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rsing program

검색결과 9,742건 처리시간 0.034초

여대생의 섭식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Factors Influencing Eating Disorders of College Women)

  • 성미혜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71-82
    • /
    • 2005
  • Purpose: This study was undertaken in order to examine relations of eating disorders, health locus of control of college women, and to determine factors affecting eating disorders of college women. Method: The subjects were 282 students at a university in Busan. The instrument used for this study was a questionnaire on general characteristics, eating disorders (24 items), health locus of control (11 items) and self-esteem (10 items). Data were analyzed using means, percentage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a SPSS WIN 11.0 program. Result: Depending on BMI, there was no obese subject, 62.0% of the subjects were underweight, and 37.9% were normal. Over 40% of the subjects perceived them to be overweight while 62.1% of the women were underweight as defined by BMI. The total mean score of anorexia was higher than bulimia nervosa.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ating disorders according to BMI, perceived view of appearance, body satisfaction, experienced weight-control, and predictors of weight control method. Eating disorder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health locus of control and self-esteem.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f eating disorders was BMI. Experienced weight control, health locus of control and self-esteem and body appearance had significant effects on eating disorders. These predictive variables of eating disorders explained 27% of variance.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eating behaviors among college women developed into eating disorders or were seriously disturbed. Therefore, to prevent eating disorders, health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college women in relation to eating behaviors for health management.

양호교사 자격연수교과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Curriculum Development for Inservice Training of School Health Nurses)

  • 김화중;윤순녕;김영임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1-41
    • /
    • 1996
  • School health promotion is related to reinforce on various roles of school health teachers including health instruction, health services, healthful school living. In this aspects, there would be necessory for qualified continous education proceed to activate roles of school health teachers. So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first, to develop curriculum framework for inservice training of health school nurses, second, to descrive of curriculum objectives, third, to state of curriculum objectives and learning methods. There were used study methods as literature review, expert conferencing and workshop.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1. Curriculum framework for inservice training of health school nurses was constitute of major variables of health care model and direct services role of school health teacher such as health service, health instruction and healthful environment area. 2. The curriculum for health instruction were different from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3. Time distribution for curriculum was composed of that health service is 12hours, health instruction is 96 hours and healthful environment is 12 hours. 4. The learning methods for inservice training were suggested to intensify positive attitude through the discussion and practical exercise. 5. The curriculum objectives were classified by total, area and a course of study and time summary table was suggested. In conclusion, the developed curriculum would be contribute to improve of practical ability for school health teachers. And to increase of inservice training effect, there should be operate in order to participate trainees activately and to be educate concurrently. Also, there are necessary for execute in series of the program such as standized text developing by course, evaluation index developing and instructor education etc.

  • PDF

여중생의 월경곤란증에 영향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Dysmenorrhea of Middle School Girls)

  • 전가을;김영임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99-109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influencing dysmenorrhea in middle school girls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dysmenorrhea according to personal factors of the subject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March 22 to April 2, 2010.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572 girls who attended three middle schools in Seoul and experienced dysmenorrheal. All were surveyed using the same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WIN 12.0 program and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1)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13.53 years, and the mean age of first menstruation (menarche) was 11.94 years. The number of days between the onset of menstrual cycles was 30.01 days. Most of the respondents had irregular menstrual cycles and menstrual periods lasting 3 to 7 days long. 2) Chief menstrual pains were lower abdominal and back pain. Subjects reported experiencing severe lower abdominal and/or back pain, most commonly on the second day of menstruation. The average score of menstrual discomfort was over 60 points (63%). The average score per 6 points of dysmenorrhea was as follows: fatigue (3.48), sensitivity (3.27), disability of movement (3.27), napping or lying down (2.98), mood swings (2.95), interference with studies (2.87). 3) Individual subject characteristics influencing the onset of dysmenorrhea were as follows: high stress levels, being in poor health, having an irregular diet, being younger and having longer menstrual periods than most other subjects. Conclusion: During puberty, girls with earlier menarche complained of physical and emotional discomfort, and irregular menstrual periods. Therefore, we need to explain overall menstrual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occurrence of dysmenorrhea, in health education programs.

일부 초등학교 학생들의 응급처치 교육효과 -기도 폐쇄 시 응급처치 교육을 중심으로- (Effects of a First-aid Skills Training for Elementary Students - Focus on Management of Foreign Body Airway Obstruction -)

  • 김유선;김현숙;김윤신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50-60
    • /
    • 2011
  • Purpose: This paper compares practical first aid training and theoretical first aid training in elementary schools. Methods: Research subjects were randomly selected and sorted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former is one class (28 students) of the fifth grade students, and the latter is another class (30 student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first aid training, we conducted theoretical as well as practical first-aid instruction about foreign body airway obstruction to the experimental group, but conducted only theoretical instruction with the control group. Data were analyzed by the ${\chi}^2$-test and t-test, one-way using the SPSS / win 12.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p=.05). Results: The first hypothesis was that the knowledge of an experimental group would be better than that of a control group. The analysi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00) between the two groups, supporting this hypothesis. The second hypothesis wa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be more accurate than the control group. There was no because of (p=.000) between the two groups on this measure. The third hypothesis, that the two groups would vary over time on the measure of accuracy, was supported by the following observations: the experimental results were accumulated before, two days after and two weeks after the training (experimental group, p=.000, and control group, p=.000). This supports the third hypothesis that the technical performance accuracy levels of complete respiratory obstruction first aid vary over time. Conclusion: First aid training has to include practical education as well as theoretical education in the future, as part of a school's health education for elementary students. Health education classrooms should be prepared to teach first-aid theory and be supplied with equipment for practical exercises. Schools, communities, and private organizations need to carry out the practical education component periodically.

관상동맥중재술을 받은 남성의 건강행위 이행에 미치는 영향요인: 경과기간을 중심으로 (Influencing Factors on Health Behavior Compliance in Men Who Underwent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Focusing on the Elapsed Period)

  • 하행주;서민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2호
    • /
    • pp.661-673
    • /
    • 2021
  • 본 연구는 관상동맥중재술을 받은 남성의 건강행위 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경과기간을 중심으로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일개 대학병원에서 관상동맥중재술을 받은 남성 249명이며, 2017년 9월 1일부터 2018년 4월 30일까지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 자료는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건강행위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조절 중 자율적 동기(β=.35, p<.001), 교육요구도 중 위험요소(β=-.26, p<.001), 질병의 경과기간(β=.19, p<.001), 결혼 여부(β=.15, p=.001), 최종 학력(β=-.12, p=.035)이며, 총 설명력은 29.1%였다. 관상동맥 중재술을 받은 남성 환자의 건강행위 이행을 높이기 위해서는 중증도가 높고 경과시간이 1년 미만인 대상자의 자율적 동기를 강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과 학교 환경이 스마트폰 의존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우울의 매개효과 (Impact of Social Withdrawal and School Environment on Adolescents' Smartphone Dependenc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Depression)

  • 손신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2호
    • /
    • pp.577-586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의 영향 요인들을 확인하고, 요인들 간의 작용하는 직·간접 경로를 통해 스마트폰 의존에 미치는 영향정도를 확인하는 것이다.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2018)의 2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였고, SPSS 26.0 및 26.0 AMO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여섯 개의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자아존중감과 우울이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사회적 위축과 학교 환경은 자아존중감과 우울을 매개 요인으로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에 영향을 미쳤다.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은 개인적 요인뿐 아니라 학교 환경과 같은 사회적 요인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의존을 예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근거자료로 제시될 것이다.

대학생의 ADHD 경향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 문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ADHD Tendency on Depression among College Students: Mediation Effect of Interpersonal Problem)

  • 김은영;김은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0호
    • /
    • pp.329-337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ADHD 경향과 우울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문제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데 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0년 10월부터 11월까지로 1개월 소요되었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ADHD 경향, 우울, 대인관계문제 척도로 이루어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201부의 통계분석을 위해 SPSS와 AMOS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의 ADHD 경향, 우울, 대인관계 문제 변인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그리고 대학생의 ADHD 경향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인관계 문제는 완전 매개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대학생의 ADHD 경향이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ADHD 경향이 대인관계 문제를 매개로 우울이 나타나는 것을 시사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상담 및 임상 현장에서 대인관계 문제를 감소시키는 전략이 ADHD 경향을 가진 대학생의 우울의 예방 및 정신건강을 증진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당뇨병 환자의 의료진 신뢰와 공유의사결정의 관계에서 환자활성화의 조절효과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Patient Activation between Trust in Healthcare Professionals and Shared Decision Making in Diabetic Patients)

  • 정미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361-371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공유의사결정과 의료진 신뢰 간의 관계에서 환자활성화의 조절효과를 규명하기 위함이다. 연구 대상은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상급 종합병원 내분비대사내과에서 당뇨병 치료를 받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환자 186명이다. 연구결과, 의료진 신뢰(β=0.32, p=.045)와 환자활성화(β=0.32, p=.024)는 공유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며, 의료진 신뢰와 공유의사결정 관계에서 환자활성화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β=0.25, p=.019).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공유의사결정의 활성화를 위해 환자의 의료진 신뢰 정도를 사정하여 의료진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개선하고, 신뢰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공유의사결정에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환자활성화에 초점을 맞춘 융합적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교육할 것을 제안한다.

임부의 우울에 임신 스트레스, 자아존중감이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gnant Women's Pregnancy Stress and Self-Esteem on Their Depression)

  • 황란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5호
    • /
    • pp.469-477
    • /
    • 2021
  • 본 연구 목적은 임부의 임신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우울 정도를 조사하고 그 변수들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여, 임부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154명의 임부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은 t-test, ANOVA, Scheffe's test,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였다. 대상자의 임신 스트레스는 평균 61.17±13.84점(범위:27~135)으로, 계획된 임신인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자아존중감은 평균 30.94±4.76점(범위:10~40)으로, 종교, 직업, 임신주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의 우울은 평균 6.89±5.04점(범위:0~63)으로, 계획된 임신인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의 우울은 임신 스트레스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자아존중감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임신 스트레스는 자아존중감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부의 우울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자아존중감, 계획된 임신 여부, 임신 스트레스 순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산전 관리 시 임부의 임신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우울 등 정서적 요인 정도를 사정하고, 임부의 정서적 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간호 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암 환자의 FoMO(Fear of Missing Out) 개념분석 (A concept analysis of FoMO (Fear of Missing Out) in cancer patients)

  • 김미애;이지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529-538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FoMO에 대한 개념분석을 통해 개념의 속성을 규명하고, 암 환자에서의 FoMO 개념을 통해 암 환자의 FoMO에 대한 중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Walker & Avant(2010)의 개념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개념속성, 선행요인, 결과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2004년부터 2021년까지 발표한 국내외 선행연구 중 최종 82편을 분석하였다. 개념속성은 상대적 박탈감, 사회적 배제, 소속감의 결핍, 타인과 상호작용의 부재, 부정적인 감정이었으며, 선행요인은 흐름을 놓치거나 자신이 포함되지 않은 것에 대한 소외감, 타인과 지속적으로 연결되고 싶은 욕구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정신적 고통이 증가하고, 우울, 불안 등 부정 정서가 촉발되며, 삶의 만족감과 자존감이 저하된다. 암 환자에서도 이러한 FoMO의 속성이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암 환자의 FoMO를 개선하기 위한 효과적인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