 엘니뇨 미발생해의 이상기상 발생횟수(0.63회/년) 보다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이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df=2, f=0.321, p=0.727).

ENSO 패턴에 대한 MM5 강수 모의 결과의 유역단위 성능 평가: 플로리다 템파 지역을 중심으로 (Combining Bias-correction on Regional Climate Simulations and ENSO Signal for Water Management: Case Study for Tampa Bay, Florida, U.S.)

  • 황세운;호세 헤르난데즈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43-154
    • /
    • 2012
  • 수자원의 수요 증가와 ENSO (El Ni$\tilde{n}$o/La Ni$\tilde{n}$a Southern Oscillation) 등의 기후변화 현상으로 인한 수자원 공급의 불안정 요소가 제기됨에 따라, 수자원 관리 계획 수립 시 장/단기강우 모의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플로리다 템파 지역의 두 개 유역을 대상으로 1986년부터 2008년까지의 MM5 지역기후모델을 이용한 강우모의 결과를 시험지역의 33개 관측자료와 CDF-mapping 기법을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보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ENSO 패턴에 따른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보정된 MM5일 강우 모의결과는 대체적으로 각 관측소의 월 평균 강우량 (ME: 1.0mm)을 잘 모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블락-크리깅 기법을 이용하여 추정된 유역 평균 일/월 강우량 또한 관측치를 잘 재현하였다(일 강우 ME: 0.8mm, 월 강우 ME: 7.1mm). 한편, ONI (Oceanic Ni$\tilde{n}$o index)를 이용하여 구분한 ENSO 패턴에 따른 강우 모의치를 분석한 결과, 월별 엘리뇨/라니냐 해에 대한 유역 단위의 강우량 모의 성능이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원인으로 한정된 모수화 적용 및 모델 경계자료 오차 등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보정 방법개선 등의 추가 연구의 필요성을 지적하였다. 본 연구는 ENSO 패턴을 고려한 월별 기후모델 결과를 활용함에 있어 유의점을 제시하였기에, 우기와 건기에 대한 수자원 관리를 위한 적용 등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 고랭지배추 생산량에 대한 엘니뇨 영향 (Influence of El Niño on the Production of Highland Kimchi Cabbage in South Korea)

  • 심교문;김용석;허지나;조세라;강기경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79-286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1991년 이후 중간 강도 이상의 엘니뇨가 발생한 해의 고랭지배추의 단위면적당 생산량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엘니뇨가 발생한 해 (n=12)의 고랭지배추의 전국 평균 생산량 (3,444±384kg 10a-1)은 미 발생한 해 (n=14)의 생산량 (3,722±277kg 10a-1)보다 적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t=2.140, p=0.042). 또한, 엘니뇨가 종료한 해의 고랭지배추의 전국 평균 생산량은 엘니뇨가 시작한 해와 엘니뇨가 미 발생한 해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고, 이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df=2, f=3.874, p=0.035). 이것은 고랭지 배추 재배기간의 저온, 일조부족, 강수량 증가 현상이 1차적 원인으로 사료되나, 앞으로 엘니뇨 발생에 따른 악기상 등 각종 농업환경 변화와 고랭지배추의 생산성의 관계 등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엘니뇨와 라니냐가 한국 동해 연안용승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l Niño and La Niña on the Coastal Upwelling in East Sea, South Korea)

  • 서호산;김동선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75-83
    • /
    • 2020
  • 본 연구는 51년 장기(1967-2017년) 수온 관측자료와 ONI(Oceanic Niño Index)를 이용하여 El Niño와 La Niña가 한국 동해 연안용승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수온의 시계열분석 결과 하계 연안용승 발생빈도가 동해남부(울기~감포) 연안에서 가장 높았다. 하계 ONI 가 2.5 이상 급감하는 연변동이 발생한 1987-1988년과 1997-1998년에 동해 전 연안역(부산~고성)의 수온이 4~7 ℃ 급상승하였다. ONI가 1.5 이상으로 El Niño가 강한 1987, 1997년과 ONI가 -0.8 이하로 La Niña가 강한 1988, 1998년 동해 연안역의 수온구조가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El Niño가 강한 시기 연안해역의 이상 수온은 음의 값으로 비교적 차가운 냉수괴가 분포한다. 이는 수온 경계층경사(Baroclinic tilting)가 강해 연안역의 수온 성층 형성 수심이 얕아지기 때문이다. La Niña가 강한 시기는 El Niño가 강한 시기와 반대로 이상 수온은 양의 값으로 수온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수온의 경계층경사가 El Niño가 강한 시기에 비해 약해 수온 성층이 El Niño가 강한 시기보다 깊은 곳에 형성된다. El Niño가 강한 시기 얕은 수심에 수온성층이 형성되는 현상은 하계 남풍계열의 바람에 의한 연안용승이 발생할 확률을 높일 수 있다. 반대로 La Niña가 강한 시기에는 남풍계열의 바람이 지속적으로 불어도 연안용승이 발생할 확률이 작다. 왜냐하면, 수온성층이 El Niño가 강한 시기에 비해 깊은 수심에서 형성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