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cclusal changes

검색결과 204건 처리시간 0.026초

Original Article 1 - 부정교합과 차등적 소구치 발치가 치아 크기 부조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emolar extractions on tooth-size discrepancy in malocclusion patients)

  • 김희헌;성상진;문윤식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48권3호
    • /
    • pp.196-204
    • /
    • 2010
  • To establish the ideal occlusal relationship, the values of tooth size and ratio must be in a normal range. In this study, th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of Bolton's anterior ratio and overall ratio using mesiodistal dimensions of teeth measured on diagnostic models of 334 Korean malocclusion patients were calculated and differences in Bolton ratio according to the groups of malocclusion patients were studied. Also the changes that can occur in overall ratio before and after hypothetical tooth extractions were observ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mean anterior ratio of Korean malocclusion patients was $78.0\;{\pm}\;2.69%$, and the mean overall ratio was $91.56\;{\pm}\;2.28%$. 2. The largest value of tooth size ratio could be found in Class III group, followed by Class I and Class II groups in order. However there was no sta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3. The values of overall ratio reduced significantly after premolar extractions in all malocclusion groups, which was much more significant in the extraction of upper second premolar and lower first premolar(U5L4) or upper second premolar and lower second premolar(U5L5). 4. The values of overall ratio reduced significantly after premolar extractions in all 3 groups divided based on Bolton ratio, which was much more significant in the extraction of upper second premolar and lower first premolar(U5L4) or upper second premolar and lower second premolar(U5L5).

Qualitative correlation between postoperatively increased vertical dimension and mandibular position in skeletal class III using partial-least-square path modeling

  • Kim, Na-Ri;Park, Soo-Byung;Lee, Jihyun;Choi, Youn-Kyung;Shin, Sang Min;Choi, Yong-Seok;Kim, Yong-Il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9권
    • /
    • pp.15.1-15.7
    • /
    • 2017
  • Background: This study constructed a partial-least-square path-modeling (PLS-PM) model and found the pathway by which the postsurgical vertical dimension (VD) affects the extent of the final mandibular setback on the B point at the posttreatment stage for the skeletal class III surgery-first approach (SFA). Methods: This study re-analyzed the data from the retrospective study by Lee et al. on 40 patients with skeletal class III bimaxillary SFA. Variables were obtained from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CBCT)-generated cephalograms. Authors investigated all variables at each time point to build a PLS-PM model to verify the effect of the VD on the final setback of the mandible. Results: From PLS-PM, an increase in $VD_{10}$ was found to decrease the absolute value of the final setback amount of the mandible, which reflects the postsurgical physiological responses to both surgery and orthodontic treatment, which, in turn, can be interpreted as an increase in postoperative mandibular changes. Conclusions: To resolve the issue of collinear cephalometric data, the present study adopted PLS-PM to assess the orthodontic treatment. From PLS-PM, it was able to summarize the effect of increased postsurgery occlusal vertical dimension on the increased changeability of the B point position at the posttreatment stage.

교합외상(咬合外傷)이 치주조직(齒周組織)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한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THE EFFECTS OF THE OCCLUSAL TRAUMA ON THE PERIODONTAL TISSUES)

  • 장완식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7-11
    • /
    • 1978
  • The author attempted to observe the histological changes of the periodontal structures induced by trauma from occlusion. Eighteen healthy rabbits were devided into two groups;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Three rabbits were kept as control group, while metal crowns were seated on unilateral lower molar teeth of fifteen rabbits were kept as experimental group. And the interocc1usal distance of the incisal edge was kept 1.5mm from begining to the end of the experimental period. Rabbits of each group consisting with three rabbits were killed at the intervals of three days, one week, two weeks, four weeks, eight weeks. The antagonistic teeth of maxilla including periodontal teeth were excised and decalcified for histologic preparation.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Destructions and ulcer formation of the sulcular epithelium and gingival epithelium occurred and persisted from the beginning of the experiment to the four weeks after experiment. The epithelal attachment were proliferated apically. 2. The pressure site were observed at the apical protion, where they showed compression of the periodontal ligament, thrombosis and congestion of blood vessels and hemorrhages. 3. At the pressure site, there appeared osteoclasts and bone resorption from the first week of experiment and it became more prominent at the second week with the extend into the marrow spaces adjacent to the periodontal membrane. 4. The phenomenon of bone apposition and resorption occurred at the fourth week of experiment. The reverse line of bone trabecular were more prominent. And the reactions were ceased at the eighth week of experiment.

  • PDF

Histological analysis on tissues around orthodontically intruded maxillary molars using temporary anchorage devices: A case report

  • Hui-Chen Tsai;Julia Yu-Fong Chang;Chia-Chun Tu;Chung-Chen Jane Yao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25-136
    • /
    • 2023
  • Before progress was recently made in the application of temporary anchorage devices (TADs) in bio-mechanical design, orthodontists were rarely able to intrude molars to reduce upper posterior dental height (UPDH). However, TADs are now widely used to intrude molars to flatten the occlusal plane or induce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mandible. Previous studies involving clinical or animal histological evaluation on changes in periodontal conditions after molar intrusion have been reported, however, studies involving human histology are scarce. This case was a Class I malocclusion with a high mandibular plane angle. Upper molar intrusion with TADs was performed to reduce UPDH, which led to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mandible. After 5 months of upper molar intrusion, shortened clinical crowns were noticed, which caused difficulties in oral hygiene and hindered orthodontic tooth movement. The mid-treatment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revealed redundant bone physically interfering with buccal attachment and osseous resective surgeries were followed. During the surgeries, bilateral mini screws were removed and bulging alveolar bone and gingiva were harvested for biopsy. Histological examination revealed bacterial colonies at the bottom of the sulcus. Infiltration of chronic inflammatory cells underneath the non-keratinized sulcular epithelium was noted, with abundant capillaries being filled with red blood cells. Proximal alveolar bone facing the bottom of the gingival sulcus exhibited active bone remodeling and woven bone formation with plump osteocytes in the lacunae. On the other hand, buccal alveolar bone exhibited lamination, indicating slow bone turnover in the lateral region.

구조적 대응체 분석법에 의한 골격성 II급 부정교합 환자의 악교정 수술전후의 비교 (A Comparison of pre and post-surgical characteristics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using counterpart analysis)

  • 손병화;경승현;김범수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93-107
    • /
    • 2004
  • Enlow의 구조적 대응체 분석법은 다수의 평균에 의한 정상치와 비교하는 분석법과는 달리 개개인에서 두 개안면의 구성양상이 발달되어온 해부학적, 발육학적 특징의 복합체를 설명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악교정 수술을 시행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 80명(남자 40명, 여자 40명)을 대상으로 구조적 대응체 분석법을 이용하여 수술 전후를 비교하고, 정상교합자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수술에 의해서 주로 하악지 전후방 길이(B3)가 감소되어 상하악의 전후방적 부조화가 해소되었다. 2. 수술에 의해서 하악지의 배열(R3, R4)이 후방으로 재배열되었으며 교합평면(R5)은 후하방으로 회전되었다. 3. 수술후와 정상교합자의 비교결과 수술후에 골격성 III급 양상은 해소되었으나 두개저수준(R1, R2)에서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4. 수술방법에 따른 비교결과 양악수술은 상악골의 길이(A4), 하악지의 배열(R3, R4), 교합평면의 각도(R5)에서 하악수술과 차이를 보였으나 두 그룹간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 한국인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특징을 살펴본 지난 연구에서 골격적 원인은 두개저의 후상방회전, 상악골의 후방위치, 하악지의 전방경사, 하악골체부의 길이증가였는데 본 연구 결과 실제 수술에서 개선되는 요소는 주로 하악지의 전후방 길이 감소, 상악골의 전진이기 때문에 상대적인 개선으로 골격성 III급 양상이 해소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실제적인 수술부위가 상악골과 하악골의 일부에 국한되기 때문이다.

치아이동시 치근 흡수에 따른 치근항체의 역가 변화 (Changes in the Titer of Tooth Root Antibodies Accompanying Root Resorption Associated with Orthodontic Tooth Movement)

  • 박수병;손우성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303-317
    • /
    • 1994
  • 치아이동시 발생되는 치근 흡수에 관련된 특이면역반응의 역할을 연구하기 위해 치근 흡수에 따른 치근항체의 역가 변화를 관찰하였다. 생후 2년된 성견 다섯마리를 실험동물로 사용하였다. closed coil spring을 사용하여 각 실험동물의 상악 6전치에 200-250gm의 함입력을 가하였으며, 하악 6전치를 발거하여 동종항원으로 사용하였다. 발거된 하악 전치의 상아질 부위를 분리하여 6M Guanidine-HCl-10% EDTA(pH 5.0)에서 해리시킨 다음 부유물 만을 투석하여 항원을 준비하였다. 치아를 함입시키기 전 1회 혈청을 채취하고 함입시키면서 매주 간격으로 11회 형철을 채취하였다. 실험 9주째 치근 흡수가 일어나고 있는 상악 6전치를 모두 발거하여 항원의 근원을 제거하였다. 혈청 내 치근항체의 역가는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로 측정하였다. 항체 특이성에 대한 대조군으로 혈청과 치근 항원 그리고 혈청과 관련없는 박테리아 항원(Porphyro monas gingivalis 33277)을 섭씨 25도에서 3시간 반응시켜 모든 과정에서 항원-항체 반응을 측정하였다. 치근 흡수를 관찰하기 위하여 실험 전과 실험 후 한 달 간격으로 방사선 교합사진을 촬영하였고 9주째 발거한 치아의 치근단 부위를 입체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치근항원에 대한 자가항원의 역가 변화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자가항체의 역가는 치아가 함입되면서 즉시 감소하였다가 1주후 다시 증가하였으며 4주째 최고수준에 도달한 다음 다시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흡수 중인 치근을 발거한 직후 급격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치근 항원과 반응시킨 혈청내에서는 항원-항체 반응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관련없는 박테리아 항원과 반응을 시킨 혈청에서는 활성도가 동종 치근 항원에 대한 자가항체의 활성도와 비슷하게 나타났다. 방사선 교합사진 상에서는 육안으로 구별할 수 있는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입체현미경하에서는 치근단 부위의 다양한 흡수 양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Precision TPA로 회전된 편측 구치 치료시 공간변화에 대한 연구 (Spatial changes of the maxillary molar following unilateral derotation with the precision TPA)

  • 김유선;예성필;강대운;전윤식;노준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19-227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치아의 이동양상을 관찰하기 위해 고안된 Calorific machine system(typodont simulation system)과 precision TPA를 이용하여, 근심 회전된 (mesial-in rotation) 상악 대구치를 회전 (derotation)시킨 후 해당 치아 및 반대측 고정 원의 공간변화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우측 상악 제 1대구치를 고정원으로 사용하였고 좌측 상악 제 1대구치를 근심 회전된 치아로 사용하였으며, TPA에 부여한 회전각은 $20^{\circ},\;40^{\circ},\;60^{\circ}$였다. 먼저 수동형의 precision TPA를 제작한 후, TPA의 왼쪽 삽입부위(tag)를 각각 $20^{\circ},\;40^{\circ},\;60^{\circ}$로 구부려 실험하였다. 각 군별 실험은 동일한 조건에서 5회 반복한 후 ANOVA와 Tucky's Studentized Range (HSD) test로 검정 하였다. 실험 결과, 교합면에서는 precision TPA의 구부리는 각도가 증가할수록 회전된 구치의 원심 설측 교두가 근심 설측 방향으로 움직이는 동안, 근심 협측 교두는 협측으로 더 많이 움직였고(p<0.001) 원심방향으로는 더 적게 움직였다. (p<0.001) 시상면에서 회전 구치의 구개측 치근은 더욱 근심으로 움직였다. (p<0.001) 횡단면에서는 회전된 치아가 약간의 정출을 보였다(p<0.001). 고정원으로 사용된 우측 상악 제1대구치는 세 평면에서 의미 있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흰쥐 치수에서 Er:YAG laser에 의한 노출손상에 따른 조직학적 변화 및 CGRP 단백질의 발현 (A HISTOLOGICAL CHANGES AND CGRP EXPRESSION AFTER EXPOSURE INJURY BY ER:YAG LASER IN DENTAL PULP OF RAT)

  • 양재호;박종태;김규탁;김상봉;이난영;이상호;김흥중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1-17
    • /
    • 2008
  • 본 연구는 Er:YAG laser에 의한 치수의 초기 조직반응과 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 (CGRP) 함유 신경섬유의 발현을 비교 평가하고자 시행하였다. Er:YAG laser와 conventional bur를 이용하여 상악 제1대구치의 교합면에 와동을 형성하였다. 와동형성 후 48시간 후에 조직을 처리하여 hematoxylin-eosin 염색과 CGRP 면역조직화학을 시행한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Conventional bur를 이용하여 삭제한 경우, 상아질 바닥면은 균열이 없는 평면의 균일한 모양을 보였으며, Er:YAG laser의 경우에는 상아질의 면은 bur에 비해서 파동형의 불규칙적인 형태와 바닥면에서 상아세관의 주행방향을 따라 미세한 균열을 보였다. 2. Er:YAG laser에 의해 손상 받은 치수에서는 혈관확장과 노출된 치수의 손상부위를 따라 bur에서 손상 받은 치수보다 더 많은 염증세포의 침윤과 상아모세포층의 파괴를 보였다. 3. 노출손상 후에 치수신경 말단에서 CGRP 발현은 bur와 laser군 모두에서 손상을 받지 않은 정상 치수에 비해서 증가된 양상을 보였으며, 그 증가된 정도는 laser의 경우에서 더 강하였다. 위의 결과들을 종합하면, Er:YAG laser가 치수손상을 최소화하여 적용되면 치아우식 제거와 와동형성과 같은 여러 수복치료 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양악 수술 시 상악골 상방 이동에 따른 상기도 변화 (A study of upper airway dimensional change according to maxillary superior movement after orthognathic surgery)

  • 김용일;박수병;김종렬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21-132
    • /
    • 2008
  • 양악 수술 시 상악골의 상방이동을 시행하였을 경우에 상기도의 공간적 구조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술전, 술후, 술후 6개월 후의 간격으로 두부규격방사선사진을 촬영하여 그 변화량을 분석해 보았다. 술전 교정치료를 시행하여 상악은 Le Fort I 골절단술로 상방이동 시행하였고 동시에 하악은 후방이동 시키는 수술을 시행 받은 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22세 1개월, 남자 9명 여자 15명). 상악골 상방이동에 대한 상기도 공간의 변화와 그에 따른 관련성을 조사한 결과, PAS (R)부위는 술후 (T1) 감소하였으나 (p<0.01) 술후 6개월 후(T2)에는 다시 증가하여 술전과 비교 시, 크기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고, PAS (NL) 부위는 술후(T1)와 술후 6개월 후(T2)에서 유의성 있는 크기 증가를 보였다. PAS (OL)의 경우, 술후 (T1)증가를 보이다가 술후 6개월 이후(T2)에서 감소하였다. 연구개의 두께는 술후 (T1) 증가를 보이다가 6개월 이후 (T2) 처음과 같거나 약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FH-uvular 각도는 술후 6개월 이후 증가하였다. 또한 상악골 상방이동에 대한 상기도 공간의 변화를 회귀분석 시행한 결과 양악수술 시 평균 $4.40{\pm}1.14mm$의 상악골 상방이동은 양악 수술 후 상기도 공간의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환자의 하악 소구치 발치를 통한 보상치료 (Camouflage treatment in adult skeletal Class III cases by extraction of two lower premolars)

  • Ning, Fang;Duan, Yinzhong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349-357
    • /
    • 2010
  • 이번 연구의 목적은 성인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환자의 하악 제1소구치 또는 제2소구치 발치 후에 치조골격성 변화와 연조직 변화를 평가하는 데 있다. 28명의 경계선상에 있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환자들이 연구되었다. 모든 환자는 하악 제1소구치 또는 제2소구치를 발치한 후 치료되었으며 치료 전과 치료 후 측모두부방사선사진을 촬영하여 paired t-test를 통해 분석하였다. 치료 후에 골격적으로 유의성 있는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치성변화에 대해 하악 전치각도가 8.1도 정도 감소하였으며 interincisal angle은 7.7도 정도 증가하였다 ($p$ < 0.01). 수평 피개는 5.7 mm로 증가하였으며 ($p$ < 0.01), L1-NB 각은 7.3도 감소하였고 L1-NB 거리는 4.8 mm 감소하였다 ($p$ < 0.01). 연조직 변화에 있어 Li-E, Li-H과 LiRL2 거리는 각각 3.2 mm, 3.4 mm, 4.1 mm 감소하였다 ($p$ < 0.01). 심하지 않은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에 대한 하악 소구치 발치를 통한 교정적인 보상치료는 우수한 교합관계를 달성할 수 있으며 예측이 가능한 치료 대안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