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cean buoy

검색결과 295건 처리시간 0.03초

태풍 무이파 내습시 서남해안 해양관측부이 기상파랑자료 비교 연구 (Comparison of Weather and Wave Data from Ocean Observation Buoys on the Southwestern Coast of Korea during Typhoon Muifa)

  • 윤한삼;권준혁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70-176
    • /
    • 2012
  • 본 논문은 서남해안 4개의 해양관측부이에서 계측된 해상 기상 및 파랑 자료를 수집하여 태풍 무이파 내습전후의 해상상태를 분석하였다. 태풍이 목포 서쪽 약 230 km 부근 해상에 위치할 때(2010년 8월 7일 21시) 기압 저하에 의한 해수면 상승량은 칠발도 25.64 cm, 거문도 16.43 cm, 거제도 9.60 cm로 산정되었다. 또한 최대파고 발생 시점 비교 결과, 특징적으로 거문도가 칠발도에 비해 약 7시간 앞서 발생하였다. 태풍 내습시 칠발도 해역에서 저수온 현상이 발생하였는데 이는 파랑에너지의 감소 요인으로 작용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태풍 내습시 풍향과 파향은 S 및 W계열이 발달함으로써 바람이 해수를 해상에서 연안(해안) 방향으로 수송하는 외력으로 작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태풍 내습시 각 부이별 기상 및 해양 요소를 상호 비교한 결과, 마라도 부이는 칠발도 부이 결과와는 음의 상관성을, 거문도와 거제도 부이와는 양의 상관성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부이의 특성이 통발어구의 고정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buoy on the holding power of trapnet)

  • 이건호;조삼광;김인옥;차봉진;정성재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3권4호
    • /
    • pp.309-316
    • /
    • 2017
  • In this paper, numerical modeling is conducted to analyze the tension of an anchor line by varying the size and drag coefficient of a buoy when the trapnet is influenced by the wave and the current simultaneously. A mass-spring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behavior of trapnet underwater under the influence of waves and current. In the simulation of numerical model, wave height of 3, 4, 5 and 6 m, a period of 4.4 s, and the flow speed of 0.7 m/s were used for the wave and current condition. The drag coefficients of buoy were 0.8, 0.4 and 0.2, respectively. The size of buoy was 100, 50 and 25% based on the cylindrical buoy ($0.0311m^3$) used for swimming crab trap. The drag coefficient of the trapnet, the main model for numerical analysis, was obtained by a circular water channel experiment using a 6-component load cell. As a result of the simulation, the tension of the anchor line decreased proportional to buoy's drag coefficient and size; the higher the wave height, the greater the decrease rate of the tension. When the buoy drag coefficient and size decreased to one fourth, the tension of the anchor line decreased to a half and the tension of the anchor line was lower than the holding power of the anchor even at 6 m of wave height. Therefore, reducing the buoy drag coefficient and size appropriately reduces the trapnet load from the wave, which also reduces the possibility of trapnet loss.

해양관측을 위한 다중 홉 릴레이 네트워크 기반의 부이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a Buoy System Based on Multi-Hop Relay Networks for Ocean Observation)

  • 이운현;권혁진;김시문;정성훈;김정창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182-189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해양관측을 위한 멀티 홉 릴레이 네트워크 기반의 부이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다양한 센서 모듈과 게이트웨이, 무선 통신부, 원격 모니터링부로 구성된다. 센서 모듈은 다양한 통신 인터페이스와 통합되고 CAN 버스 기반의 단일화된 프로토콜을 통하여 제안하는 부이 시스템의 게이트웨이와 연결된다. 제안한 시스템은 원격 모니터링 사이트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으며 통신 커버리지를 더욱 확대하기 위하여 LTE 통신 및 XBee 메쉬 네트워크 모듈을 사용한다. 필드 테스트를 통하여 제안하는 다중 홉 릴레이 네트워크 기반의 부이 시스템이 다중 홉을 이용하여 부이의 통신 도달 거리를 더욱 확장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르래를 이용한 파력발전기 프로토 타입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the Prototype of Wave Energy Converter by a Pulley System)

  • 정현석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33-139
    • /
    • 2010
  • From the ancient times, there are waves in the ocean. And all the moving body have energy. We have a kind of hope to convert the wave energy into electric one. Finally we can find out a power generator mechanism that mainly use the principle of pulleys. We have made drawings for this and completed the wave energy converter. This wave energy converter consists of several pulleys, rope, generator, buoys and anchors. The distance between an anchor and buoy is changed according to the hight of waves. Several sets of anchors, pulleys and buoys can make the movement of rope, and the ropes wind up a converter axis. In case of 1 meter movement of the buoy, the winding distance will be amplified 2 or 3 times if we use several moving and fixed pulleys. Based on this concept, we developed 2 kind of prototypes. One is for the test in the laboratory and the other is for the field test. Through the two test, we could confirm the usability of this mechanism.

Feasibility study for wrap-buoy assisted wet-tow and stepwise installation of mono-bucket foundation for 15 MW offshore wind turbine

  • Ikjae, Lee;Moohyun, Kim
    • Ocean Systems Engineering
    • /
    • 제12권4호
    • /
    • pp.413-437
    • /
    • 2022
  • An innovative concept for wet-transportation and stepwise installation of mono-bucket foundation for 15 MW offshore wind turbine is proposed. Case studies for two different mono-bucket and wrap-buoy dimensions are conducted and their hydrostatic and hydrodynamic performances are compared for both wet-towing and lowering operations. The intact stability and transient responses are analyzed in detail for various stages of lowering operation. Wave-induced motion statistics during wet tow in sea state 4 (highest operational window) are checked. The proposed concept is found to be feasible and can be an alternative cost-effective solution without using heavy-lift crane vessel in practice.

표층해류 관측을 위한 TGPS Buoy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GPS Buoy for the Ocean Surface Current Measurement)

  • 전호경;함석현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7-38
    • /
    • 1995
  • GPS 측위 방법과 무선 주파수를 응용하여는 연안에서의 해류구조 및 변화에 대한 지속적이고 동시성의 자료를 실시간으로 관측할 수 있는 해류 관측 연구 분야에 적합 한 새로운 장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자료를 재 전송하는 송신 장치(이동 물체: Buoy)와 육상 또는 선박에서 수신하는 수신 기(Receiving system) 및 이를 분석하고 추적하며 처리하는 소프트웨어의 3가지 중요 개발이 이루어 졌다. 특히 시스템 중에서 송신용 및 수신용의 RF Modem은 기존의 유선 방식의 Modem과 달리 무선에서 의 응용으로 해양 자료전송 기술 발전을 가져왔고, 부 표(이동물체)의 위치 추적 소프트웨어는 국내에서 실제로 처음으로 성공한 경우라 할 수 있다. 본 시스템을 기존의 상품화된 표층해류 관측부표(예: 아고스 부표)에 비하여 운용비 및 제작 단가가 저렴하며 실시간 자료 획득이 가능하며 해류관측 뿐만 아니라 각종 해양과 육상에서도 응용이 가능하다.

  • PDF

자망어구 부이의 깃대가 부이줄 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lagpole attached to buoy on tension of buoy rope of gillnet)

  • 조삼광;이건호;차봉진;정성재;김인옥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2권4호
    • /
    • pp.290-298
    • /
    • 2016
  • This study aims to reduce the force exerted to the buoy of the gillnet by wave and current. Five buoy models were selected for experiments and their rope tensions under wave and current action were compared. Five models were EL (ellipsoid), EL-H (ellipsoid-hole), SL (streamlined body), SP (sphere) and CL (cylinder, traditional type). In the first experiment, the Five models were tested without any attachment. In the second experiment, a flagpole was attached to each model. As a result, in the condition without flagpole, the tensions of four models with the exception of the CL were about a half of that of the CL. In the condition with flagpole, the tension of all models was twice larger than that without flagpole. Thus, a new model was suggested to improve the problem, which has a combined body that of a flagpole and a buoy Three new models of CL-L (long and thin cylinder), LF (leaf shape) and LF-F (leaf shape with fin) were designed. Also a cylinder type (CLD) with a flagpole as a control was included in the experiment. As a result, the LF-F had the smallest tension and a half tension of the CLD. Therefore, it is supposed that the flagpole and buoy combined model could reduce the tension on buoy rope and contribute to improve the gillnet loss problem.

해상 브이용 움직임 감시 시스템 (Movement Monitoring System for Marine Buoy)

  • 오진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311-317
    • /
    • 2014
  • 해상 브이는 해상 기상상태에 따라 운동 특성이 변한다. 브이의 운동특성은 브이에 설치된 안테나, 전력공급용 태양광 발전시스템 등의 성능에도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브이의 운동특성을 파악하여 브이 관리 및 상태 확인에 활용하는 것은 중요하다. 브이 움직임 감시 시스템은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등부표의 운동 상태를 측정하며 측정된 값은 신호처리 알고리즘에 따라 육상의 PC에 전송한다. 본 연구에서는 움직임 감시 시스템을 적용하여 해상용 브이의 상태를 체계적으로 감시 및 관리 메카니즘을 구축하고자 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본 논문에서 설계한 브이용 움직임 감시시스템은 향후 브이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거나 해상구조물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연구 분야 등에 적용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다.

항로표지용 AIS 및 RTU가 부착된 부유식 등부표의 이출위치 연구 (A Study on the Separated Position of Floating Light Buoy Equipment with AtoN AIS and RTU)

  • 문범식;유윤자;김민지;김태균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13-320
    • /
    • 2022
  • 해상에 설치된 등부표는 기상, 통항선박에 의해 생성된 외력 등에 영향을 받아 위치가 항상 유동적이다. 등부표의 위치는 항로표지용 AIS와 RTU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본 연구는 최근 5년간(2017-2021년) 등부표의 위치데이터를 분석하여 등부표의 최대 이출위치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등부표의 위치데이터는 기본오류가 17.9%가 존재하였다. 또한 분석대상 등부표 197기의 이출위치 오류는 70.64%이고, 장비별로는 항로표지용 AIS 보다는 RTU가 심하였다. 한편, 등부표의 위치데이터를 플로팅한 결과 4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가장 일반적인 침추중심형, 침추를 중심으로 위치가 2개 구역으로 구분되는 침추중심 2분형, 중심이 변동된 중심 이동형 그리고 일정기간 위치가 중심을 벗어나는끌림형이다. 침추중심형(유형-1)을 제외하고는 등부표가 설치된 위치에 따라 유형이 결정되었다. 본 연구는 등부표의 위치데이터를 분석한 첫번째 연구로서 본 연구가 등부표 위치데이터의 품질 향상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지역 파랑 예측시스템과 해양기상 부이의 파랑 특성 비교 연구 (Research on Wind Waves Characteristics by Comparison of Regional Wind Wave Prediction System and Ocean Buoy Data)

  • 유승협;박종숙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15
    • /
    • 2010
  • Analyses of wind wave characteristics near the Korean marginal seas were performed in 2008 and 2009 by comparisons of an operational wind wave forecast model and ocean buoy data. In order to evaluate the model performance, its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observed data from an ocean buoy. The model used in this study was very good at predicting the characteristics of wind waves near the Korean Peninsula, with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model and observations of over 0.8. The averaged Root Mean Square Error (RMSE) for 48 hrs of forecasting between the modeled and observed waves and storm surges/tide were 0.540 m and 0.609 m in 2008 and 2009, respectively. In the spatial and seasonal analysis of wind waves, long waves were found in July and September at the southern coast of Korea in 2008, while in 2009 long waves were found in the winter season at the eastern coast of Korea. Simulated significant wave heights showed evident variations caused by Typhoons in the summer season. When Typhoons Kalmaegi and Morakot in 2008 and 2009 approached to Korean Peninsula, the accuracy of the model predictions was good compared to the annual mean val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