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W method

검색결과 1,236건 처리시간 0.028초

선형열처리를 이용한 Si(100)/Si$_3$N$_4$∥Si (100) 기판쌍의 직접접합 (Direct bonding of Si(100)/Si$_3$N$_4$∥Si (100) wafers using fast linear annealing method)

  • 이영민;송오성;이상연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427-430
    • /
    • 2001
  • 절연 특성이 기존의 SiO$_2$ 보다 우수한 500 두께의 SiN$_4$층을 두 단결정 실리콘사이의 절연막질로 채택하고 직접접합시켜 직경 10cm의 Si(100) /500 -Si$_3$N$_4$/Si (100) 기판쌍을 제조하였다. p-type (100) 실리콘기판을 친수성, 소수성을 갖도록 습식방법으로 세척한 두 그룹의 시편들을 준비하였다. 기판전면에 LPCVD로 500 $\AA$ 두께의 Si$_3$N$_4$∥Si(100) 기판을 성장시키고 실리론 기판과 고청정상태에서 가접시킨 후, 선형열원의 이동속도를 0.1mm/s로 고정시키고 선형 입열량을 400~1125w 범위에서 변화시키면서 직접접합을 실시하였다. 접합된 기판은 적외선 카메라로 계면 접합면적을 확인하고 razor blade creek opening 측정법으로 세정 방법에 따른 각 기판쌍 그들의 접합강도를 확인하였다. 접합강도가 측정된 기판쌍은 high resolut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HRTEM )을 사용하여 수직단면 미세구조를 조사하였다. 입열량의 증가에 따라 두 그를 모두 접합율은 큰 유의차 없이 765% 정도로, 소수성 처리가 된 기판쌍의 접합강도는 1577mJ/$m^2$가지 선형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친수성 처리가 된 기판쌍은 주어진 실험 범위에서 입열량의 증가에 따라 큰 변화 없이 2000mj/$m^2$이상의 접합 강도를 보였다 친수성 처리가 된 기판쌍의 수직단면 미세구조를 고분해능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각인한 결과 모든 시편의 실리콘과 Si$_3$N$_4$사이에 25 $\AA$ 정도의 SiO$_2$ 자연산화막이 존재하여 중간충 역할을 함으로서 기판접합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금속촉매를 이용한 GaN 피라미드 꼭지점 위의 마이크로 GaN 구조 형성 (Formation of GaN microstructures using metal catalysts on the vertex of GaN pyramids)

  • 윤위일;조동완;옥진은;전헌수;이강석;정세교;배선민;안형수;양민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10-113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금속촉매를 이용하여 육각형 GaN 피라미드의 꼭지점 부분에만 마이크로 크기의 GaN 구조를 선택적으로 성장시킬 수 있는 결정 성장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GaN Template 위에 $SiO_2$ 막을 증착하고 3 ${\mu}m$의 원형 패턴을 형성하여 metal organic vapor phase epitaxy (MOVPE) 방법으로 선택적 결정 성장에 의해 GaN 피라미드를 성장한 후, photolithography 공정을 이용하여 피라미드 꼭지점 부분에만 Au화 Cr을 각각 증착하였다. GaN 피라미드 구조의 꼭지점 부근에만 금속이 증착된 시료를 MOVPE 반응관에 장착하고 10분 동안 GaN 마이크로 구조를 성장하였다. 성장 온도는 650, 700, $750^{\circ}C$로 변화를 주어 특성 변화를 알아보았다. 막대 형상의 마이크로 GaN 구조들은 {1-101} 결정면들을 구성하는 6개의 결정면에 대해 각각 수직한 방향으로 성장되었으며 이들 구조들의 형성조건과 모양은 성장온도와 금속의 종류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솔잎과 녹차 추출물이 식중독세균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ine Needle and Green Tea Extracts on the Survival of Pathogenic Bacteria)

  • 박찬성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0-46
    • /
    • 2000
  • 솔잎과 녹차의 물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을 액체배지에 0~2%(w/v)첨가하여 5종류의 식중독세균(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196E, Aeromonas hydrophila,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typhimurium)을 $10^{5}$~$10^{6}$ cells/ml 되게 접종하여 35$^{\circ}C$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솔잎과 녹차의 추출물 종류와 농도에 따른 각 식중독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은 배양액의 생균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이 결과로부터 각 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와 최소사멸농도를 구하였다. 아울러 솔잎과 녹차의 추출물과 보존료인 sodium benzoate로서 각 세균에 대한 생육저해환의크기를 비교하였다. 솔잎추출물은 Gram 양성균(L. monocytogenes, S. aureus)과 Gram 음성균중 A. hydrophila에 대하여 0.4~l.6% 범위내에서 증식을 억제시켰으며 E. coli와 S. typhimurium은 솔잎추출물에 대하여 강한 내성을 나타내었다. 솔잎 추출물은 시험한 5균주에 대하여 사멸작용은 전혀 나타내지 않았다. 반면에 녹차추출물은 시험한 5균주 모두에 대하여 0.2~l.0% 범위내에서 증식을 억제시켰으며 L. monocytogenes를 제외한 모든 균주를 0.5~2.0% 범위내에서 사멸시키는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솔잎과 녹차추출물은 특히 S. aureus와 A. hydrophila에 대하여 보존료(sodium benzoate)보다도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전체적인 항균력의 크기는 녹차 에탄올추출물 > 녹차 물추출물 > 솔잎 에탄올추출물 > 솔잎 물추출물의 순이었다. 이 결과로 미루어 녹차추출물은 다양한 종류의 세균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작용을 나타내는 천연 보존료로서의 활용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다.

  • PDF

미생물(微生物) Inulase에 의(依)한 돼지감자 중의 Inulin분해(分解)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Hydrolysis of Inulin in Jerusalem Artichokes by Fungal Inulase)

  • 김기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8권3호
    • /
    • pp.177-182
    • /
    • 1975
  • 돼지감자를 분석(分析)하여 탄수화합물(炭水化合物)로써 존재(存在)하고있는 Inulin성분량(量)이 12.09% 함유(含有)하고 있음을 확인(確認)하였다. pencillium sp 1을 돼지감자배지(培地)에 배양(培養)하여 과당생산조건(果糖生産條件)을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돼지감자에 대(對)한 최적가수량(最適加水量)은 신선돼지감자 1kg에 대(對)하여 증류수(蒸溜水) 2.5$\ell$이다. 이때의 Inulin 농도(濃度)는 4%(W/V)이였다. 2. opt. temp는 $30^{\circ}C$, opt pH는 Initial pH로 5.0, opt cultcoral period 는 72 hrs 이였다. 3. 배양방법(培養方法)은 500ml shaking flask 에 배지량(培地量)을 50ml로 하고 120oseills/min 으로 shaking culture 가 가장 효과적(?果的)이었다. 4. 질소원(窒素源)으로써는 $NH_4H_2PO_40.1%$ 금속염(金屬鹽)으로써는 $FeSO_47H_2O$ 0.001%, $MgSO_47H_2O$ 0.001%가 가장 효과적(效果的)이었다. 5. 최적배양조건하(最適培養條件下)에서 과당생성(果糖生成)은 72 hrs 까지 계속증가(增加)되었고 최고(最高)의 생산량(生産量)은 95.25%이었다.

  • PDF

온수로 및 온수지에서의 수온상승효과에 관한 조사연구 (An Observational Study on the Temperature Rising Effects in Water Warming canal and Water Warming Pond)

  • 홍종백;홍성범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1-38
    • /
    • 1990
  • The power water flowed out from the multipurpose darn influences the ecosystem approximately because of the low water temperature. An appropriate counter measure to the rising water temperature is needed for growing crops especially when the temperature is below 18˚C in the source of the irrigation water This observational study is practiced in Yong-Doo water warming canal and pond in the down stream of Choong-Ju multipurpose dam and is practiced for analyse and compare the rising effects in actural water temperature by actual measurement with the rising effects of planned water temperatuer by the basic theoritical method and for the help to present the direction in plan establishment through investigate the results afterward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The degree of the rise of the water temperature can be decided by $\theta$x=$\theta$o +K L--v.h (T-$\theta$˚)Then, K values of a factor represen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ter warming canal were 0.00002043 for the type I. and 0.0000173 for the type II. respectively. 2.A variation of water temperature which produced by the difference effective temperature and water temperature in the water warming canal was $\theta$x1 = 16.5 + 15.9(1-e -0.00018x), $\theta$x2 =18.8 + 8.4( 1-e -0.000298x)for the type I. and $\theta$x, = 19.6 + 12.8 ( 1-e -0.00041x) for the type II. 3.It was shown that the effects of the rise of water temperature for the type I. water warming canal were greater than that of type II. as a resultes of broadening the surface of the canal compared with the depth of water, coloring the surface of water canal and installing the resistance block. 4.In case of the type I. water warming canal, the equation between the air temperature and the degree of the rise of water temprature could be made ;Y= 0.4134X + 7.728 In addition, in case of the type II. water warming canal, the correlation was very low. 5.A monthly variation of the water temperature in the water warming canal was the highest in August during the irrigation period and the water temperature rose with the air temperature until August. However, it was blunted after then. 6.A rising degree of water temperature of the practical value in the water warming pond was higher than that of the theoritical equation by 69% for the type I. and 57% for the type II. Accordingly, it was possible to acquire the result near the practical value.$\theta$w-$\theta$o=[1-exp{ -h(1+2$\psi$) . X($\theta$w-$\theta$0)XC Here, C values are 1.69 for the type I. and 1.57 for the type II. 7.It was shown that the effect of the rise of water temperature was favorable when the thermal absorption was to be good by coloring the surface of the water warming pond and removing the bottom osmosis. 8.By enlarging the surface of water in comparison with the depth, and by having dead area of water in the water warming pond, this structure in the water warming pond is helpful for the rise of water temperature.

  • PDF

낙동강 하구 갯벌 퇴적물에서 강을 통한 질산염 유입에 따른 질소순환의 계절 변화 (Seasonal Variation of Nitrogen Loads and Nitrogen Cycling at Tidal Flat Sediments in Nakdong River Estuary)

  • 이지영;권지남;안순모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7권2호
    • /
    • pp.120-129
    • /
    • 2012
  • 낙동강 하구에 위치한 갯벌 퇴적물에서 2005년 7월부터 2006년 9월까지 퇴적물-수층을 통한 산소와 용존 무기질소 플럭스, 그리고 탈질소화율을 계절별로 조사하였다. 현장 조건 수온에서 퇴적물 배양을 통해 측정된 산소 플럭스의 범위는 $-37.0{\sim}0.5mmol\;O_2\;m^{-2}\;d^{-1}$이었고, 수온이 증가할수록 퇴적물에 의한 산소소모가 많아져, 수층에서 퇴적물로의 산소 플럭스가 증가하였다. 탈질소화율은 $4{\sim}2732{\mu}mol\;N\;m^{-2}\;d^{-1}$의 범위로 같은 방법으로 측정한 국내 연안의 결과보다 높은 값을 나타냈고 산소 플럭스와 유사한 계절변화를 보였다. 질소동위원소를 이용하여 측정된 탈질 소화율은 수층에서 퇴적물로 유입되는 질산염 플럭스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Isotope pairing technique에서 계산되는, 총 탈질소화 중 "수층에서 유입된 질산염을 이용하는 탈질소화($D_w$)"도 수층에서 유입되는 질산염 플럭스와 양의 상관 관계를 보여 수층에서 유입되는 질산염이 탈질소화의 계절변동의 원인임을 시사하였다. 여름철에 질산염농도가 높은 담수의 유입 증가가 낙동강 하구 퇴적물로의 질산염 유입과 탈질소화를 촉진시킨 것으로 추정된다. 낙동강 하구 퇴적물에서 생지화학적 과정의 일반적인 패턴 및 경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 측정된 여러 생지화학적 플럭스를 방향과 크기에 따라 분류하여 보았다. 그 결과, 수온과 질산염 유입 변화에 따라서 여름철에는 수층에서 퇴적물로의 산소와 질산염 플럭스가 높게 나타나고 탈질소화도 높은 반면, 여름철을 제외한 나머지 시기에는 이들 플럭스가 낮아, 갯벌 퇴적물의 생지화학적 과정이 낙동강 담수 유입에 민감하게 반응함을 알 수 있었다.

PLGA 분자량에 따른 이중층 독소루비신 미립구의 방출거동 (Effect of Molecular Weight of PLGA on Release Behavior of Doxorubicin for Double-Layered PLGA Microspheres)

  • 박정수;양재찬;육순흥;신형식;이종문;김문석;이해방;강길선
    • 폴리머
    • /
    • 제31권3호
    • /
    • pp.189-193
    • /
    • 2007
  • 항암제인 독소루비신의 지속적인 방출을 위하여 PLGA와 독소루비신의 미립구를 수중유형(O/W) 용매증발 방법을 이용하여 약물의 농도와 고분자의 분자량의 변화에 따른 방출거동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중층 미립구내의 독소루비신의 방출을 분석하기 위하여 형광 분광 광도계를 이용하여 5주 동안 독소루비신의 방출을 보았으며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이중층미립구의 단면과 표면을 확인하였다. 제조된 이중층 미립구는 외부층이 전체적으로 매끄러운 표면과 구형을 나타내고 있었고 이중층 미립구의 단면을 잘라 계면층을 중심으로 하여 내부형태와 외부형태를 구분 지을 수 있었다. 또한 제조된 이중층 PLGA 독소루비신 미립구는 방출 결과를 통하여 저분자량의 고분자를 이용할수록 방출이 빠르다는 것을 확인할수 있었다. 따라서 미립구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고분자의 분자량을 조절함으로써 방출거동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세라마이드 IIIB와 각질층 지질을 함유한 나노에멀젼의 거동 (Behaviour of Nanoemulsions Containing Ceramide IIIB and Stratum Corneum Lipids)

  • 조완구;김경아;장선일;조병옥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31-37
    • /
    • 2018
  • 오일/정제수(O/W) 나노에멀젼은 피부의 투과성을 변화시키는 효과적인 매개체이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콜레스테롤, 팔미틴산과 같은 피부 각질층 지질과 세라마이드 IIIB (CIIIB)의 피부 적용을 위한 콜로이드성 운반체 역할을 하는 나노에멀젼의 제조와 특성화에 초점을 두었다. 나노에멀젼을 최적화하기 위해, 입자 크기, 나노에멀젼 안정성 및 CIIIB의 용해도와 관련하여 유화 공정 조건을 검토하였다. $80^{\circ}C$의 유화 온도 및 PIC (phase inversion composition) 유화법을 통해 입자 크기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CIIIB는 오일 및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다. CIIIB의 농도가 증가하면 나노 에멀젼의 입자 크기가 증가하였다. Lipoid S75-3을 오일 상에 첨가하면 CIIIB의 용해도가 증가하여 DSC 측정에서 보여지는 일부 상호 작용을 나타냈다. CIIIB와 피부 각질층 지질은 결정화 또는 물리적 불안정성 없이 성공적으로 나노 에멀젼에 혼입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피부 각질층 지질을 함유하는 안정한 나노 에멀젼은 피부를 위한 효과적인 보습 시스템으로서 효과적일 수 있다.

수치적 계산을 이용한 Bragg Reflector형 탄성파 공진기의 특성 분석 (Numerical Analysis of Bragg Reflector Type Film Bulk Acoustic Wave Resonator)

  • 김주형;이시형;안진호;주병권;이전국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8권11호
    • /
    • pp.980-986
    • /
    • 2001
  • 5.2GHz 중심 주파수를 갖는 Bragg reflector형 FBAR를 제작하여 주파수 응답 특성을 측정하고, 공진기 구조에서 각 층의 탄성 손실(acoustic loss)을 고려한 주파수 응답의 수치적 계산을 통해서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W과 $SiO_2$쌍을 선택하여 RF sputtering법으로 총 9층의 Bragg reflector를 제작하였고, 공진기의 압전층으로 pulsed dc 전원에 의한 sputtering법으로 AlN과 Al 전극을 증착하여 제작하였다. 제작된 공진기의 반사손실( $S_{11}$)은 중심주파수 5.38GHz에서 12dB이었고 직렬 공진 주파수( $f_{s}$)는 5.376GHz, 병렬 공진 주파수 ( $f_{p}$)는 5.3865GHz로 관찰되었다. 공진기의 성능지수인 유효 전기기계결합계수( $K_{ef{f^2}}$)값이 약 0.48%, 품질계수 ( $Q_{s}$) 값이 411이었다. 수치적으로 계산된 주파수 응답 특성으로부터 AlN 박막의 acoustic 상수들과 Bragg reflector의 반사계수를 도출한 결과 AlN 박막의 material acoustic impedance와 wave velocity는 AlN 고유의 값보다 감소되었으며, AlN 박막의 전기기계 결합계수( $K^2$)값은 c축 배향성 저하에 의해 매우 작은 값(0.49%)을 가졌다. 주파수 대역에서 Bragg reflector의 반사계수는 약 0.99966으로 계산되었으며 약 2.5 GHz에서 9.5 GHz까지의 넓은 반사대역을 나타내었다.다.었다.

  • PDF

이프리플라본을 함유한 생분해성 미립구의 제조와 특성분석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Ipriflavone-Loaded PLGA Microspheres)

  • 이진수;강길선;이종문;신준현;정제교;이해방
    • 폴리머
    • /
    • 제27권1호
    • /
    • pp.9-16
    • /
    • 2003
  • 골다공증 치료제 이프리플라본 (IP)은 조골세포의 분화와 증식을 자극하고 에스트로겐의 존재로 칼시토닌 분비를 강화한다. 조절 가능한 생분해성과 생체적합성으로 인하여 락타이드-글라이콜라이드 공중합체 (PLGA)는 약물방출조절을 연구하는데 가장 적합한 고분자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 IP가 함유된 PLGA 미립구는 일반적인 O/W 용매 증발법으로 제조하였으며, 미립구의 크기는 5~200 $mu extrm{m}$의 범위에 있었다. 미립구의 형태는 SEM으로 관찰하였고, 생체외 방출실험에서 IP 방출량은 HPLC로 분석 하였다. 젤라틴 및 PVA등의 유화제 사용으로 가장 높은 약물 포접율을 얻을 수 있었다. 미립구의 형태, 크기 및 약물 방출 패턴은 PLGA의 분자량 (8, 20, 33 및 90 kg/mol), 고분자용액의 농도 (2.5, 5, 10 및 20%), 유화제의 종류 (PVA, gelatin 및 Tween 80), 초기 약물 함유량 (5, 10, 20 및 30%) 및 교반속도 (250, 500 및 1000 rpm) 등과 같은 여러 제조 변수들에 의하여 조절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생체외 방출실험에서 IP 방출은 제조조건을 조절함으로써 거의 영차방출 형태로 30일 이상으로 지속적이었다 또한, XRD와 DSC로 IP 함유 PLGA 미립구의 물리화학적인 성질을 조사하여 방출메카니즘을 고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