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TT content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29초

개인 맞춤형 OTT 콘텐츠 미리보기의 사용자 경험 디자인 연구 (A Study on User Experience Design of Personalized OTT Content Preview)

  • 김현우;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7호
    • /
    • pp.283-287
    • /
    • 2021
  • 본 연구는 OTT(Over-the-top) 서비스의 개인 맞춤형 콘텐츠와 미리보기를 사용자 경험 중심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미리보기 시청 경험의 발전 방향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국내 운영 중인 OTT 서비스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콘텐츠 제공 현황을 파악하였다. 또한, 주 사용자인 20-30대를 모집하여 스티븐 앤더슨(Stephen P. Anderson)의 Creating Pleasurable Interface 모형을 토대로 작성한 질문을 통해 설문조사 및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미리보기는 콘텐츠 선택에 도움이 되지만 취향에 맞지 않았으며, 원하는 대로 시청하기 어려워 불편해하였다. 따라서 개선 방향으로는 미리보기 시청의 효율성, 취향성 및 접근성 향상을 위한 기능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OTT 콘텐츠의 사용자 경험이나 미리보기 시청 경험에 관한 연구의 자료로써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행동경제학 관점에서 본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의 지속적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Factors Influencing OTT Continued Use: Focusing on the Behavioral Economics Perspective)

  • 양아정;유세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8호
    • /
    • pp.159-169
    • /
    • 2022
  • 본 연구는 행동경제학(Behavioral Economics) 관점을 적용하여 이용자들이 OTT 플랫폼을 지속적으로 이용함에 있어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였다. OTT 이용자들이 실제 콘텐츠를 시청하고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직접 경험한 후 만족을 느끼는 합리적 요인 외에도 '현상유지 편향(status quo bias)'에 의한 습관적 요인과 지인, 비용 등 상황에 따른 감정적, 심리적 요인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했다. OTT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심층 인터뷰와 선행 연구들을 통해 도출한 4가지 요인(콘텐츠 만족요인, 기능적 만족요인, 관성적 요인, 상황적 요인)에 대한 세부 문항을 구성하고, 국내 구독자 Top3 OTT 플랫폼(넷플릭스, 웨이브, 티빙)의 이용경험이 있는 전국의 20-40대 성인남녀 52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콘텐츠 만족요인'과 '기능적 만족요인', '관성적 요인'이 OTT 지속적 이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관성적 요인'은 국내 OTT 이용자들에게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는 OTT 서비스 이용자들을 완전한 합리성을 갖춘 존재로 전제했던 기존의 선행연구들과는 다르게 제한적 합리성을 함께 고려하여 OTT 지속적 이용 행위에 대한 설명의 범위를 넓혔다는 의의를 가진다.

OTT 서비스와 시청 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티빙(tving)을 중심으로 (Exploring Television Viewing Experience through OTT Service)

  • 최선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91-594
    • /
    • 2013
  • 본 연구는 가장 일상적인 미디어 행위로 볼 수 있는 텔레비전 시청이 OTT서비스로 인해 어떠한 변화를 맞고 있는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OTT 서비스를 분석하고 이용자들을 관찰하여 기존의 시청행위와 어떤 차이를 갖는지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즉시적이고 동시적인 소셜시청(social viewing), 정보공유에 의한 채널 잽핑(channel zapping), 멀티시청(multi viewing), 시청 공간의 탈맥락화로 OTT서비스 시청경험 특성을 설명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텔레비전 콘텐츠 시청은 가족단위 시청에서 개인화 된 행위로 바뀌었고, 타인과 텍스트와 이미지를 통해 시청과 동시에 이야기를 주고받는 소셜시청(social viewing) 행태가 이른바 '목적형 시청'(lean forward)일 경우 심화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특히 해당 콘텐츠에 대한 내용과 평가를 SNS를 통해 시청자간에 공유하면서 OTT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이용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시청행위가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디지털콘텐츠 OTT서비스의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Continuous Intention to Use Digital Content Over-the-Top Service)

  • 안선주;서재이;최정일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105-124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pre-use expectation and the continuous usage intention of the OTT services. Methods: For empirical analysis, the survey for this study was administered with many anonymous people who had previously used any of the OTT services and valid 192 data were analyzed by SPSS and PLS-SEM.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Personalization and understandability in the information quality didn't significantly affect confirmation. Ease of use and search of the system quality significantly affected confirmation. Also, it was found that content diversity, content recency, and content playfulness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 quality significantly affected the expectation confirmation. OTT service fees also significantly affected the expectation confirmation. It also significantly affected perceived usefulness and satisfaction. Finally, satisfaction positively influenced the continuouse intention to use.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relationship of expectation confirmation, perceived usefulness,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 with respect to OTT services through the Post Acceptance Model (PAM). Because system quality, content quality, and service fees meeted users' expectations, OTT services need a strategy that can boost the users' positive perceptions or experiences by reinforcing these three factors.

OTT 서비스의 모바일 앱 UI 디자인 사용성 연구 - 20대 사용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Usability of the OTT Service's Mobile App UI Design - Focused on Users in Their 20s -)

  • 신새미;김태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125-135
    • /
    • 2022
  • OTT 서비스 국내 이용자 수는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기존의 방송 시스템과 다르게 다양한 방식으로 콘텐츠를 소비할 수 있는 OTT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들은 보다 자유롭게 콘텐츠를 소비할 수 있게 되었다. 이처럼 서비스 이용률이 증가하고 소비 패턴이 다양해짐에 따라 사용자의 관점에서 유용하고 편리한 UI 디자인과 사용성이 고려되어야 할 테지만, OTT 서비스의 앱 UI 디자인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OTT 플랫폼 사용률 상위 5개 모바일 앱을 대상으로 UI 디자인 구성요소를 비교, 분석하고, 20대 1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와 심층 인터뷰를 통해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OTT 서비스 모바일 앱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 결과가 향후 OTT 모바일 앱의 UI 디자인 및 사용성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사용자 제어기반 OTT 콘텐츠 검색 알고리즘 (User control based OTT content search algorithms)

  • 김기영;서유화;박병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99-106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비디오 콘텐츠 검색 및 관리를 위하여 OTT 디바이스 내부의 DB 개발과 이와 연동하여 비디오 질의 검색 서비스를 탑재할 인터페이스(리모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서 필수적인 요소인 검색 알고리즘의 개발 방법을 제안한다. 디지털 방송이 시작되고 각 가정에 보급이 됨으로써 사용자들이 선택하여 시청하는 채널 및 프로그램의 수와 종류는 공중파 환경과 비교하여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채널의 수가 수십에서 수백 개로 늘어남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프로그램을 찾기가 점점 어려워지게 되었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콘텐츠 공급자는 소비자의 취향에 맞는 프로그램을 추천해줄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시청자의 시청 패턴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취향을 분석하여 적합한 프로그램을 추천해줄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시청자의 시청 패턴을 분석하여 시청자의 취향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추천해줄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개인의 시청 패턴과 히스토리를 바탕으로 OTT 프로그램의 콘텐츠를 추천하는 알고리즘을 구현하였다.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코로나 19 전후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리뷰 비교분석 연구 - 정서 중심 대처와 노스탤지어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Analysis of OTT Service Reviews Before and After the Onset of the Pandemic Using Text Mining Technique: Focusing on the Emotion-Focused Coping and Nostalgia)

  • 고민정;이상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375-388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팬데믹 전후로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이용자들의 리뷰를 비교분석 함으로써 코로나 19 시대를 살아가는 소비자에 대한 이해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코로나 19 이후 통제감 상실이 회피 동기의 발현으로 이어져 정서 중심 대처 수단으로써의 OTT 서비스 이용과 노스탤지어를 해소해주는 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할 것으로 보고 이를 텍스트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먼저 블로그 제목 분석결과, 코로나 19 이후 넷플릭스 경쟁사에 대한 언급이 줄었으며, 국내 콘텐츠에 대한 소개와 회피-거부 전략으로써의 OTT 서비스 이용이 증가하였다. 이어 블로그 본문 분석결과, OTT 서비스의 실용적인 장점을 중요시한 코로나 19 전과는 달리 코로나 19 이후 콘텐츠의 분위기, 감정, 대사에 초점을 두었으며 코미디와 로맨스 장르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다. 또한, 코로나 19 이전의 현실을 잘 표현한 일상 콘텐츠에 대한 선호가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코로나 19가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처음으로 살펴본 연구로써 코로나 시대의 OTT 서비스 이용자들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OTT 서비스 시장에 실무적 제언을 제시함으로써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OTT 시청에 따른 획득충족이 이용자의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Gratifications Obtained on Behavioral Intention Watching OTT Services)

  • 송근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4호
    • /
    • pp.331-338
    • /
    • 2022
  • 본 연구는 이용과 충족이론을 적용하여 OTT 이용자의 행동 의도를 예측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이용과 충족이론의 핵심 개념인 획득충족의 구성요인으로 콘텐츠 품질, 콘텐츠 다양성, 여가활동 가능성, 오락 추구성, 시청의 편리성, 그리고 요금의 합리성을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획득충족의 구성요인 중 콘텐츠 품질과 콘텐츠 다양성은 유의수준 0.01에서 그리고 오락 추구성과 시청의 편리성은 유의수준 0.05에서 이용자 행동 의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여가활동 가능성과 요금의 합리성은 이용자 행동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이런 분석 결과를 토대로, 기존 미디어를 대상으로 한 연구와 본 연구의 차이점을 설명하고 OTT를 대상으로 이용과 충족이론의 확장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확장된 개인 데이터를 활용한 OTT 서비스 추천 시스템 (Recommendation System of OTT Service using Extended Personal Data)

  • 유희정;김능회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223-228
    • /
    • 2023
  • 정보통신정책연구원에 따르면 OTT 서비스가 처음 등장한 2017년도로부터 4년간 33.4%라는 성장률을 보였다. 또, 한국수출입은행은 지난 2020년 국내 OTT 시장이 7801억원 규모라 발표하였다. 이런 OTT 시장의 발전은 OTT 서비스 플랫폼 간의 경쟁을 부추겨 OTT 서비스의 영상 추천 등과 같은 편의 기능에 대한 이용자 만족이 OTT 서비스 시장 경쟁에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OTT 시장은 사용자의 맞춤형 추천을 위해 여러 데이터를 사용하고 있지만 앱 내부에서의 데이터만을 사용했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개개인의 맞춤형 추천을 위한 앱 외부의 사용자 개인 데이터 활용을 제안하였으며, 설문 조사 결과 사용자의 만족도는 넷플릭스 추천 콘텐츠 대비 제안한 방법을 토대로 한 추천 콘텐츠가 23.72%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 중심의 OTT 서비스 가치가 소비자 인식을 통해 OTT 플랫폼 선택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consumer-oriented OTT service value on OTT platform selection through consumer perception)

  • 이신복;노혜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3호
    • /
    • pp.851-860
    • /
    • 2024
  • 디지털 시대의 도래와 함께 전 세계적으로 확산한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 특히 OTT(Over The Top) 서비스는 소비자들에게 주요 콘텐츠 소비 매체로 자리매김하여 그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OTT 서비스를 소비자 관점에서 미디어 소비 패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소비자 중심의 서비스 가치가 OTT 플랫폼 선택, 소비자 만족도, 브랜드 충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콘텐츠의 다양성, 사용 용이성, 가격성, 브랜드 인지도, 개인화 서비스 등 다양한 요소들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콘텐츠의 다양성, 사용 용이성, 가격성은 소비자 만족도와 브랜드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OTT 플랫폼 선택에도 중요한 동기가 됨을 보여준다. 반면, 개인화 서비스는 예상과 달리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 연구는 OTT 서비스 제공자들이 소비자 중심의 가치를 강화하고 경쟁력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략 수립에 중요한 통찰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