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Nutrition screening index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7초

다양한 식사섭취 조사방법을 활용한 비만 초등학생의 식생활 실태 분석 (Analysis of the diet of obese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ing various dietary intake survey methods)

  • 윤혜빈;송진선;한영신;이경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6권1호
    • /
    • pp.97-111
    • /
    • 2023
  • COVID-19로 인한 사회적 거리 두기 실천으로 소아 비만 증가하였고 비만 학생 대상 영양교육 및 상담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비만 초등학생의 식생활 문제점을 분석하여 비만 개선을 위한 영양교육 및 영양상담 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20년 부산시교육청 주관 영양캠프에 참여한 초등학생 4-6학년 88명을 대상으로 사진 활용 24시간 식사기록, 한 달 간의 식품섭취빈도 조사, DST 식습관 조사를 활용하여 식생활 실태를 분석하였다. 조사 대상자는 남학생 46.6%, 여학생 53.4%로 정상체중군 15.7%, 과체 중군 30.3%, 비만군 53.9%이다. 조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11.77 ± 0.77세, 평균 신장은 147.44 ± 8.08 cm, 평균 체중은 53.47 ± 1.56 kg, 평균 체질량지수는 23.96 ± 3.01 kg/m2 이었다. 사진활용 24시간 식사기록 조사 결과, 과체중군과 비만군이 정상체중군보다 녹색 채소류 (p < 0.001)와 흰색 채소류 (p < 0.01)의 섭취가 적었으며, 한 달 간의 식품섭취빈도 조사를 식품군으로 묶어 조사한 결과에서는 어패류 (p < 0.01)와 녹색 채소류 (p < 0.05)의 섭취빈도가 낮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81가지 식품을 나누어 분석한 결과에서는 비만군이 정상체중군보다 라면 (p < 0.01)과 스넥과자류 (p < 0.05)의 섭취빈도가 높고 비만군이 정상체중군과 과체중군보다 탄산음료 (p < 0.01), 햄, 소시지 (p < 0.05)의 섭취빈도가 높은 반면, 과체중군과 비만군이 정상 체중군보다 멸치 (p < 0.05)와 브로콜리 (p < 0.05), 단호박 (p < 0.05)의 섭취가 낮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DST 식습관 조사를 비교한 결과, 과체중군과 비만군이 정상체중군보다 채소류 (p < 0.01) 섭취가 낮은 반면, 유제품 (p < 0.05)과 단 간식 (p < 0.05) 섭취가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비만 아동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식생활 문제를 평가하고 개인 문제에 맞는 해결 방법으로 접근해야 함을 시사한다.

내인성 및 외인성 Estrogen이 관상심장질환 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 -제1보 : 내인성 및 외인성 Estrogen이 혈액 지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ndogenous and Exogenous Estrogen on Risk Factors of Coronary Heart Disease -Part I : On Serum Lipid Levels-)

  • 박유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0권3호
    • /
    • pp.307-317
    • /
    • 1997
  • To determine the effects of endogenous and exogenous strogen on serum lipid levels, twenty nonsmoking healthy Korean women were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for 12 weeks. They were assigned to three groups : (1) eight women aged 22 to 30(yr) for the premenopausal(Pre) group, (2) eight, aged 49 to 60(yr) for the postmenoparusal(Pst) group, (3) four, aged 23 to 30(yr) for the oral contraceptive(OC) group which used triphasic OC formulation. Fasting blood samples representing every phase of the hormonal levels were obtained from the subjects of the Pre and the OC group. From the subjects of the Pst group, fasting blood samples were obtained once per three weeks for 12 weeks. All the serum data were adjusted for dietary effects, exercise, personality type and body mass index(BMI) by using analysis of covariation(ANCOVA). Serum lipid levels of the three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While serum levels of triglycerides(TG)(p<0.0001), low density lipoprotein-chloesterol(LDL-C)/high density liporotein-cholesterol(HDL-C) ratio (LDC-C/HDL-C)(P<0.01) and total cholesterol (TC)/HDL-C ratio (TC/HDL-C)(P<0.001) were significatnly high in the Pst group, serum HDL-C(P0.001) level was significantly high in the Pre group. The OC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 serum TC(P<0.0001) and LDL-C(P<0.0001) levels. There was no signidicant difference in the fluictuation of serum lipid levels during the menstrual cycle of the Pre group. However, in the OC group, serum TG leve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t phase 2(P<0.05) where exogenous estrogen administration was highest. Even though other serum lipid levels of the OC group were not significantly fluctuated according to the exogenous estrogen administration, there was a trend of increased levels of serum TC, LDL-C, LDL-C/HDL-C and TC/HDL-C and decreased level of HDL-C during the menstruation period. Also, serum TC level was high(P<0.005) and serum TG level was low (P<0.005) at the baseline of the OC group compared with the periods of OC administration. When screening and counseling the female population at risk for coronary heart disease(CHD),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may be desirable to divide the population into several groups according to their personal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age, OC administration, menstrual cycle and menopause, as well as general risk factors for CHD.

  • PDF

가미십전대보탕의 RAW 264.7 세포에서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Kamisipjeondaebotang in RAW 264.7 Cells)

  • 명정호;이명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11호
    • /
    • pp.1271-1277
    • /
    • 2017
  • 가미십전대보탕(이하 KSD로 표기) 추출물은 생약 성분으로 인체 및 동물에 투여 시 세포 독성 및 장기에 중금속 등에 의한 독성 물질이 발생할 수 있어 안전성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KSD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중금속 검사, 간과 신장 기능 지표 검사 및 RAW 264.7 세포 생존 시험을 거친 후 RAW 264.7 세포를 이용하여 KSD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알아보았다. KSD 추출물에서 중금속은 발견되지 않거나 기준치 미만으로 검출되었다. 간기능지표인 AST, ALT는 정상군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며 신기능 지표인 Cr, BUN도 정상군과 같거나 낮아 인체에 안전함을 확인하였다. RAW 264.7 세포 독성은 대조군 대비 농도별 생존율에 차이가 없었다. KSD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 측정 결과 DPPH 라디칼 소거능과 ABTS 라디칼 소거능은 $10{\mu}g/mL$ 이상의 농도에서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였다. 항염증 효과 측정 결과 NO 생성량은 대조군에 비해 10, $100{\mu}g/mL$에서 유의성 있는 감소를 보였으며, $IL-1{\beta}$와 IL-6는 농도 의존적으로 발현량이 감소하였고, $TNF-{\alpha}$는 유의적 차이점을 발견할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보아 KSD는 골절 치료를 위한 생약으로 안전성 및 항산화 및 염증 감소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전남지역 노인에서 우울 및 자아존중감의 인식정도에 따른 영양위험도 및 영양소 섭취량의 변화 양상 (The Changes of Types of Nutritional Risk and Nutritional Intake according to Depression and Self-esteem among the Elderly in Chunnam Province)

  • 김복희;정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6권8호
    • /
    • pp.97-107
    • /
    • 2008
  • 본 연구는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119명을 대상으로 우울정도와 자아존중감의 두 가지 심리적 요인이 영양위험도와 영양소 섭취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했으며,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CES-D Scale)을 적용하여 우울정도를 판정한 결과, 정상은 43.7%, 경도 우울 21%, 중등 우울 21%, 중증 우울 14.3%로 각각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우울정도를 비교하면 경도 이상 우울에 해당되는 비율이 남자노인에서 47.1%, 여자노인에서 60.0%로 나타났다. 2. 자아존중감(General Self Efficacy Scale;GSES)점수 합의 평균은 전체에서 45.9점, 남자노인에서 51.9점, 여자노인에서 43.6점으로 남자노인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 < 0.05). 3. NSI Checklist를 적용하여 영양위험도를 평가한 결과 전체 대상자 중 정상은 69.7%, 중간위험 군은 30.3%였으며, 성별에 따라 비교한 결과 남자노인에서는 85.3% vs. 14.7%, 여자노인에서는 63.5% vs. 36.5%로 나타났다(p < 0.01). 4. 영양소 섭취수준을 평가한 결과, 남녀 모두 에너지는 섭취기준의 76%이었으나, 칼슘, 칼륨, 아연, 비타민A, 리보플라빈, 나이아신의 섭취량은 영양섭취기준의 60%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5. 영양위험도는 우울정도와는 양의 상관관계를(r = 0.385, p < 0.01), 영양소 섭취량은 자아존중감과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단백질, 칼슘, 인, 아연, 철, 나트륨, 터아민, 리보플라빈, 나이아신, 비타민B6, p < 0.05). 즉, 우울정도가 높을수록 영양위험도가 증가하는 반면에, 자아존중 감에 대한 인식도가 높을수록 영양소 섭취량이 높게 나타났다. 6. CBS-D Scale 합의 4분위 구간별 영양위험도 점수는 증가하였으며(Q1 = 2.90, Q2 = 4.31, Q3 = 3.52, Q4 = 6.52, p < 0.001), 자아존중 감 점수 합의 4분위에 따라 에너지를 포함한 대부분의 영양소 섭취량이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특히 단백질(Q1 = 71.4, Q2 = 74.7, Q3 = 80.3, Q4 = 92.9, p < 0.05), 인(p < 0.05), 아연(p < 0.01)의 섭취량은 유의적인 수준에서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노인의 영양위험도와 영양소 섭취량은 심리적 요인들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전반적으로 영양상태가 좋지 못한 노인들에서 우울과 같은 심리적, 정신적 문제들을 과소평가하거나 적절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한 경우에는 영양문제를 가속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어 이에 대한 적절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위암환자의 입원시 영양상태 (Initial nutritional status of stomach cancer patients)

  • 안수미;윤기영;김은실;강원근;류동원;김태현;최경현;정은애;임선계;김홍선;이금숙;김종숙;이선옥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8권3호
    • /
    • pp.217-226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itial nutritional status of stomach cancer patients. The study subjects were 88 patients with stomach cancer admitted at Kosin University Gospel Hospital in Busan. We assessed the initial nutritional status by anthropometric, biochemical and dietary intake data along with subjective global assessment(SGA).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mean age, weight, height, triceps skinfold thickness, mid arm circumference, and mid arm muscle circumference of the subjects were 55.9$\pm$11.0years, 60.0$\pm$9.8kg, 162.4$\pm$8.5cm, 10.9$\pm$5.7mm, 26.8$\pm$3.8cm, and 23.4$\pm$3.5cm respectively. The mean body mass index was within the normal range, with 22.7$\pm$2.8kg/m2, while 15.4% of the patients was underweight. The result shows that body fat mass and body protein mass of the patients with stomach cancer were decreased. 2. The mean biochemical data of the subjects were 4.0$\pm$0.5g/dl for albumin, 174.7$\pm$41.9mg/dl for cholesterol, 107.6$\pm$57.2mg/dl for triglyceride, 92.1μg/dl for Zn,  297.0$\pm$103.1mg/dl for transferrin, 1980.0$\pm$0.8$mm^3$ for total lymphocyte count. 3. Daily energy intake was 1997.8$\pm$579.3kcal. And the ratio of carbohydrate, protein, and lipid to energy intake was 72:14:14. 4.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SGA performed by an observer. Group A(well nourished) was 55.7% with 49 patients, Group B(moderately malnourished) was 22.7 % with 20 patients, and Group C(severely malnourished) was 21.6 % with 19 patients. The three group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ody weight(p<0.01), 1 month weight loss %(p<0.001), 6 months weight loss %(p<0.001), body mass index(p<0.01), and mid arm circumference(p<0.05), albumin(p<0.01), energy intake(p<0.05) as well as carbohydrate intake(p<0.05). From these results, it may be concluded that SGA can be used as a nutrition screening tool, and comprehensive nutrition assessment is desirable for those malnourished.

  • PDF

Risks of Hyperlipidemia, Hypertension, High Blood Glucose and Liver Dysfunction in Moderately and Severely Obese Children

  • Kim, Eun-Kyung;Kim, Chang-Ok;Lee, Jung-Sook;Park, Gye-Wol;Ji, Kyung-Ah
    • Nutritional Sciences
    • /
    • 제5권4호
    • /
    • pp.234-244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rates of hyperlipidemia, hypertension, high blood glucose, and liver dysfunction, between 64 obese children (24 boys and 11 girls who were moderately obese, and 21 boys and 8 girls who were severely obese) and 45 normal weight children (31 boys and 14 girls) from 13 elementary schools in Kangnung city. Among the boys with severe obesity, the levels of serum triglycerides and LDL-cholesterol (133.60 $\pm$ 49.99 mg/dl and 105.00 $\pm$ 41.12 mg/dl( respectively) were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the normal Weight group (81.16 $\pm$ 23.59 mg/dl and 87.74 $\pm$ 32.095 mg/dl, respectively) of moderately obese group (102.30 $\pm$ 36.03 mg/dl, 89.99 $\pm$ 32.10 mg/이, respectively). In girls, only serum triglycerid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everely obese group (154.30 $\pm$ 46.84 mg/dl), compared with the normal weight group (80.00 $\pm$ 25.31 mg/dl) or moderately obese group (106.40 $\pm$ 41.73 mg/dl). In boys, blood pressure in the severely obese group (systolic: 120.5 $\pm$ 9.74 mmHg; diastolic: 80.95 $\pm$ 10.44 mmHg) was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with the groups of normal weight or moderately obese children. The rate of hypertriglyceridemia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normal weight, moderately obese, and severely obese boys (9.7%, 41.7%, and 76.2%, respectively). The proportion of boys who had an Atherogenic Index(AI) higher than 3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everely obese group (28.6%), compared to 6.5% in the normal weight group and 4.1% in the moderately obese group. Among boys, a significantly higher rate of hypertension was found in the severely obese group, which showed high systolic blood pressure and high diastolic pressure (81.0% and 81.0%), compared with the normal weight group (16.1% and 22.6%) and moderately obese group (33.3% and 33.3%). In conclusion,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obese children needs to be tailored to gender and the degree of obesity. Furthermore, a systematic management program needs to be developed for early screening and detection of obesity in order to minimize the risk of hyperlipidemia and hypertension, especially in severely obese children.

소아의 단순성 비만증에 의한 지방간의 진단: ALT치와 복부 전산화단층촬영 및 간생검 소견간의 상관관계 (Diagnosis of Fatty Liver Complicated by Simple Obesity in Children: Serum ALT and Its Correlation with Abdominal CT and Liver Biopsy)

  • 이성희;김화중;오재철;한혜정;김희섭;차한;박호진;신미경;이민진;이상천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권2호
    • /
    • pp.153-163
    • /
    • 1999
  • 목 적: 소아비만의 중요한 합병증 중 하나인 지방간을 진단함에 있어 ALT치와 CT 및 간생검 소견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선별검사로서 ALT치의 유용성과 확진검사로서 CT 및 간생검의 필요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0년 3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서울적십자병원 소아과에 내원하여 단순비만으로 진단 받은 78명 중 지방간 진단을 위해 CT를 실시한 2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생화학검사 중 지방간의 선별검사로서 보다 특이성이 높은 ALT치가 지나치게 높거나 비만도가 심한 비만아들 중 15례에서 간생검을 실시하였다. 이들을 ALT치에 따라 3개 군으로 분류하고 각 군별로 신체계측지수, CT 및 간생검상 지방침착도 간의 상관관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1) ALT치와 신체계측지수간의 상관관계: 대상 비만아 26례 중 ALT치는 17례(63.4%)에서 이상 상승(>30 IU/L)되었으나, ALT치의 상승과 신체계측지수들(비만도, RI, BMI, 체지방률)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p>0.05) 2) CT상 지방침착도와 ALT치 및 신체계측지수 간의 상관관계: 26례 중 13례(50%)에서 CT상 정상이었고, 나머지 13례는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모두 간음영이 증가된 지방간 소견을 보였다. CT상 지방간의 정도와 ALT치의 상승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나(p=0.01), 신체계측지수와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p>0.05). 3) 간 생검상 지방간의 정도와 비만도, ALT치와의 상관관계: 26례 중 15례에서 간 생검을 실시한 결과, 1례에서 정상이었고 나머지 14례에서 모두 지방간 소견을 보였다. 그러나 간 생검상 정상인 1례는 고도비만이었으나 ALT치는 정상치였고, 중등도의 지방간 소견 보인 3례 중 1례는 고도비만이었음에도 ALT치는 정상이었으며 2례는 ALT치가 정상이거나 약간 증가하였으며, 심한 지방간 소견 보인 9례 중 1례는 경한 비만이었으나 ALT는 158 IU/L로 심한 상승을 보였다. 간 생검상 지방간인 14례를 지방침착도에 따라 3개 군으로 분류하여 비만도와 ALT치를 비교분석한 결과 비만도와 간 생검 소견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p>0.05), ALT치와 간 생검상 지방간의 정도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4) CT와 간 생검 소견간의 상관관계: 26례 중 15례에서 CT와 간 생검 모두를 시행한 결과, CT상 6례는 정상이었고, CT상 지방간 소견 보인 9례에서는 간의 지방침착도에 따른 음영의 변화를 기준으로 한 CT소견과 간 생검상 지방침착도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r=0.6094). 결 론: 최근 소아비만이 급증 추세에 있고 그에 따른 여러 가지 합병증들은 물론 성인비만으로 이행될 수 있으므로 학교보건 등을 통해 경각심을 높이도록 해야 하며, 특히 비만에 따른 지방간을 진단하기 위한 선별검사인 ALT치 등 생화학적인 간 기능 검사로는 간 손상 정도를 평가할 수 없기 때문에 보다 저비용이며 비침습적인 초음파검사를 적극 활용토록 하고 선별검사 등으로 선정된 고위험군에 대해서는 간 생검을 통해 간 손상 정도를 정확히 평가하고 지속적으로 추적 관리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