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ak-mushroom

검색결과 221건 처리시간 0.028초

DEA 모형을 이용한 주업과 겸업 표고재배 임가의 경영효율성 비교 분석 (Management Efficiency of the Full-time and Part-time Oak Mushroom Farms using DEA models)

  • 이성연;전준헌;원현규;이정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4호
    • /
    • pp.639-645
    • /
    • 2014
  • 본 연구는 비모수추정 방법인 자료포락 기법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표고버섯 재배 임가를 대상으로 경영효율성을 평가하였다. 조사자료는 2013년 3월부터 10월까지 실시한 '표고버섯 경영 표준진단표' 적용 결과 중에서 20개 임가의 투입요소와 산출요소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DEA 기법중 CCR 모형과 BCC 모형을 이용하여 기술효율성, 순수기술효율성, 규모효율성을 분석하였고 비효율성 임가의 개선방안도 제시하였다. 추가적으로 주업과 겸업재배임가의 경영효율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표고버섯 재배 임가의 전체기술효율성은 평균 0.655로 나타나 전체적으로 비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비효율성의 원인은 순수기술효율성(0.830)보다는 규모효율성(0.747)에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효율성 값이 1인 표고버섯 재배임가는 DMU2, DMU5, DMU6, DMU8, DMU10, DMU15, DMU20으로 7개 임가로 나타났다. 그리고 DMU7 재배임가의 경영효율성 진단 결과, 투입요소 중 신규접종비와 조성비에서 준거집단과 비교해 볼 때 과도하게 투입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업과 겸업임가의 효율성 비교 결과 겸업임가가 상대적으로 비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그 원인으로 규모효율성이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고품질 표고 생산 지역의 버섯 생산기간중 기후 분석 (Analysis of Climatic Factors during Growing Period of High-Quality Oak Mushroom(Lentinus edodes(Berk) Sing))

  • 손정익;최원석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15-119
    • /
    • 2000
  • 표고버섯은 담자균류 송이과에 속하는 식용 버섯으로, 영양 성분 및 약리적 효능이 높기 때문에 동양인에게 중요한 버섯이며, 점차로 생산량과 소비량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품질 표고버섯 생산시기의 기상자료를 분석하여 표고버섯의 품질에 영향을 주는 생육 환경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1997~1998년 국내 고품질 표고버섯이 생산되는 지역중 3지역(부여, 원주, 장흥)을 선정하였다. 표고버섯의 다량 발생시기 20일 기준으로 기상분석시기 15일을 선정하였다. 환경요인으로는 발생시기의 일 온도차, 일습도차, 일평균온도, 일 평균습도 및 풍속을 분석하였다. 발생기간중의 일 평균온도는 버섯 발생 온도 하한치인 $7^{\circ}C$ 이하에서 적정온도 $20^{\circ}C$까지의 변화를 보였고, 일 온도차는 주간에는 $7~20^{\circ}C$, 야간에 $0~-2^{\circ}C$의 범위를 나타냈다. 일평균습도 50~70%으로 강우에 따라서 변화 폭이 컸으며, 일습도차는 40~60%의 차를 나타냈다. 풍속은 1~4m.$s^{-1}$이었다 .따라서 화고, 동고의 생육환경은 일반적인 표고버섯의 적정 생육 조건과는 큰 차이를 보였다. 생육기간동안의 일 온도차, 일습도차, 저 습도, 풍속 등의 환경 조건은 고품질 표고버섯 발생의 요인의 하나라고 추정된다. 이 연구결과는 버섯의 시설재배시 고품질 표고버섯 생산을 위한 환경조절기술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장마철 표고(Lentinula edodes) 재배사내 발생 유해 진균류의 동정 (Identification of fungal species in oak mushroom cultivation houses during the rainy season)

  • 정상욱;장은경;최선규;이원호;반승언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66-70
    • /
    • 2021
  • 표고 재배사내 진균류의 발생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골목에서 발생한 진균류를 분리·동정하고 재배사내 온·습도 환경을 분석하였다. 표고골목에서 발생한 진균을 분석한 결과 Cladosporium sp., C. cladosporioides, C. anthropophilum, Pleosporales sp., Trichoderma harzianum, Acremonium sp. 6종으로 확인되었다. 재배사내 환경을 조사한 결과는 5월 1일부터 10월 12일 사이에 재배사내 최고·저 온도가 14.0~30.1℃, 평균습도는 82.8%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표고 재배과정 중 진균류의 발생이 활발한 초여름부터 가을철 사이에 철저한 재배관리가 중요하며, 한번 발병한 진균류는 연중 재배사내 생존이 가능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사전에 유해 진균류 발생에 유리한 생육환경을 예방해야 한다.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irborne Mushroom Damaging Trichoderma spp. from Indoor Air of Cultivation Houses Used for Oak Wood Mushroom Production Using Sawdust Media

  • Kim, Jun Young;Kwon, Hyuk Woo;Lee, Dong Hyeung;Ko, Han Kyu;Kim, Seong Hwa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5권6호
    • /
    • pp.674-683
    • /
    • 2019
  • Some species of the Trichoderma genus are reported as the major problem in oak wood mushroom production in Korea. In spite of economic loss by the fungi, scientific information on airborne Trichoderma species is not much available. To generate information for disease management development we analyzed airborne Trichoderma. A total of 1,063 fungal isolates were purely obtained from indoor air sampling of cultivation houses used for oak wood mushroom using sawdust media. Among the obtained isolates, 248 isolates were identified as Trichoderma fungi including T. harzianum, T. atroviride, T. citrinoviride, and T. pseudokoningii, by morphological and molecular analysis. T. harzianum was dominant among the four identified species. All the four Trichoderma species grew fast on solid nutrient media tested (potato dextrose agar [PDA], malt extract agar [MEA], Czapek's Dox + yeast extract agar [CYA] and cornmeal dextrose agar). Compact mycelia growth and mass spore production were better on PDA and CYA. In addition, T. harzianum and T. citrinoviride formed greenish and yellowish mycelium and spores on PDA and CYA. Greenish and yellowish pigment was saturated into PDA only by T. pseudokoningii. These four Trichoderma species could produce extracellular enzymes of sawdust substrate degradation such as β-glucosidase, avicelase, CM-cellulase, amylase, pectinase, xylanase, and protease. Their mycelia inhibited the growth of oak wood mushroom mycelia of two tested cultivars on dual culture assay. Among of eleven antifungal agents tested, benomyl was the best to inhibit the growth of the four Trichoderma species.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airborne Trichoderma fungi need to be properly managed in the cultivation houses for safe mushroom production.

표고버섯 분말 첨가 냉동쿠키 제조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Iced Cookie Prepared with Dried Oak Mushroom (Lentinus edodes) Powder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정은경;주나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21-128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 optimal composite recipe of nutritional cookies containing oak mushroom (Lentinus edodes) powder that has a high preference score. Oak mushroom(Lentinus edodes) is considered a significantly wholesome food. In addition, the dried oak mushroom(Lentinus edodes) has a better flavor and more nutrients than the fresh oak mushroom since vitamins are activated during the drying process. Wheat flour was partially substituted with Lentinus edodes powder to reduce its content. The optimal sensory composite recipe was determined by making iced cookies which have the advantage of long storage, at 3 concentrations of Lentinus edodes powder, yellow sugar and butter, using the central composite design. In addition, the mixing condition of Lentinus edodes powder cookies was optimized by subjecting the cookies to a sensory evaluation and instrumental analysis using th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RSM). The effects of the addition of the three variables on the quality of Lentinus edodes cookies were assessed in terms of texture, color, spread ratio and sensory evaluation. The results of the sensory evaluation produced very significant values for color, appearance, texture, overall quality(p<0.05), flavor(p<0.01) and the results of instrumental analysis showed significant values in lightness(p<0.05), spread ratio, hardness(p<0.01). As a result, the optimal sensory ratio of Lentinus edodes cookies was determined to be Lentinus edodes powder 10.83g, yellow sugar 61.89 g, and butter 120.0 g.

표고버섯의 톱밥재배에 있어 갈변과 관련된 효소작용 (Enzymatic activities related mycelial browning of Lentinula edodes (Berkeley) Sing)

  • 김영호;유창현;성재모;공원식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5권3_4호
    • /
    • pp.91-97
    • /
    • 2007
  • Shiitake mushroom (Lentinula edodes) is usually cultivated on the oak log. Log cultivation of this mushroom is getting difficult to get oak logs and has a weak point of its long cultivation period. Recently sawdust cultivation is getting increase. It is important to make mycelia browning on the substrate surface. This browned surface in sawdust cultiv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like as artificial bark of the oak log, which protects the other pests and suppresses water evaporation in the substrate. The period for mycelia browning is so long that the sawdust cultivation of Shiitake mushroom can not spread well into the mushroom farms. The development of methods for the rapid mycelia browning is quite required. In this article we would like to discuss about the enzymatic activities related mycelia browning and search the methods of cultivation period reduction.

  • PDF

한국 버섯산업의 발전사 (History of Mushroom Industry in Korea)

  • 유창현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8
    • /
    • 2003
  • 한국의 버섯재배는 1960년대 초에 정부에서 농산물 수출과 농민의 소득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양송이와 표고의 증산계획을 세워 시작하였다. 농촌진흥청 산림청 등 국가 연구기관에서는 유전적 소질이 우수한 품종의 육성, 양질의 종균보급, 고품질 버섯을 대량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농민에게 재배기술을 교육하고 현지 지도를 하였으며, 재배시설비 등을 정책적으로 지원하였다. 재배방법이 개발되어 농가에서 대량으로 생산하기 시작한 버섯종류는 표고, 양송이, 느타리버섯, 팽이, 영지, 큰느타리버섯 등이다. 현재 버섯을 재배하는 농가는 약 2만호, 생 버섯의 총 생산량은 약 17만톤으로 느타리버섯이 가장 많고 다음이 팽이, 표고, 양송이 순으로 많다. 버섯의 총 농업생산액은 7,000억원을 넘으며, 연중생산이 가능한 농가의 중요한 소득작목으로 발전하였다.

  • PDF

표고 톱밥 재배에서 저온 및 변온 처리가 표고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ow and Alternated Temperature Treatments on Quality of Oak Mushroom in Sawdust Culture)

  • Park, Kyoung-Sub;Son, Jung-Eek;Yoon, Gap-Hee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1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 /
    • pp.43-44
    • /
    • 2001
  • Recently the sawdust culture of Lentinus edodes(Berk.) has been gradually extended replacing the log cultivation in Korea. It is indeed able to reduce the use of log and cultivation period in controlled facilities, but is not yet able to produce the high-quality mushroom.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s of low and alternated temperature treatments during the fruiting period on the quality of oak mushroom. At low temperature treatments of 1$^{\circ}C$ and 10$^{\circ}C$, the crack, lightness, hardness, and other characteristics for the high-quality oak mushroom were not improved. However, the crack, brightness, and hardness of cap were increased at alternated temperatures of 5-10$^{\circ}C$ than the other temperature treatments. In conclusion, the alternated temperature treatments were more effective than the low temperature treatment for improving the indices of high-quality oak mushroom such as the crack, brightness and hardness of cap.

  • PDF

유청과 표고버섯 추출물의 혼합 발효를 통한 기능성 음료 제조 (Preparation of a Functional Drink by Mixed Fermentation of Oak Mushrooms Extract and Whey)

  • 양희선;조준희;최유진;정후길;박태영;진성우;최봉석;서경순;허창기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2권2호
    • /
    • pp.111-119
    • /
    • 2014
  • 다양한 기능성을 갖는 유청과 표고버섯을 혼합한 기능성 음료를 개발해 유청의 활용 범위를 높이고자, 유청과 표고버섯을 혼합하여 유산균 발효를 시킨 다음, 발효 전 후 성분 비교, 항산화 활성 평가 및 관능검사 등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고버섯 첨가량에 따른 pH 변화는 버섯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시료구별 큰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산도는 표고버섯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걸 확인하였다. 표고버섯 첨가 유청 발효액의 유산균수는 $10^{11}$까지 확인되어 유산균 음료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발효 전 유청과 발효 후 유청 발효액의 단백질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지방 함량은 0.31%에서 0.63%로 발효 후 유청 발효액이 약 2배 정도 증가하였다. 유리당은 lactose의 경우, 발효 전 4.83%에서 발효 후 2.48~2.61%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발효 전 유청은 196.7 mg%였고, 발효 후 유청 발효액의 경우 260.16~462.16 mg%로 함량이 증가하였다. 발효 전 후 DPPH radical 소거 활성은 유산균 접종 후 즉시 측정한 값과 비교해, 발효 24시간째 측정한 값이 모든 시료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ABTS radical 소거 활성은 DPPH radical 소거 활성 측정 결과와 마찬가지로 발효한 시료가 발효 전 시료에 비해 활성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발효 전 후 산화질소 생성량은 발효 후의 산화질소 생성량이 발효 전의 산화질소 생성량에 비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유청 발효액의 관능평가 결과는 색, 맛 및 종합기호도 항목에서는 1.0% 첨가구에서 4.7, 4.5 및 4.8로 가장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유청 발효액의 브랜딩을 통한 유청 음료의 관능평가 결과, 브랜딩 후 유청 음료는 7~8점 정도의 기호도를 보여 음료로써의 기호도 값을 확보하였다. 표고버섯향 첨가량에 따른 기호도를 보면 0.01% 첨가 시료구에서 모든 항목의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 PDF

시장성이 없는 갈변 표고버섯 (Lentinus edodes) 추출물의 생리활성 검정 (Screening of Physiological Functionality for Unmarketable Browned Oak Mushroom (Lentinus edodes))

  • 강미영;김설이;윤혜정;남석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4호
    • /
    • pp.396-402
    • /
    • 2004
  • 갈변표고버섯을 건강기능성 식품산업의 소재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환원력과 세포 내 활성산소종에 대한 억제효과, 페놀화합물 및 피틴산의 함량, 대식세포의 NO 라디칼과 matrix metalloproteinase9(MMP9) 생성에 대한 제어작용 및 항변이원성을 생리활성의 지표로 갈변반응이 건강기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에탄올추출물의 환원력이 열수추출물보다 전반적으로 우수하였으며 3.32 mg/ml 농도에서 갈변반응은 표고버섯의 환원력이 28%까지 증가시켰다. 갈변과정에서 페놀화합물의 함량은 생표고버섯에 비하여 73%정도 증가된 반면, 피틴산의 함량에 유의한 변화는 일어나지 않았다. 표고버섯 에탄올추출물의 처리는 $100\;{\mu}g/ml$의 시료농도에서 LPS 자극에 의한 대식세포의 NO 생성을 43% 이상 증진시킨 반면 열수추출물은 오히려 17%이상 억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갈변반응이 용매별 추출분획의 NO 및 MMP9의 생성을 제어하는 경향에 변화를 일으키니 않았다. 또한 SOS chromotest를 이용한 항돌연변이 활성의 측정 결과도 mitomycin C가 유발한 돌변변이에 대한 표고버섯 추출물의 억제효과에 갈변반응이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상의 실험 결과는 상품성을 상실한 갈변표고버섯도 다양한 건강기능성 가공식품의 개발을 위한 원자재로 소비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