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bservers

검색결과 643건 처리시간 0.023초

관상동맥질환에서 심장풀 스캔의 육안적 평가에 대한 ROC 분석 (ROC Analysis of Visual Assessments Made in Gated Blood Pool Scans of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 이경한;최윤호;이범우;문대혁;궁성수;정준기;이명철;고창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75-181
    • /
    • 1989
  • Visual assessment of regional wall motion abnormality (RWMA) by gated blood pol scan (GBPS) serves as an useful parameter in the diagnosis, functional evaluation, and follow up in various clinical settings, but are still subject to some inherent limitations. On important problem may be the interobserver as well as intraobsever variation that may well be present due to the subjective nature of the interpretation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and reproducibility of visual assessments made in GBPSs, and to observe the degree to which the results would be influenced by observer variation. Fifty two patients with coronary heart disease had resting GBPS and contrast ventriculography within 4 days appall. Contrast ventriculography-showed normal wall motion in 6 patients and the remaining 46 had RWMA in one or more segments. The anterior and left anterolateral views of all 52 GBPSs were analyzed by three independent observers, who selected from 5 scales, their level of confidence that there was RWMA in that segment. Recie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s for each analysis was plotted and the area under the curve $(\theta)$ was used as a parameter representing each observer's performance in his interpretations. The findings of contrast ventriculographies were used as the standard for RWMA. The apical and inferoapical segments showed the best correlation with contrast ventriculography ($\theta=0.90-0.94$, 0.81-0.94, respectively), and the inferior wall showed the poorest correlation $(\theta=0.70-0.74)$. The interpretations of the inferior, septal, apical, and posteroinferior, segments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the observers, but there was significantly better performance in assessment by observer A compared to that by B or C for the anterolateral segments ($\theta=0.87$, 0.78, 0.76, respectively. p<0.01 for A vs B, p<0.05 for A vs C), as well as when all segments were considered altogether ($\theta=0.88$, 0.83, 0.82, respectively. both p<0.05). This was also true for the infero-apical segment between A and C ($\theta=0.09$, 0.81, p<0.05). The intraobserver variation, however, did not appear significant, with only the inferior segment for observer B showing any significant difference when observer A and B repeated the analysis 10 days latt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assessing dyskinesia, with all observers showing a high performance ($\theta=0.98$, 0.87, 0.97, respectively). The visual assessment of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by all three observers correlated well with the calculated value from a semiautomated method (Spearman's r = 0.91, 0.83, 0.83. p<0.01, p<0.05, p < 0.05). The assessment of LV and RV size also correlated well between the three observers (Kendall's w = 0.80, 0.51, p<0.01 for both left and right ventricles). The above findings suggest that RWMA visually assessed by GBPS correlates well with that done by contrast ventriculography. And although the observer's experience or skill may influence the results in certain segments, visual analysis of GBPS may serve as a reliable and reproducible means for evaluating ventricular function.

  • PDF

개인용 컴퓨터에서 재구성한 3차원 전산화단층영상의 두부계측 재현성 (Reproducibilities of cephalometric measurements of three-dimensional CT images reconstructed in the personal computer)

  • 전국진;박혁;이희철;김기덕;박창서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3권3호
    • /
    • pp.171-178
    • /
    • 200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port the reproducibility of intra-observer and inter-observer consistency of cephalometric measurements using three-dimensional (3D) computed tomography (CT), and the degree of difference of the cephalometric measurements. Materials and Methods: CT images of 16 adult patients with normal class I occlusion were sent to personal computer and reconstructed into 3D images using V-Works 3.5/sup TM/(Cybermed Inc., Seoul, Korea). With the internal program of V-Works 3.5/sup TM/, 12 landmarks on regular cephalograms were transformed into 21 analytic categories and measured by 2 observers and in addition, one of the observers repeated their measurements. Intra-observer difference was calculated using paired t-test, and inter-observer by two sample test.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tra-observer measurements (p < 0.05) in four of the categories which included ANS-Me, ANS-PNS, Cdl-Go (Lt), GoL-GoR, but with the exception of Cdl-Go (Lt), ZmL-ZmR, Zyo-Zyo, the average differences were within 2 mm of each other. The inter-observer observations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asurements of the ZmL-ZmR and Zyo-Zyo categories (p < 0.05). With the exception of the Cdl-Me (Rt), ZmL-ZmR, Zyo-Zyo categories, the averag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observers were within 2 mm, but the ZmL-ZmR and Zyo-Zyo values differed greatly with values of 8.10 and 19.8 mm respectively. Conclusion: In general, 3D CT images showed greater accuracy and reproducibility, with the exception of suture areas such as Zm and Zyo, than regular cephalograms in orthodontic measurements, showing differences of less than 2 mm, therefore 3D CT images can be useful in cephalometric measurements and treatment planning.

  • PDF

동공간 거리가 입체시 지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ter-pupillary distance on stereopsis)

  • 감기택;이주환
    • 인지과학
    • /
    • 제14권3호
    • /
    • pp.37-49
    • /
    • 2003
  • 대부분의 입체 영상 시스템은 양안 시차에 의존하여 대상의 깊이를 제공하고 있다. 동일한 장면을 바라보는 경우 응시대상의 수렴각이나 비용시 대상의 양안 시차는 개인의 동공간 거리에 따라 달라지게 되지만, 대부분의 업체 영상 시스템에서는 동공간 거리와 같은 개인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동일한 영상을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동공간 거리가 입체시 지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실험 1에서 응시 대상의 지각된 깊이를, 실험 2 에서 비응시 대상의 상대적인 깊이를 측정하고 각 조건에서 발생된 개인차가 동공간 거리에 의해서 얼마나 잘 설명될 수 있는 지를 살펴보았다. 응시 대상의 지각된 깊이는 응시 대상의 화면시차를 네 단계로 변화시켜 응시 대상과 두 눈에 의해 만들어지는 수렴각을 조작한 후 측정되었고 비응시 대상의 상대적인 깊이는 양안 시차의 크기를 여덟 단계로 조작한 후 측정되었다. 동공간 거리가 긴 사람은 짧은 사람에 비해 시차로부터 지각되는 깊이가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귀 분석결과 지각된 깊이에서의 개인차는 개인의 동공간 거리에 의해서 잘 설명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각 개인의 동공간 거리를 고려하여 입체 영상을 생성한다면 주어진 영상으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개인차의 문제를 줄일 수 있음을 시사하며, 본 연구에서 발견된 회귀 함수들은 동공간 거리가 고려된 업체 영상을 생성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PDF

첨성대 수치와 역할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HUMSUNGDAE'S FIGURES AND FUNCTIONS)

  • 김광태
    • 천문학논총
    • /
    • 제28권2호
    • /
    • pp.25-36
    • /
    • 2013
  • Chumsungdae is an ancient astronomical observatory whose main role was doing 'chunmoon'. It was administrate by a royal advisory agency on state affairs. The observers observed the heaven on the observatory platform, recorded peculiar events, and watched and interpreted the signs displayed in the heaven. Chumsungdae is an stonemasonry which represents almanac principles with its peculiar shapes and the numbers of strata and stones. The numbers were thoroughly invented to match exactly the almanac constants. Chumsungdae is comprised largely of three main parts, namely the square base, the stratified cylindrical body, and the top #-shaped stonework, and the total number of stones is 404. The number of the strata (27) and the height of the cylindrical body (27 尺) stand for the days in a sidereal month (27.3 days), which implies that the motion of the Moon with respect to the stars was given more priority than to the Sun at that time of geocentricism. And the cylindrical body was thoroughly designed to consist of 365 stones, which is of course the number of days in a solar year. In addition, there are 12 strata each under and above the south entrance and this in sum makes the 24 divisions of the year. Also there is 182 stones below the 13th stratum and this represents the number of days in the winter ~ summer solstice period, and the rest 183 stones the vice versa. The #-shaped top stonework was aligned in such a way that one of the diagonals points the direction of sunrise on the winter solstice. The square base also layed with the same manner. The south entrance was built 16 degrees SE, and the upright direction of the right pillar stone coincides with the meridian circle. This was a kind of built-in standard meridian circle facilitating the observations. In a symbolic sense, Chumsungdae was thought as the tunnel reaching the heaven, where the observers wished to be enlightened with the signs and inspirations in need. With the craftsmanship and skill, the builder reinforced the stratified cylindrical body with two sets of #-shaped beam stones, piercing at a right angle at 19th ~ 20th and 25th ~ 26th strata. Likewise, by placing the double #-shaped stonework with 8 beam stones on the platform of the observatory, both the stability of the stonemasonry and a guard rail for the nightly observers were securely provided.

모바일폰용 TFT-LCD와 AMOLED의 색재현성 평가 (Evaluation of Color Reproduction Characteristics of TFT-LCD and AMOLED for Mobile Phone)

  • 박태용;이철희;하영호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5권1호
    • /
    • pp.29-37
    • /
    • 2008
  • 디스플레이 기술이 급격히 발전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종류 또한 다양해지면서 디스플레이의 화질평가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화질평가에는 명암비, 색재현율, 색온도 및 감마 특성 등 물리적인 측정에 의한 정량적인 평가 방법이 사용되어 왔지만, 최종적인 화질의 비교 평가는 관측자가 느끼는 주관적인 인지 화질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에 디스플레이가 가지고 있는 물리적 특성과 관측자가 느끼는 감성 화질 사이의 상관관계를 정립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VESA) Flat Panel Display Measurements(FPDM) version 2.0의 표준에 따른 측정을 통하여 모바일용 TFT-LCD와 AMOLED가 가지고 있는 색재현 특성-명암비, 기준 백색에 대한 색온도, 회색 계조의 색도 일관성 및 감마 특성, RGB 채널별 계조의 감마 특성, 디스플레이 장치의 색역 크기-을 객관적으로 비교 평가한다. 그 다음, 주요평가 항목을 중심으로 일반 관측자뿐만 아니라 색채 전공자에 의한 다양한 주관적 화질 평가를 수행하고, 이 평가 결과를 뒷받침 할 수 있는 정량적인 자료 및 근거를 제시한다. 이를 통해 화질 향상을 위해 색재현 관점에서 TFT-LCD와 AMOLED가 고려해야할 방향을 제시한다.

관찰 예능의 장르화 과정과 스토리텔링 연구 -관찰자의 역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ormative Process of Genre and Storytelling in Observation Entertainment Programs - Focusing on the Role of Observer)

  • 이현중
    • 대중서사연구
    • /
    • 제25권2호
    • /
    • pp.217-245
    • /
    • 2019
  • 최근 5년 사이 한국 방송의 관찰 예능 편중 현상이 심화되었다. 그에 따라 한국 관찰 예능 특유의 소재인 '가족', 그리고 엿보기, 관음증과 같은 키워드들이 주목받기도 했다. 본 논문은 그러한 사회학적 접근이 아닌 장르와 스토리텔링이라는 문화콘텐츠, 서사학적 관점을 바탕으로 관찰 예능을 분석한다. 관찰 예능의 텍스트 내적 성질 파악을 통해 방송콘텐츠로써 관찰 예능이 지닌 가치를 탐색할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한국 관찰 예능의 원류는 리얼 버라이어티로부터 시작한다. 리얼 버라이어티의 '사실성' 논쟁을 거치며, 그 대안적 형태로서 관찰 예능이 등장했다. 화면의 객관성을 최대한 보장하는 다큐멘터리적 양식의 이입, 다수의 출연자를 개별적으로 분리한 옴니버스식 구성, '일상'을 주 공간으로 선정해 시청자의 공감을 끌어내는 전략 등은 관찰 예능에 일관된 패턴을 만들며 하나의 장르화를 이끌었다. 특히 '관찰자'는 관찰 예능의 장르화에 있어 핵심적 요소로 기여했다. 관찰자의 성격화에 따라 프로그램의 주제가 결정되었고, 그에 따른 개별 텍스트 포맷의 변별성이 만들어진다. 관찰자는 관찰 대상을 지켜보는 '관찰자'로서 시청자의 시점을 결정하는 역할을 하고, 동시에 '서술자'로서 프로그램의 서사를 구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관찰 예능의 스토리텔링에 있어서 가장 영향력 있는 존재이자 요소로 기능하는 것이다. 관찰 예능에서 '관찰'은 하나의 형식일 뿐이다. 이 동일 형식 안에서 서사성을 만들고 텍스트별 변별성을 만들어 내는 프로그램 요소는 관찰자이다. 또한 그동안 관찰 예능과 같은 리얼리티 쇼의 주된 명제는 관음의 문제였는데, 관찰자에 의해 걸러진 서술과 전달은 리얼리티 쇼의 선정성 문제, 관음의 문제도 상당 부분 완화시킨다. 이처럼 관찰자를 통해 분석되는 관찰 예능은 TV 속 '리얼리티'의 문화적 의미, 현대 한국 TV 예능 장르의 스토리텔링 전략을 이해하고 예측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관상동맥 석회화 평가에서 저선량 흉부 CT와 관상동맥 석회화검사의 일치도 (Low-dose Chest CT in Evaluation of Coronary Artery Calcification: Correlation with Coronary Artery Calcium Score CT)

  • 김연민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1033-1039
    • /
    • 2023
  • 폐 스크리닝 검사로 이용되고 있는 저선량 흉부 CT는 Scan 범위 내에 관상동맥 석회화에 대한 정보도 함께 포함하고 있어 이를 이용한 관상동맥 석회화 판별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저선량 흉부 CT 검사와 관상동맥 석회화 점수(CACS) 검사를 같은 날 시행 받은 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관상동맥 석회화 점수 검사 결과를 Coronary artery calcium score categories and risks 분류법을 참고하여 4개 그룹(Low: 1〈CACS〈10, Mild: 10〈CACS〈100, Moderate: 100〈CACS〈400, High: 400〈CACS)으로 각각 30명을 선정한 후 관상동맥 석회화 수치 측정 업무에 종사하고 있는 경력 15년차 이상 5명의 방사선사가 저선량 흉부 CT 영상에서 관상동맥 석회화 유무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저선량 흉부 CT 영상에서 5명의 관찰자가 통일되게 판독한 결과가 관상동맥 석회화점수 CT 검사 결과와 일치한 경우는 Low 그룹: 56%, Mild 그룹: 96.6%, Moderate 그룹: 100%, High 그룹: 100%로 나타났다. Low 그룹에서 5명의 관찰자 모두가 석회화를 관찰한 것은 30건 중 17건이었으며, 5명이 모두 판별 불가로 결정한 경우 7건이었다. 무증상 성인을 대상으로 저선량 흉부 CT 검사에서 석회화 점수가 15 이상인 경우에는 관상동맥 석회화를 100% 관찰할 수 있었다. 판별이 가능한 최소 석회화 수치는 1로, 피검자의 체형이 작거나 심장의 움직임이 최소가 되는 시점에서 스캔이 이루어지는 경우 매우 작은 석회화까지도 판별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Decentralized H$\infty$Controller Design-reduced order observers approach

  • Jo, Cheol H.;Lee, Sang-Hyek;Seo, Jin H.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96년도 Proceedings of the Korea Automatic Control Conference, 11th (KACC); Pohang, Korea; 24-26 Oct. 1996
    • /
    • pp.52-55
    • /
    • 1996
  • In this paper, we consider the decentralized reduced-order H$_{\infty}$ controller for the general plant. Simplifying method is suggested for the general plant with the decentralized controller structure. When the controller is reconstructed for the original system, the decentralizability of the controller for the transformed system is generally destroyed with the older method. We solve this problem. For the simplified system, the structure of the decentralized controller is suggested..

  • PDF

Observers for nonautonomous discrete-time nonlinear systems

  • Nam, Kwanghee;Lee, Wonchang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91년도 한국자동제어학술회의논문집(국제학술편); KOEX, Seoul; 22-24 Oct. 1991
    • /
    • pp.1828-1832
    • /
    • 1991
  • We study the observer design problem for nonautonomous discrete-time nonlinear systems. We investigate the structure of nonautonomous discrete-time systems which are state equivalent to the nonlinear observer form and characterize their class.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for the existence of an input independent (local) diffeomorphism axe derived which transforms multi-input, multi-output nonlinear systems into the nonlinear observer form.

  • PDF

On Assessing Inter-observer Agreement Independent of Variables' Measuring Units

  • Um, Yong-Hwan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7권2호
    • /
    • pp.529-536
    • /
    • 2006
  • Investigators use either Euclidean distance or volume of a simplex defined composed of data points as agreement index to measure chance-corrected agreement among observers for multivariate interval data. The agreement coefficient proposed by Um(2004) is based on a volume of a simplex and does not depend on the variables' measuring units. We consider a comparison of Um(2004)'s agreement coefficient with others based on two unit-free distance measures, Pearson distance and Mahalanobis distance. Comparison among them is made using hypothetical data se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