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rsing Professional Intuition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2초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간호대학생이 지각하는 자기주도학습능력, 감성지능, 그릿 및 간호전문직관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Emotional intelligence, Grit and Nursing professional intuition perceived by Nursing students in the Post-corona era)

  • 노준희;김은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519-526
    • /
    • 2021
  •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간호대학생이 지각하는 자기주도학습능력, 감성지능, 그릿 및 간호전문직관의 정도를 확인하고, 간호전문직관의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긍정적인 간호전문직관을 확립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실시하였다. G광역시에 소재한 간호학과 학생 218명을 대상으로, 2021년 2월 22일부터 3월 28일까지 자가 보고식 설문조사로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수집한 자료는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공만족도, 감성지능, 그릿이 높을수록 간호전문직관이 긍정적이었으며,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감성지능과 전공만족도로 설명력은 61.7%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과 전공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교과활동 및 비교과 활동의 전략이 요구되며, 이러한 활동 전략이 간호대학생의 긍정적인 간호전문직관 확립을 위해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Effects of Nursing Students' Major Satisfaction, Nurse Image, Clinical Practice Education Environment, and Clinical Practice Belonging on Nursing Professional Intuition

  • Young-Su Ki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5호
    • /
    • pp.113-120
    • /
    • 2023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형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시도하였다. 연구방법은 K대학교 간호학과 3학년(n=169)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자기보고형 설문지로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전공만족도, 간호사 이미지, 임상실습교육환경 및 실습소속감이 간호전문직관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전공만족도가 간호전문직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긍정적인 간호전문직관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전공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하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이 요구된다.

간호 대학생의 임상실습 전·후에 따른 임상수행능력과 간호 전문직관의 차이 비교 (Comparative Study on the Clinical Competence and Nursing Professionalism of Clinical Practice among Nursing Students)

  • 강향숙;강영실;홍현화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495-503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descriptive research to evaluate the clinical competency and nursing professionalism values before and after nursing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data collected from 100 nursing students by the study period was from December 10, 2013 ~ November 12, 2014 to measure the performance and clinical care professional intui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 ANOVA, correlation. Results. Clinical practice before performance was $3.48({\pm}.38)$, after practice $3.79({\pm}.40)$ was a professional nursing practice before intuition $3.90({\pm}.41)$, after the practice was $3.74({\pm}.40)$, clinical performance and the nursing profession is positive found to be correlated.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development of research programs to improve care professional intuition in nursing college is necessary as results.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f Nursing Students)

  • 김경남;임수민;장여영;전다혜;정민주;정지희;조민희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450-1461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degree of nursing professional intuition, major satisfaction,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self-leadership,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ethod: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August 03 to 30, 2020 for 4 weeks. The survey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220 students in grades 3-4 who were enrolled in 6 nursing departments located in P metropolitan city and G province, and have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20.0 program. Resul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nursing professional intuition(r=.455, p<.001) and self-leadership(r=.539, p<.001), and major satisfaction(r=-.337, p<.001) and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r=-.380, p<.001)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Self-leadership(β=.424, p<.001)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the study subjec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nursing professional intuition(β=.170, p=.010),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β=.127, p=.047), employment information(β=.122, p=.023), major satisfaction(β=.137, p=.042) in the order, these variables were found in the order of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subjec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40.2%. Conclusion: Therefore, in order to help nursing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 strategy to provide a variety of employment information and a strategy for nursing intervention that can improve self-leadership,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nd major satisfaction is required.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Knowledge with COVID-19

  • Cho, Eui-young;Kim, Junga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4호
    • /
    • pp.219-225
    • /
    • 2021
  • This study was a cross-sectional reaserch that analyzed the factors that most affect COVID-19 knowledge in nursing college students who are relatively at high risk for recent prevalence of COVID-19 exposure in relation to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 total of 249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93 male students and 156 female students. The period for collecting data from structured questionnaires was from October 1 to October 20, 2021. The collected data were frequency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8.0.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𝛽=0.06, p=0.006) had the most influence on COVID-19 knowledge, and the second was professional intuition(𝛽=-.162, p=0.018).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order to improve the knowledge of COVID-19 among nursing students, it is proposed to develop an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 education program and a professional intuition improvement program.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자신감, 비판적사고 성향, 간호 전문직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Self-confidenc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Nursing Professionalism in Nursing Students)

  • 우주현;송정희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4호
    • /
    • pp.101-110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자신감, 비판적사고 성향, 간호 전문직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의 자료는 2019년 8월부터 9월까지 수집되었다. 연구대상자는 간호대학 4학년 학생 122명이며, 서면 동의를 받은 후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0.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자신감 32.31점, 비판적사고 성향 101.34점, 간호 전문직관 3.78점이었다. 의사소통 자신감은 비판적사고 성향(r=.568, p<.001), 간호 전문직관(r=.282,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판적사고 성향은 의사소통 자신감(r=.568, p<.001), 간호 전문직관(r=.361, p<.001)과 간호전문직관도 의사소통 자신감(r=.282, p<.05) 비판적사고 성향(r=.361,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직이수 간호 대학생이 인식하는 교직 전문성 수준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Level of Professionalism in the Teaching Profession Perceived by Nursing College Students)

  • 하동엽;김미화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551-557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교직을 이수하고 있는 학생들이 인식하는 교직 전문성 인식 수준에 대한 질적 연구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S시소재하고 있는 H대학과 K도에 소재하고 있는 M대학교 교직 이수하고 있는 14명의 학생으로 구성하였다. 자료 수집은 보건교사의 전문직에 대한 그룹을 형성하고 면담과 자가보고서를 작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Colaizzi의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간호대학생의 보건교사의 전문성에 대해 분석한 결과 3개 범주(categories), 7개 주제, 모음(theme clusters) 29개 의미 있는 진술(theme)로 도출되었다. 3개의 범주는 '보건교사와의 첫 만남을 회상하다.', '통념속의 보건교사 전문직관', '교사로서의 전문직관' 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보건교사의 전문직관에 대한 이해를 위해 제공하였으며, 간호사로써 가질 수 있는 기회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의 진로지도와 상담에 기초자료로 활용 될 것으로 기대하며, 간호 보건교사에 대한 교직 전문성 확립과 명료하고 올바른 가치와 교육적 신념이 형성될 수 있는 보건교직 전문성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시뮬레이션 기반 실습 교육을 통한 간호학생의 간호전문직관 인식 경험: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Experience of Nursing Professionalism among Nursing Students after Simulation-based Education: Focused on finding from a focus group interview)

  • 이은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268-279
    • /
    • 2020
  • 본 연구는 한 학기 동안 시뮬레이션 교육과정을 이수한 간호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간호 전문직관 인식 경험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긍정적 간호 전문직관을 형성을 돕는 시뮬레이션 교과목 운영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근거자료를 마련하고자 수행하였다. 2019년 6월부터 7월까지 서울시에 소재한 일개 간호대학에서 한 학기 동안 시뮬레이션 기반 실습교과목에 참여한 4학년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 후, 자료질적내용분석 방법에 따라 의미있는 개념을 확인하고, 개념들의 비교하며 범주화하는 과정을 통하여 17개의 의미 범주와 6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 후 간호학생의 인식한 간호 전문직관은 '전문직임을 실감함', '인간 대상 전문직으로서의 윤리의식과 정서', '의사소통 능력의 함양', '문제해결을 위한 통합적 사고', '근거기반 지식체의 중요성', '자기 역량에 대한 성찰' 이었다. 연구의 결과는 간호 전문직관의 5개 영역인 전문직 자아개념, 사회적 인식, 간호의 전문성, 간호실무역할, 간호의 독자성을 반영하였다. 시뮬레이션 기반 실습교육을 통하여 간호학생들에게 간호 전문직관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는 점에서, 시뮬레이션 교육을 통하여 향후 긍정적 간호 전문직관을 형성하기 위한 교과목의 수정과 적용이 적극적으로 시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영향 요인 (Factors influenc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nursing students)

  • 김민혜;변은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137-145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전공만족도, 간호전문직관, 셀프리더십, 진로준비행동의 정도를 확인하고 진로준비행동에 영향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참여자는 B시의 간호대학생 20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피어슨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진로준비행동은 3.16±.85점이었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진로준비행동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년(t=-4.86, p<.001), 대학생활만족(F=11.82,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연구대상자의 진로준비행동은 전공만족도(r=.34, p<.001), 간호전문직관(r=.24, p=.001), 셀프리더십(r=.54, p<.001)과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진로준비행동 영향 요인은 셀프리더십(β=.491, p<.001), 학년(β=.284, p<.001), 대학생활만족(β=.133, p=.039)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37.3%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준비행동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반복연구가 필요하다.

교대근무 여자간호사 이직의도 구조모형: 상급종합병원을 중심으로 (Shift Work Female Nurse Turnover Inten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Focused on Tertiary Hospitals)

  • 조행난;소향숙;장애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181-189
    • /
    • 2021
  • 본 연구는 이직인과모델 기반 상급종합병원 교대근무 여자간호사의 이직의도 구조방정식 모형구축을 위한 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5년 11월 11일부터 12월 20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총 283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포함되었다. 연구결과 최종 수정모형에 대한 적합도는 권장수준에 비교적 충족하였으며, 최종 수정모형의 19개 가설 중 12개의 가설이 지지되었다. 또한 외부취업 기회, 간호전문직관, 간호조직문화(관계지향, 혁신지향),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조직몰입, 소진은 상급종합병원 교대근무 간호사의 이직의도를 47.8% 설명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세부적으로 이직의도에는 소진(+), 조직몰입(-)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직접효과를 나타냈으며, 간호전문직관, 관계지향 간호조직문화와 직무스트레스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간접효과를 나타냈다. 이에 본 연구결과를 기반하여 상급종합병원 교대근무 여자간호사의 이직 의도 감소를 위해 소진을 감소시키고,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며, 이를 위해 관계지향적 간호조직문화와 간호전문직관을 강화하는 방안 요구된다. 따라서 병원인력관리 차원에서 탄력적으로 근무시간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상호 존중하는 관계중심의 조직문화를 형성하며, 간호전문직관을 강화하는 교육 및 정책적 지원, 그리고 자긍심을 가지고 일할 수 있는 병원의 제도적 장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