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Nutritional component

검색결과 216건 처리시간 0.024초

A comparative study of nutrient compositions between HongJams prepared from 5 silkworm varieties making white cocoons

  • Nam-Suk, Kim;Sang Kug, Kang;Sung-Wan, Kim;Min Young, Kim;Kee-Young, Kim;Young Ho, Koh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45권2호
    • /
    • pp.84-92
    • /
    • 2022
  • White-Jade silkworm (previously also known as Baegokjam) variety is the most popular silkworm variety that produces white cocoons. In 2021, the market share of White-Jade variety in Korea is very high, accounting for 88% of the silkworm production. Daebaekjam, Dodamsilkworm, Kumkangjam, and Kumokjam varieties, which have recently been established, make white cocoons like White-Jade. In this study, we found that 5 types of HongJams produced from 5 varieties of silkworms producing white cocoons did not show any severe difference in proximate analysis. The amounts of crude proteins, the most abundant nutrient, were between 71.05 ~ 73.38%, and those of crude lipids were 13.89 ~ 14.69% in 5 types of HongJams. In addition,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White-Jade HongJam (WJ) and Daebaekjam HongJam in amino acid compositions. The amount of unsaturated fatty aci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WJ than in the other four types of HongJams, but the omega-6 fatty acids/omega-3 fatty acids ratio was higher in the four types of HongJams. Most of the minerals were higher in four types of HongJams than in WJ, and three heavy metal were not detected in all 5 types of HongJams. Phytochemicals were also most abundant in WJ, but the difference in the amounts were not severe. And pepsin digestibility was the highest for Kumokjam HongJam and the lowest for Dodam-silkworm HongJam, but the difference was not severe. The nutritional component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four new varieties can be used for producing HongJams, and Daebaekjam can replace White-Jade the most as the protein source.

How to develop strategies to use insects as animal feed: digestibility, functionality, safety, and regulation

  • Jae-Hoon, Lee;Tae-Kyung, Kim;Ji Yoon, Cha;Hae Won, Jang;Hae In, Yong;Yun-Sang, Choi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4권3호
    • /
    • pp.409-431
    • /
    • 2022
  • Various insects have emerged as novel feed resources due to their economical, eco-friendly, and nutritive characteristics. Fish, poultry, and pigs are livestock that can feed on insects. The digestibility of insect-containing meals were presented by the species, life stage, nutritional component, and processing methods. Several studies have shown a reduced apparent digestibility coefficient (ADC) when insects were supplied as a replacement for commercial meals related to chitin. Although the expression of chitinase mRNA was present in several livestock, indigestible components in insects, such as chitin or fiber, could be a reason for the reduced ADC. However, various components can positively affect livestock health. Although the bio-functional properties of these components have been verified in vitro, they show positive health-promoting effects owing to their functional expression when directly applied to animal diets. Changes in the intestinal microbiota of animals, enhancement of immunity, and enhancement of antibacterial activity were confirmed as positive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through insect diets. However, there are some issues with the safety of insects as feed. To increase the utility of insects as feed, microbial hazards, chemical hazards, and allergens should be regulated. The European Union, North America, East Asia, Australia, and Nigeria have established regulations regarding insect feed, which could enhance the utility of insects as novel feed resources for the future.

Comparative Study of Camel Milk from Different Areas of Xinjiang Province in China

  • Jing Miao;Shuang Xiao;Jun Wa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674-684
    • /
    • 2023
  • Xinjiang province is the main camel feeding area in China with a large square, and camel milk from different areas have different qualities. By now, there are few reports about the quality of camel milk from different areas of Xinjiang province in China. In this study, seven batches of camel milk and one batch of cow milk were collected, and the contents of fat, protein, lactose, total solid, and nonfat milk solid of these milk samples were determined, as well as the contents of lysozyme and vitamin C. All samples were scored and compared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score and comprehensive weighted multi-index score. As the results, camel milk from different areas showed different contents of fat (4.62%-7.02%), protein (3.34%-3.95%), lactose (3.85%-4.79%), total solid (13.59%-17.00%), nonfat milk solid (8.55%-9.73%), vitamin C (12.10-41.25 ㎍/mL), and lysozyme (8.70-22.80 ㎍/mL), as well as different qualities. This variation would help people to know more about quanlity of camel milk in Xinjiang province. Camel milk from Jeminay showed the best quality, and then followed by camel milk from Fukang, Changji, and Fuhai, while cow milk showed the lowest score. Therefore, Jeminay is the most suitable place for grazing camels. Our findings show the different qualities of camel milk in different distribution areas of Xinjiang province, and provide an insight for the evaluation of camel milk. In the present study, only seven components in camel milk were determined, many other factors, such as cfu, mineral, and other vitamins, have not been considered.

Lycopene Content and Fruit Morphology of Watermelon (Citrullus lanatus) Germplasm Collections

  • Jae-Jong Noh;On-Sook Hur;Na-Young Ro;Jae-Eun Lee;Ae-Jin Hwang;Bit-Sam Kim;Ju-hee Rhee;Jung Yoon Yi;Ji Hyun Kim;Ho-Sun Lee;Jung-Sook Sung;Myung-Kon Kim;Awraris Derbie Assefa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2-32
    • /
    • 2020
  • High-quality and high-phytonutrient watermelon fruits have strong market opportunities besides their health related benefits. Hence, investigating quality and nutritional related traits of watermelon genetic resources could provide important baseline data in breeding for increased lycopene content thereby increasing the marketability of watermelon. To this end, we have examined some fruit morphological traits and lycopene content of 105 genetic resources.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were recorded on the field and inside laboratory and lycopene was measured using spectrophotometric and HPLC methods. Watermelon fruits have shown a diverse morphological characters. Red and pink fleshed fruits dominated in the entire collections. Fruits with higher thickness of rind were found to exhibit less soluble solid content (SSC). Korean origin fruits were characterized by intermediate SSC while USA, RUS, TJK, TKM, TWN, and URY originated fruits had the highest SSC. The lycopene content varied between 41.37 and 182.82 ㎍/g, 2.81 and 163.72 ㎍/g, and 3.54 and 255.47 ㎍/g using HPLC, UV-Vis, and microplate reader instrumnets, respectively. Red- and pink-fleshed fruits had the highest levels of lycopene content compared to the yellow- and orange-fleshed. Lycopene conte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SC, however, no correlations were detected between lycopene and other quantitative fruit morphological characters.

  • PDF

일반쌀겨와 발효쌀겨의 영양성분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Nutritional Components of Non-Fermented Rice Bran and Fermented Rice Bran)

  • 최현임;이복규;김수정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7
    • /
    • 2010
  • 쌀의 도정과정에서 생성되는 부산물인 일반쌀겨와 이 쌀겨를 발효시켜 얻은 발효쌀겨의 영양성분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일반쌀겨의 수분 함량은 10.50%이었으며, 발효쌀겨의 수분 함량은 29.27%이었다. 단백질 함량은 일반쌀겨 15.01%, 발효쌀겨 25.99%로 나타내었다. 지방 함량은 일반쌀겨 17.43%, 발효쌀겨 3.62%를 나타내었다. 조회분은 일반쌀겨 및 발효쌀겨의 함량이 각각 8.80%, 15.45%를 나타내어, 쌀겨 발효 시 수분, 단백질, 회분은 증가하고, 지방과 탄수화물은 감소하였다. 일반쌀겨 및 발효쌀겨의 지방산 조성은 유사하게 나타나, 포화지방산 함량은 일반쌀겨가 17.7%, 발효쌀겨가 20.5%였으며, 일반쌀겨와 발효쌀겨의 불포화지방산 함량은 각각 82.3%, 79.5%의 조성비를 나타내었다. 두 가지 시료의 포화 및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두 가지 시료 모두 palmitic acid, oleic acid 및 linoleic acid의 함량비가 90% 이상을 차지하였다. 일반쌀겨의 지방산은 palmitic acid 15.1%, oleic acid 40.6%와 linoleic acid 39.5%의 조성을 나타내었으며, 발효쌀겨의 palmitic aicd, oleic acid 및 linoleic acid의 조성은 각각 13.2%, 43.2%, 31.3%로 나타났다. 유리당은 일반쌀겨가 fructose 0.5419%, glucose 0.6910%, maltose 6.6692%로 나타내었고, 발효쌀겨의 경우 fructose는 검출되지 않았고, glucose 0.0099%, maltose 0.0039%, sucrose 0.3233%로 나타나 일반쌀겨가 발효되면서 당이 분해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일반쌀겨의 비타민 C 함량은 53 mg/100 g이었고, 발효쌀겨의 비타민 C 함량은 7 mg/100 g으로 나타났으며, 두 가지 시료 모두 비타민 A는 검출되지 않았다. 18종의 무기질을 분석한 결과, 두 가지 시료 모두 Ca, K, Mg 및 Mn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일반쌀겨에는 K이 1,795.71 mg/100 g, Mg이 825.21 mg/100 g의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발효쌀겨는 일반쌀겨보다 더 높아 K이 3,163.67 mg/100 g, Mg이 1,178.94 mg/100 g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총 무기질 함량은 일반쌀겨가 2,748.00 mg/100 g, 발효쌀겨가 4,660.49 mg/100 g으로 발효쌀겨의 무기질 함량이 더 높게 나타났다.

열풍 건조한 돼지감자 분말의 영양성분 및 이화학적 특성 분석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nent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Hot-air Dried Jerusalem Artichoke (Helianthus tuberosus L.) Powder)

  • 김하늘;유석영;윤원병;장선민;장용진;이옥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73-78
    • /
    • 2014
  • 본 연구는 돼지감자를 이용한 가공식품 개발 시 돼지감자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돼지감자의 영양성분 및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돼지감자의 수분함량은 $5.06{\pm}0.08%$, 조회분 $5.04{\pm}0.03%$, 조단백질은 $8.30{\pm}0.26%$, 조지방 $0.70{\pm}0.16%$, 탄수화물은 80.90%이었다. 돼지감자의 총당 함량은 $50.48{\pm}1.11$ mg/g 이었다. 색도를 측정한 결과 L값은 $94.16{\pm}0.03$, a값은 $0.32{\pm}0.01$, b값은 $0.30{\pm}0.01$로 측정되었다. 돼지감자의 수분결합능은 $4.04{\pm}0.16$ g/g, 수분활성도는 $0.245{\pm}0.005$였다. 돼지감자의 총 아미노산은 $1.337{\times}10^4$ mg/kg였고, 그 중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은 2,737 mg/kg였다. 아미노산 중 histidine이 7,305 mg/kg로 가장 많았고 leucine이 184.16 mg/kg로 가장 적은 양을 함유하고 있었다. 유리당은 fructose를 0.8%, maltose는 3.2% 함유하고 있었으며 지방산은 linoleic acid가 0.21%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무기질 함량은 K함량이 2,489 mg%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돼지감자의 비타민 C 함량은 $3.43{\pm}0.07$ mg%으로 측정되었다. 총 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3.06{\pm}0.07$ mg GAE/g, $1.89{\pm}0.03$ mg QE/g으로 나타났다.

민자주방망이버섯(L. nuda)의 영양성분 분석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nents of Lepista nuda)

  • 이양숙;김종봉;신승렬;김남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75-381
    • /
    • 2006
  • 민자주방망이버섯의 식품 영양학적 기능적 평가를 위한 기초연구로서 영양 성분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일반성분은 수분 $90.90{\pm}0.09%$, 탄수화물 $4.38{\pm}0.07%$, 조단백질 $3.70{\pm}0.03%$, 조회분 $0.55{\pm}0.04%$ 그리고 조지방이 $0.47{\pm}0.01%$로 분석되었다. 환원당의 함량은 636.17 mg이었고 유리당은 galactose(51.98 mg), trehalose(22.48 mg), maltose(8.48 mg), mannose(7.96 mg), 그리고 arabinose(6.52 mg) 등의 순으로 모두 97.42mg이 함유되어 있었다. 무기질은 K와 Mg가 각각 103.10 mg과 56.01 mg으로 다른 것에 비하여 함유량이 높았다. 민자주방망이버섯의 구성아미노산은 총 310.39 mg이었고, 이 중 필수아미노산이 111.50 mg이었으며, valine(25.40 mg), leucine(22.52 mg), lysine(21.34 mg) 등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비필수아미노산은 총 198.89 mg이었으며, glutamic acid(60.72 mg), aspartic acid(30.17 mg), alanine(29.72 mg) 등의 함량이 높았다. 유리아미노산은 총 220.86 mg이었으며, 필수아미노산이 36.21 mg으로 isoleucine(21.57 mg), threonine(11.20 mg)의 함량이 높았으며, 비필수아미노산은 184.65 mg으로 glutamic acid(42.78 mg)와 aspartic acid(32.44 mg) 등의 함량이 높았다. 아미노산 유도체의 함량은 총 187.85 mg으로서 hydroxyproline이 121.50 mg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외 citrulline(15.58 mg), ornithine(15.41 mg), $\alpha$-aminoisobutyric acid(11.23 mg) 등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과 부산물의 영양성분 분석 및 항산화 효과 (Nutritional Analyse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pple Pomace)

  • 김지은;신지영;양지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7호
    • /
    • pp.617-625
    • /
    • 2021
  • 사과주스 등 가공처리 후에는 사과의 부산물인 사과박이 다량 발생하며 일부는 동물 사료로 사용되지만 대부분이 산업 폐기물로 처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사과박의 영양성분 및 ursolic acid 함량을 분석하고, 항산화 활성 및 항비만 효과를 측정함으로서 사과박의 기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시료로는 열풍건조 한 사과박과 동결건조 한 사과박을 이용하였으며 추출용매로는 증류수, 발효주정, methanol을 사용하여 사과박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열풍건조 한 사과박과 동결건조 한 사과박의 일반성분 분석 결과 수분함량은 열풍건조한 사과박에서는 3.2%, 동결건조 한 사과박에서는 8.2%로 건조방법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지만 그 외 다른 일반성분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총 식이섬유 함량은 열풍건조 한 사과박에서 28.5%, 동결건조 한 사과박에서 33.0%로 사과의 식이섬유는 주로 세포벽에 존재하기 때문에 가공과정 후에도 부산물에 다량 존재하여 각종 식이섬유 식품의 제조에 있어 유용하게 사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되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열풍건조 한 사과박에서는 methanol 추출물에서 306.7 ㎍/ml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발효주정에서 243.7 ㎍/ml을 나타내었다. 동결건조 한 사과박에서도 마찬가지로 methanol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두 시료 모두 증류수 추출물에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어 사과박에서의 페놀 화합물 추출을 위해서 증류수 보다 methanol이나 발효주정과 같은 알코올성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열풍건조 한 사과박의 methanol 추출물에서 950.1 ㎍/ml, 동결건조 한 사과박의 methanol 추출물에서 925.0 ㎍/ml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열풍건조 한 사과박의 DPPH radical 소거능은 methanol 추출물에서 73.3%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발효주정 추출물에서는 59.4%의 결과값을 나타내었다. 동결건조 한 사과박에서도 methanol 추출물에서 76.1%, 발효주정 추출물에서 66.0%로 열풍건조 한 사과박에서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양성대조구로 사용한 0.1 ㎍/ml ascorbic acid를 시료와 동일한 조건으로 측정하였을 때 79.6%로 본 실험의 methanol 추출물과 비슷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ABTS radical 소거능은 두 시료 모두 methanol 추출물에서 열풍건조 한 사과박에서는 0.330 mM Torolox, 동결건조한 사과박에서는 0.314 mM Trolox에 해당하는 항산화능을 나타내어 세 가지 용매 중 가장 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DPPH radical 소거능에서와 마찬가지로 증류수 추출물에서 가장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열풍건조 한 사과박과 동결건조 한 사과박의 환원력을 측정한 결과 다른 항산화능 측정 실험과는 달리 증류수 추출물에서도 발효주정추출물과 비슷한 환원력을 나타내었다. 또한 양성대조구로 사용한 0.1 ㎍/ml ascorbic acid는 311.5 ㎍/ml의 환원력을 나타내어 모든 실험군에서 양성대조구보다 더 강한 환원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Ursolic acid는 항산화활성이 뛰어나고 중성지방 감소로 인한 체지방 분해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유기산으로 본 실험에서 증류수 추출물에서는 전혀 검출되지 않았으며 두 시료 모두 methanol 추출물에서 열풍건조 한 사과박은 1,753.32 ㎍/ml, 동결건조 한 사과박은 1,407.03 ㎍/ml로 발효주정 추출물에서 보다 더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열풍건조 한 사과박과 동결건조 한 사과박의 항산화활성을 비교하였을 때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동결건조는 열풍건조에 비하여 에너지 소비가 많고 비용이 비싸기 때문에 열풍건조가 산업에 적용하기에 더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methanol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지만, 발효주정 추출물에서도 높은 활성을 보여 화장품 소재 및 기능성 식품 소재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고로쇠나무 수액(樹液)의 화학적(化學的) 성분(成分), 영양가치(營養價置)와 사포닌 함유(含有) 여부(與否)에 관(關)한 연구(硏究) (Chemical Composition, Nutritional Value, and Saponin Content in the Spring Sap of Acer mono)

  • 이경준;박종영;박관화;박훈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4권4호
    • /
    • pp.415-423
    • /
    • 1995
  • 본(本) 연구(硏究)는 한국산(韓國産) 고로쇠나무(Acer mono Max.) 수액(樹液)을 대상(對象)으로 화학적(化學的) 성분(成分), 영양학적(營養學的) 가치(價値), 인삼(人蔘) saponin의 존재여부(存在與否)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실시(實施)하였다. 1994년(年) 2월(月) 25일(日)부터 3월(月) 4일(日) 사이에 전남(全南) 백운산(白雲山)과 지리산(智異山)에서 지상(地上) 50cm 높이 이내(以內)의 수간(樹幹)에 작경(直徑) 1.7cm의 구멍을 뚫고 수액(樹液)을 채취(採取)하여, 당류(糖類)는 high performance ion chromatography(HPIC), 아미노산(酸)은 자동분석기(自動分析器), saponin과 phenol은 thin layer chromatography(TLC)와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HPLC)로 분석하고, saponin 분획물질을 $^1H$$^{13}C$ NMR로 구조를 추적하였다. 단백질(蛋白質), 지방(脂肪), 무기원소(無機元素), 비타민의 함량(含量)도 정량((定量)하였다. 수액(樹液)의 주성분(主成分)은 사당(砂糖)으로써 0.68-2.01% 농도(濃度)로 존재(存在)했으며, 포도당(葡萄糖) 0.03-0.11%, 과당(果糖) 0.01-0.03%, 지방(脂肪) 0.03%이었으며, 아미노산(酸)중에서 threonine 0.152%, lysine 0.038%, arginine 0.068%으로 나타났다. 회분(灰分)은 0.1%, Ca 175ppm, Fe 2ppm, P 19ppm, K 16ppm, Na 31ppm이고, vitamin $B_1$ 0.6ppm, vitamin $B_2$ 0.1ppm, vitamin C 19ppm이었다. phenol류(類)가 미량(微量)으로 검출(檢出)되었으며, saponin은 TLC와 HPLC, NMR 분석에서 모두 존재(存在)를 확인(確認)할 수 없었다. 비교치(比較値)로 분석(分析)한 당단풍나무의 수액(樹液)은 고로쇠나무와 비슷했으며, 거제수나무와 자작나무의 수액(樹液)에서는 사당(砂糖)대신 포도당(葡萄糖)과 과당(果糖)이 검출(檢出)되었다. 고로쇠나무의 수액(樹液)은 사당(砂糖), 포도당(葡萄糖), 과당(果糖), 아미노산(酸), 칼슘, 철분(鐵分) 그리고 세 가지 비타민류(類)가 포함(包含)되어 있어서 자연음료(自然飮料) 혹은 건강음료(健康飮料)로써 충분한 영양학적(營養學的) 가치(價値)를 가지고 있다고 판단된다.

  • PDF

무청의 항균, 항산화 및 항혈전 활성 (Antimicrobial, Antioxidant and Anticoagulation Activities of Korean Radish (Raphanus sativus L.) Leaves)

  • 이예슬;권경진;김미선;손호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228-235
    • /
    • 2013
  • 우리나라 대표 채소중의 하나인 무의 지상부는 과거 채소가 귀했던 겨울철 주요한 단백질, 비타민, 미네랄, 식이섬유 공급원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무청김치 및 우거지 등으로 식용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의 도시와 농촌의 격리, 산업화의 정착, 식생활 습관의 변화 등으로 인해, 무청은 대부분 폐기되고 있는 실정이며, 무청의 효율적인 이용 및 유용생리활성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무청을 이용한 새로운 건강식품소재 개발 연구의 일환으로 조선무의 무청을 대상으로 ethanol 추출물 및 이의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물들을 조제하여, 이들의 항균, 항산화 및 항혈전 활성들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무청의 ethanol 추출물의 수율은 5.6%이었으며, 이들의 n-hexane, ethylacetate 및 butanol 분획 효율은 각각 25.3, 3.6, 19.4%로 나타났으며, 물 잔류물은 51.7%를 나타내었다.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결과 ethylacetate 분획에서 97.57 및 152.91 mg/g의 매우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ethylacetate 분획물은 매우 강력한 항균, 항산화, 및 항혈전 활성을 나타내었다. 먼저 항균 활성의 경우 무청 n-hexane 및 ethylacetate 분획물은 그람 양성균(S. aureus, L. monocytogenes 및 B. subtilis)에 대해 양호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그람 음성균에서는 E. coli 및 P. aeruginosa를 제외한 P. vulgaris와 S. typhimurium에 대해 생육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즉, 물 잔류물을 제외한 모든 분획물에서 부분적인 항세균활성이 나타나, 무청 추출물이 다양한 항세균 활성물질을 포함함을 확인하였다. 항산화 활성 평가 결과, ethylacetate 분획물에서 우수한 DPPH 소거능, ABTS 소거능, nitrite 소거능 및 환원력을 확인하였다. 또한 항혈전 활성 평가에서도 ethylacetate 분획물에서 양호한 트롬빈 및 프로트롬빈 억제활성과 함께, 강력한 내인성 혈전 생성억제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무청이 영양적 측면 및 유용생리활성 측면에서 매우 우수한 식품소재임을 제시하고 있으며, 무청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개발 및 ethylacetate 분획을 이용한 유용 소재개발의 기본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