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OD 규모

Search Result 13,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Analysis of Sediment Characteristic to Rivers in 2007 (2007년 하천유사량 특성 분석)

  • Lee, Yeon-Kil;Kwon, Kyu-Sang;Lee, Jung-Hoon;Kim, Kyung-Hee;Go, Ju-Yoen;Kang, Kyu-Sang;Lee, Jin-Won;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923-92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여주 등 6개 지점에서 유사의 이동이 활발한 시기인 $6{\sim}9$월에 부유사를 측정하여 하천의 유사량 특성을 파악하였다. 측선 배치는 유사채취의 난이도와 채취시간, 하도의 규모 등을 고려하여 등간격의 5개측선수를 적용하였다. 시료분석은 여과법, BW관법, 체분석법으로 수행하여 유사량 산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하였고, 또한 부유사와 하상토 입경분포 분석 결과로 $Od{\acute{e}}n$ 곡선와 입경가적곡선을 작성하여 대상 지점의 유사특성을 파악하였다. 유량에 따른 총유사량의 관계를 도출하기 위해서 실측된 부유사와 수리량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유사의 거동을 이론적으로 모형화한 간접법으로 총유사량을 추정하였다. 국내 하천의 특성에 적합한 총유사량 추정방법이 아직까지 개발되지 않고 이에 따른 연구 또한 미진한 관계로 기존의 총유사량 산정공식들 중 국내에서 비교적 널리 적용되고 있는 Modified Einstein 공식을 선정하여 대상 지점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Modified Einstein 공식으로 추정된 총유사량의 적정성을 검토하기 위한 부가적인 수단으로 Engelund&Hansen(1967년), Yang(1973년, 1979년), Ackers&White(1973년) 공식들을 선정하여 Modified Einstein 공식의 추정치와 그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일반적으로 모든 지점에서 Modified Einstein 방법으로 추정된 총유사량이 유량에 따라 변동이 크고 상관성이 낮게 분석되었으며, 그 외 3가지 방법으로 추정된 결과는 다소의 변동폭을 가졌으나 대체로 유량의 증가에 따라 유사량도 증가하는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각 지점별 유사 유출량과 비유사량을 산정하기 위해서 유량-부유사량관계곡선식과 유량 수문곡선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임진강 수계에 위치한 적성 지점에서 가장 크게 산정되었으며, 구례2 지점에서 가장 적은 값을 가졌다. 6개 지점 중 서로 상 하류 관계를 가지는 낙동과 왜관 지점에서 유사량의 특성 변화를 검토한 결과, 상 하류 간의 반전은 저수위 구간을 제외하고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왜관이 낙동 지점보다 큰 값의 유사 유출량을 나타내었다.

  • PDF

Comparison of the Construction Waste Generated by the Project and the Estimation of the Waste Generation Unit (건설공사 공정별 건설폐기물 발생량 비교 및 폐기물 발생 원단위 산정에 관한 연구)

  • Song, Tae-Hyeob;Seong, Jin-Uk
    • Journal of the Korean Recycled Construction Resources Institute
    • /
    • v.5 no.4
    • /
    • pp.427-434
    • /
    • 2017
  • The generation of construction waste can be divided into a decommissioning phase and a new construction phase, and most of the waste is generated at the decommissioning stage. However, recently, domestic new construction construction has expanded to 150 trillion yards per year, so construction work is increasing rapidly. Especially, as the size of the construction work with much waste of construction waste exceeds 100 trillion, the management of the amount of construction waste in the new construction site is required. Unlike the dismantling work site, the new construction site can separate waste generated by each property, and relatively low foreign matter content is gener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mount of construction waste generated by new construction sites and to calculate the unit amount of construction waste based on this. In addition, since the existing unit cost is centered on concrete and mixed waste, we set the basic unit by setting synthetic resin, waste wood, and waste board as additional items. The basic unit surve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wast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nstruction period.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 new construction site showed that most wastes were discharged in the first 30% and after 70% of the process, and the ratio of mixed construction waste was as high as 45%.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about twice as much waste was produc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standard product.

A Study on Estimation for Freight Transportation Indices on Expressway Using TCS and WIM Data (TCS 및 WIM 자료를 활용한 고속도로 물동량 지표 산정방안에 관한 연구)

  • OH, Junghwa;KIM, Hyunseung;PARK, Minseok;CHOI, Yoonhyuk;KWON, Soonmin;PARK, Dongj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35 no.5
    • /
    • pp.458-467
    • /
    • 2017
  • The expressway of the Korea has an important role in freight movement because 76 percent of the commodity is transported by trucks. However, there has been few indices on the role of expressways regarding freight transportation and truck traffic.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four freight transportation related indices using ITS-related system such as TCS and HS-Wim: total truck's travel miles ($veh{\cdot}km/year$), total freight transport miles ($ton{\cdot}km/year$). efficiency of truck's travel ($veh{\cdot}km/km$), and efficiency of freight movement ($ton{\cdot}km/km$). These truck and freight related indices were estimated and compared by two different data sources: traffic volume data using VDS and OD data using TCS. These indices were designed to estimated on real time and updated every day and mon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