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TM terminal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초

차기 군 위성통신체계 환경에서 이동형 위성단말의 채널 blockage 극복을 위한 확산기반 협업통신 기법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Cooperative Communication with Spread Spectrum to Overcome Channel Blockage for On-The-Move Terminal in Next Generation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s)

  • 박형원;이호섭;윤원식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9C권9호
    • /
    • pp.757-766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차기 군 위성통신체계 환경에서 OTM(On-The-Move) 위성단말의 채널 blockage 신호 손실 보상을 위한 협업통신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협업기법은 인접 OTM 위성단말과 지상 무전기 체계를 통해 데이터를 공유하고 직교확산코드를 이용하여 대역확산 후 동시에 전송한다. 중첩되어 전송된 확산열은 EGC(Equal Gain Combining) 방식으로 결합한다. 성능 분석을 위해 OTM 위성단말의 blockage 채널을 2-state Markov chain으로 모델링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협업단말들의 blockage 채널 상태에 따른 비트오류율을 도출하였다. 성능분석 결과 채널 조건이 더 나은 인접 OTM 위성단말의 협업으로 비트오류율 성능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blockage 확률이 높을수록 협업을 통해 더욱 우수한 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서로 다른 지연을 갖는 확산 열 간 중첩으로 인해 협업단말 수 증가 시 다중접속간섭으로 인한 성능상의 제약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위성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형 위성단말을 위한 개루프 전력제어 알고리즘 (An Open-Loop Power Control Algorithm for On-The-Move Terminal in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s)

  • 이호섭;박형원;윤원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2298-2306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정지궤도 위성을 운용하는 위성통신환경에서 이동형 위성단말의 송신전력제어를 위한 개루프 전력제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위성체로부터 전송되는 비콘 신호를 기준으로 현재 위성채널 상태가 장애물에 의해 LOS가 제한되는 상황인지, 안테나의 위성추적 오차로 인해 발생되는 손실인지 판별한다. 판별된 신호감쇄 원인을 기준으로 안테나 위성추적 오차 시는 RF 출력을 멈추며, 장애물에 의한 채널 단절이 발생될 경우는 전력제어 없이 확산을 통해 데이터 수신 확률을 향상시킨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의 성능분석을 위해 인접위성 간섭 수준과 채널 아웃티지 확률을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 제안하는 알고리즘이 더 높은 성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이동형 위성단말을 위한 20 GHz 대역 채널 특성 분석 (Analysis of Channel Characteristics at Around 20 GHz for Satellite On-The-Move Terminal)

  • 권건섭;허종완;황기민;임철민;유흥균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223-234
    • /
    • 2014
  • 본 논문은 위성통신 시스템에서 OTM(On-The-Move: 이동형) 위성단말이 운용되는 지역의 채널 특성을 분석한 결과를 다룬다. 무궁화 5호 위성의 20 GHz 대역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대전~대천까지 실 주행시험을 수행하였고, 측정 결과를 고속도로 환경과 국도 환경 두 부분으로 구분하여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통계적 분석에는 확률밀도 함수와 Markov 모델을 이용하여 위성 채널의 특성을 분석하였고, 더불어 국도 환경과 고속도로 환경에서 수신 전력의 임계값 설정에 따른 ACD(Average Connection Duration), AFD(Average Fade Duration), LCR(Level Crossing Rate)을 각각 제시하고, 서로 비교하였다.

대전 도심지의 K 대역 위성통신 채널특성 분석 (The Analysis of Channel Characteristics on Downtown of Daejeon for K Band Satellite Communication)

  • 권건섭;허종완;황기민;임철민;유흥균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620-628
    • /
    • 2014
  • This paper describes the analysis results of channel characteristics in the operating area of satellite OTM (On-The-Move) terminal. The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Koreasat-5 and OTM terminal on a test car was measured and recorded in downtown of Daejeon, using the received beacon signal of around 20 GHz. And the measurement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and then compared with highway and national road environments. The statistical evaluation of satellite channel was conducted by using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and Markov model and then presented average connection duration(ACD), average fade duration(AFD), and level crossing rate(LCR) of downtown environment.

Diversity기법을 활용한 Blocking영향 보상 (Blocking Effect Compensation using Diversity Technique)

  • 이희규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38-41
    • /
    • 2017
  • 이동형 위성단말의 운용 환경에서는 장애물로 수신 성능이 감소한다. 하나의 방법으로 Diversity를 적용하여 수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Diversity방법 중 Equal Gain Combining(EGC)방식과 Selective Combining(SC)방식을 적용하여 성능을 분석한다. 분석을 위해 이동형 위성단말로 측정한 결과를 활용한다. 분석결과 SC방식을 사용 시 성능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EGC방식은 rural지역에선 성능향상을 보이지만, urban지역에서는 성능이 나빠지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3차원 지형정보를 연동한 대전 도심지의 K 대역 위성 채널 특성 분석 (The Analysis of Channel Characteristics on Downtown of Daejeon for K-Band Satellite Communication Using 3D Map)

  • 권건섭;허종완;황기민;백성호;유흥균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607-617
    • /
    • 2014
  • 본 논문은 OTM(On-The-Move: 이동형) 위성단말을 위해 통신 지역에서 지형/지물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위성신호의 음영 지역을 분석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지형/지물 정보를 포함하는 3D map을 HTZ warfare M&S(Modeling & Simulation) 도구를 이용하여 수신 신호의 프로파일을 얻고, 이를 Markov 모델을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M&S 데이터의 분석 결과는 대전 도심을 실 주행시험을 통해 확보한 수신 프로파일과 비교하였다. 비교 분석 결과, 수신 프로파일은 약 74.8%의 일치를 보였으며, 가로수 영향 배제시 수신 프로파일의 통계적 분석 결과 또한 유사함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