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trient analysis in seawater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1초

자연해수를 이용한 해수 중 영양염 분석용 표준물질 개발 (Development of Reference Material Using Natural Seawater for Nutrient Analysis in Seawater)

  • 노태근;강동진;김은수;강성현;조성록;이정무;박은주;문초롱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0권1호
    • /
    • pp.29-35
    • /
    • 2015
  • 해수 중 용존 영양염은 해양 내 물질순환을 이해하는 가장 기초적인 자료로 전 지구적 환경변화를 감지하는데 필수 생지화학 성분으로 그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다. 분석능력이 다양한 연구자들에 의해서 상이한 시공간에서 측정된 용존 영양염 자료의 상호 비교를 위해 영양염 표준물질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경기도 시화호 내측연안, 울진의 인근 연안 표층수와 동해 울릉분지 표층과 1500m에서 채취된 해수를 여과, 멸균하여 제조한 영양염 표준물질의 균질성과 안정성에 대하여 다루었다. 본 연구에서 제작된 영양염 표준물질은 해외에서 제조되는 영양염 표준물질과 유사한 균질성을 가지고 있다. 제조 후 3-13개월 동안 영양염 농도가 일정한 방향으로 감소하거나 증가하는 경향이 관측되지 않았으며 이 보다 더 긴 기간 동안의 안정성은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시화호의 배수갑문 운용에 따른 수질변화 (The Variation of Water Quality due to Sulice Gate Operation in Shiwha Lake)

  • 김종구;김준우;조은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1권12호
    • /
    • pp.1205-1215
    • /
    • 2002
  • To evaluate the change for water quality after the water gate operation in Shiwha lake, in situ survey were conducted on september in 2000 and January, march, jane in 2001.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eutrophication level was estimated from the survey data. The water quality of the Shihwa lake was greatly affected by pollutant load from rainfall, and formation of stratification in summer and winter was increased to effect on nutrient release from sediment. Especially, high concentration of chlorophyll-a was occurred in autumn, due to increased nutrient, high water temperature and low salinity after rainfall runoff. The mean concentration of DIN, DIP were 0.346mg/L, 0.0217mg/L in surface water and 0.826mg/L, 0.0415mg/L in bottom water, respectively, which were over III grade of seawater standard. Also high percentage of ammonia nitrogen to DIN in bottom water for autumn and winter was affected by released nutrient from sediment. Correlation analysis of chlorophyll-a versus TSS was shown that organic matter was affected by autochthonous organic matter stem from the algae, these factor showed reverse correlation about salinity. Closely correlations among to the water quality constituent in continuity survey was appeared. The results of eutrophication index estimation showed the high potentiality of red tide occurrence in Shiwha lake, particularity in summer or fall. Overall water quality was greatly improve to compared with measuring data during 1997~1998 at the beginning water gate operation, which reported by KORDI. Therefore, to improve of water quality in Shiwha lake, we need to establish of management plan about nutrient release from sediment, rainfall runoff, maximum of seawater exchange.

주성분분석에 의한 거금수도의 수질환경 및 식물플랑크톤 변동 요인 해석 (The analysis of variational characteristics on water quality and phytoplankton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 in Kogum-sudo, Southwestern part of Korea)

  • 윤양호;박종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11
    • /
    • 2000
  • A study on the variational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and phytoplankton biomass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 was carried out in Kogum-sudo from February to October in 1993. We analyzed PCA on biological factors such as chlorophyll a and phytoplankton cell numbers for centric and pennate diatoms, phytoflagellates, and total phytoplankton as well as physico-chemical factors as water temperature, salinity, transparency, dissolved oxygen(DO), saturation of DO, apparent oxygen utilization (AOU), chemical oxygen demand(COD), nutrient (ammonia, nitrite, nitrate, phosphate and silicate), N/P ratio and suspended solid(SS). The source of nutrients supply depended on the mineralization of organic matters and inputs of seawater from outside rather than runoff of freshwater. The phytoplankton biomass was changed within short interval period by nutrients change. And it was controlled by the combination of several environmental factors, especially of light intensity, ammonia and phosphate. The marin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were determined by the mineralization of organic matters in winter, by runoff of freshwater including high nutrients concentration in spring, by ammonia uptake and high phytoplankton productivity in summer, and phosphate supplied input seawater from outside of Kogeum-sudo in autumn. And Kogum-sudo was separated with 2 regions by score distributions of PCA. That is to say, one region was middle parts of straits which was characterized by the mixing seawater and the accumulated organic matters, other one region was Pungnam Bay and the water around Kogum Island which was done by high phytoplankyon biomass and productivity year-round.

  • PDF

2010년 국내 해수 중 영양염 분석 실험실간 상호비교실험 연구 (2010 Inter-laboratory Comparison Study on Nutrient Analysis in Seawater)

  • 문초롱;노태근;강동진;강성현;조성록;김은수;이정무;박은주;신진선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0권1호
    • /
    • pp.63-70
    • /
    • 2015
  • 2010년에 국내 10개 영양염 분석 실험실을 대상으로 실험실간 상호비교실험이 실시되었다. 균질성과 안정성이 확보된 영양염 농도가 각기 다른 3종의 멸균해수(Bottle 130, 131, 132)가 이용되었으며, 각 실험실은 아질산염(Nitrite), 질산염(Nitrate), 인산염(Phosphate), 규산염(Silicate)의 항목을 5회이상 반복 분석하여 결과를 회신하였다. 각 실험실의 측정정밀도와 실험실간 차이를 평가하기 위해서 분석결과를 통계처리 하였다. 대부분의 실험실이 모든 분석항목에서 10%이내의 측정정밀도를 보였고, 이상치를 제거한 실험실 간 차이는 모든 분석항목에서 4~63%의 상대표준편차를 보였다. 상대백분율차이는 0.04~2217%였다. 각 실험실에서 분석한 영양염 농도의 차이는 우연오차(random error)보다는 계통오차(systematic error)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균질성과 안정성이 확보된 시료 131을 이용하여 각 실험실의 분석결과를 보정한 결과, 보정 후 실험실 간 차이는 모든 분석항목에서 상대표준편차와 상대백분율차이가 현저히 향상되었다. 본 상호비교실험결과를 종합하면, 본 실험에 참가한 국내 영양염 분석 실험실 내 측정정밀도는 양호한 편이므로 적절한 기준물질을 사용하여 분석자료를 보정할 경우 실험실 간 차이가 줄어들어 다른 실험실에서 생산된 자료와의 자료 공유에 대한 수월성이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영양염 시료 분석 시 균질성과 안정성이 확보된 표준물질을 사용하여 다른 실험실과의 비교가능성과 소급성을 확립할 것을 제안한다.

집중 강우시 목포 주변해역의 수질 특성 (Water quality in Mokpo coastal area after a strong rainfall)

  • 김도희;유한홍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8-37
    • /
    • 2003
  • 평년도 보다 많은 강우량을 기록한 2002년 7월 20일과 25일 및 9월 3일에 담수 방류에 따른 목포 주변 해역의 수질분포 특성을 파악하고자 영산강 하구 둑을 기점으로 목포 주변 해역 25개 정점의 표층과 저층의 해수를 채수하여 염분, 용존산소, 암모니아질소, 질산질소, 총질소, 인산인, 총인, SS, COD 및 Chlorophyll-a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염분과 용존산소는 현장에서 조사되었고 그 외 수질 인자는 해양환경공정시험법에 따라서 측정하였다. 조사결과, 고화도 입구를 기점으로 염분분포와 55분포가 확연한 차이를 보이고 있어 내부해역과 외부해역으로 구분하여 기술하였다. 지점별 층별 염분과 55 분포와 각 형태의 영양염의 분포 및 Chlorophyll-a의 분포 특성 및 염분과 각 수질인자들 간의 관계로부터 검토한 결과 목포항의 입구인 고화도와 목포해양대 사이를 기점으로 한 내부 해역에서는 영산강에서 방류되는 담수의 영향이 크게 나타나고 있는 반면에 외부 해역에서는 일반적인 연안에서 볼 수 있는 수질 분포를 보이고 있었다.

  • PDF

해수 중 용존 암모늄 분석방법 비교: 분광광도법과 형광법 (Comparison of Dissolved Ammonium Analytical Method in Seawater: Spetrophotometry and Fluorometry)

  • 손푸르나;박준성;노태근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5권4호
    • /
    • pp.81-96
    • /
    • 2020
  • 해수 중 용존 암모늄 분석에는 Berthlot's 반응의 분광광도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OPA (orthophthaldialdehyde-sulfite) 형광시약을 이용한 형광법이 국제적으로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7년도 호주연구선 Investigator에서 수행된 국제 영양염 선상 상호비교 실험에서 두 기관(KIOST(분광광도법, 1차 선형 회귀식 기울기만 사용), 호주CSIRO(형광법, 2차 비선형 회귀식 사용))간의 영양염 표준물질과 현장 해수시료의 용존 암모늄 농도값 차이(약 0.31 𝜇M)의 원인을 이해하기 위해 분석방법 간 검출한계, 분광광도법에 내재된 시약 굴절률, 검량선식 등에 의한 영향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 측정된 분광광도법의 방법검출한계(0.063 𝜇M)와 시약 굴절률 바탕값(0.054 𝜇M)은 두 기관의 용존 암모늄 농도값 차이를 각각 20%, 17% 정도 설명할 수 있었다. 그러나 분광광도법의 검량선을 형광법과 동일한 2차식 또는 선형회기식의 기울기와 절편으로 농도를 계산할 경우, 두 기관 간의 용존 암모늄 농도값 차이는 현장에서 측정된 분광광도법의 방법검출한계 이하로 줄었다. 따라서 국제 영양염 선상 상호비교 실험에서 영양염 표준물질과 해수 현장시료에서 나타난 두 기관 간의 용존 암모늄 농도값 차이는 분광광도법과 형광법의 분석방법 차이에 의한 영향보다는 두 방법에 사용된 상이한 검량선식 영향인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해수시료의 용존 암모늄 자료를 비교할 때 분석방법의 차이보다는 분석에 사용된 기저선, 표준용액열 개수, 검량선식 등에 대한 정보에 유의할 것을 권장한다.

Effectiveness of Bioremediation on Oil-Contaminated Sand in Intertidal Zone

  • Oh, Young-Sook;Sim, Doo-Suep;Kim, Sang-Ji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3권3호
    • /
    • pp.437-443
    • /
    • 2003
  • Bioremediation technologies were applied to experimental microcosms, simulating an oil spill in a lower intertidal area. Three treatments (oil only, oil plus nutrients, and oil plus nutrients and microbial inocula) were applied, and each microcosm was repeatedly filled and eluted with seawater every 12 h to simulate tidal cycles. To minimize washing-out of the inoculum by the tidal cycles, microbial cells were primarily immobilized on diatomaceous earth before they were applied to the oiled sand. Oil degradation was monitored by gravimetric measurements, thin layer chromatography/flame ionization detector (TLC/FID) analysis, and gas chromatography (GC) analysis, and the loss of oil content was normalized to sand mass or nor-hopane. When the data were normalized to sand mass, no consistent differences were detected between nutrient-amended and nutrient/inoculum-amended microcosms, although both differed from the oil-only microcosm in respect of oil removal rate by a factor of 4 to 14. However, the data relative to nor-hopane showed a significant treatment difference between the nutrient-amended and nutrient/inoculum-treated microcosms, especially in the early phase of the treatment. The accelerating effect of inoculum treatment has hardly been reported in studies of oil bioremediation in the Tower intertidal area. The inoculum immobilized on diatomaceous earth seemed to be a very effective formulation for retaining microbial cells in association with the sand. Results of this study also suggest that interpret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bioremediation could be dependent on the selection of monitoring methods, and consequently the application of various analytical methods in combination could be a solution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oil bioremediation monitoring.

Hydro-hypsographic 분석을 이용한 근소만 해수 교환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flushing characteristics in Geunso bay using hydro-hypsographic analysis)

  • 최종국;유주형;우한준;엄진아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5-52
    • /
    • 2011
  • 만과 외해와의 해수유통은 저서환경에 영양염과 산소 공급, 오염물질 정화 등 생태계를 건강하게 만드는 중요한 요인이며, 만 내 저서환경의 건강성은 해수 교환 특성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이 연구에서는 서해안 근소만 저서환경의 해수 분포 및 유동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hydro-hypsographic 분석을 통해 수리적 교환시간을 계산함으로써 근소만의 해수유통 특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위성영상 자료를 이용한 수륙경계선 추출방법과 음향측심기에 의해 획득한 조하대 수심자료를 이용하여, 연구지역의 지형고도모델을 작성하였으며, 지리정보시스템의 공간분석 기능을 이용하여 hydro-hypsographic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근소만 전체 면적의 95%가 갯벌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리적 교환시간은 1.03 tidal cycle로서 만의 해수 유통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외 타 지역과 비교하였을 때도, 근소만이 상대적으로 저서환경이 차지하는 면적이 넓고 조차도 국외 지역에 비해 커서 해수의 교환이 상대적으로 잘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국내 만들의 해수유통 특성 분석에 의해 각 만들의 건강성을 정량화 할 수 있는 체계 마련 및 만의 저서환경, 생태 등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영랑호 수질의 공간적 분포 및 개선방안 (Spatial Distribution and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in the Youngrang Lake)

  • 허인량;이건호;정원구;권재혁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41-347
    • /
    • 2017
  • From 2014 to 2016 water quality survey results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depth of Youngrang Lake are as follows: Distribution of dissolved oxygen in the water depth was investigated by the middle section and the downstream 1st, 3rd, 5th, when investigating bottem 1m interval anoxic layer. In organic matter and nutrient concentration distribution COD upstream 2.8 mg/L, middle section 4.2 mg/L downstream 4.1 mg/L, more than two times higher in bottem layer and TP concentrations showed a similar trend with COD, upstream of 0.047 mg/L, middle section was 0.051 mg/L, downstream of 0.059 mg/L. There was a difference in salinity every survey period the average salinity is lowest with 28.5‰ when the second survey. And the highest with 32.1‰ in the fourth investigation. Korean trophic state index($TSI_{KO}$) were showed eutrophic conditions in the middle section and downstream else showed mesotrophic state in the entire period. In order to evaluate the cause of water pollution Youngrang lake, regressio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alinity and DO, COD, TN, TP, Chl-a results, $R^2$ is from 0.63 to 0.95 Youngrang lake water quality was found to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salinity due to inflow of seawater. As a result,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Youngrang lake efficient incorporation of the amount of water through the seawater influent as it is considered the key.

강릉 주문진항 COD 및 영양염류의 농도변화 양상 분석 (Change Pattern Analysis of the COD and Nutrient Concentration in Jumunjin Harbour, Gangneung)

  • 조홍연;김창일;이달수;한동준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11-224
    • /
    • 2006
  • 주문진항에서 2002년부터 2005년까지 월별로 관측한 COD, 총질소(TN), 총인(TP) 항목의 정점별, 계절별 변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전반적으로 상층의 오염도가 하층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상층과 하층의 COD 및 TN, TP 항목 농도차이는 주문진항 내부영역이 방파제 전면해역에 비하여 크게 나타났다. COD 농도는 변화 폭이 시기에 따라 다르지만 계절별 변동양상이 뚜렷하고, 암모니아성질소 및 TN 항목도 계절별 변동양상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지점별, 월별 자료를 영역별, 연도별로 평균하여 해수교환시설 및 하수종말처리시설의 수질개선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한 결과, COD 항목은 2003년도에는 미미한 변화를 보이고 있으며, 2004년, 2005년에는 모든 영역에서 $34{\sim}47%$ 정도 COD 농도저하가 계산되었다. 또한, TN 항목도 해수교환 시설에 의한 영향이 우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해수교환 시설이 TN 농도저하에 미친 영향은 영역 1, 영역 2, 영역 3 순서로 각각 $60{\sim}70%,\;40{\sim}60%,\;40%$내외 정도로 산정되었다. 따라서, 해수교환시설이 COD 및 TN 농도저하, 즉 수질개선에 미치는 영향은 주문진항 내부영역으로 국한되지 않고, 주문진항 입구 및 방파제 전면해역으로 확장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