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rpose : The study aimed to identify relationship among intensive care unit (ICU) nurse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medication error risk level of high-alert medication, and medication safety competency, as well as the factors affecting medication safety competency. Methods : The participants were 266 ICU nurses of one higher-tier general hospital and one general hospital in Province.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rom August 10 to August 31, 2021. Measurements included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questionnaire, nurses's knowledge of high-alert medication questionnaire, the medication safety competency scale. Data were analyzed using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s using SPSS/WIN 28.0. Results : I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edication safety competence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working department,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medication error risk level of high-alert medication. Conclusion :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o develop and apply an educational strategy that can strengthen the knowledge and skills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medication error risk level of high-alert medication to improve the ICU nurse's medication safety competency.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the effect of a cultural competency promotion program for nurses in obstetrics-gynecology and pediatrics. Methods: The cultural competency promotion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the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ADDIE) steps. In this quasi-experimental study, 30 nurses in obstetrics-gynecology and pediatric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34 nurses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is program once a week for four weeks and each class lasted one hour.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chi}^2$-test and Fisher's exact test with the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1.0 program. Results: After attending the program, cultural competency (t=8.30, p<.001)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cultural awareness (t=7.53, p<.001), cultural attitude (t=6.41, p<.001), and cultural knowledge & skills (t=7.79, p<.001) as components of cultural competency.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is cultural competency program is effective and efficient for nurses in obstetrics-gynecology and pediatrics and can help nurses provide appropriate multicultural nursing care in multicultural society.
Purpose: The aims of current study were to assess the inhaler competency and medication adherence, and to identify association of inhaler competency with medication adherence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lung disease. Methods: We did a secondary analysis of the Hanyang Obstructive Pulmonary Evaluation data in a single institution from June 2014 to April 2015 after an approval of Institutional Review Board. A total of 150 patients with asthma or chronic obstructive lung disease participated in the study. Inhaler competency was evaluated accuracy in each step for using metered dose inhaler. Medication adherence was calculated using actually dispensed doses based on the prescribed inhaler doses. Results: Older adults (${\geq}65$) had lower competency in using inhaler (66.7 vs 83.3, z=-4.52, p<.001) and poorer medication adherence (67.7 vs 91.8, $x^2=14.06$, p<.001) than adults (<65). Inhaler competency was associated with medication adherence (p=.26, p=.001). Surprisingly, more than 50% of patients were current smokers. Conclusion: Inhaler competency and medication adherence were lower in older adults with obstructive lung disease than those in adult-age patients. Therefore, an individual education program for older patients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the rates of proper use of inhalers. Nursing management for obstructive lung disease should focus on developing behavioral intervention strategies for smoking cessation.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fine and clarify learning transfer in nursing. Methods: This study used a hybrid model to analyze the concept of learning transfer in nursing through three phases. For the theoretical phase, learning transfer attributes were identified through a scoping literature review. In the fieldwork phase, in-depth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develop attributes. Purposive sampling was performed with ten participants(five nursing students, two nurses, three nursing faculty members). In the analysis phase, the attributes and final analysis of learning transfer in nursing were extracted and integrated from the previous two phases. Results: According to the analysis, learning transfer was represented in two dimensions with eight attributes. The development of competency dimension had three attributes: 1) theory acquisition, nursing skills, professional attitude, 2) integration, and 3) analysis competency. The competency change dimension had five attributes: 1) appropriateness in patient care, 2) proficiency in patient care, 3) satisfaction, 4) achievement, and 5) confidence. Conclusion: The concept analysis might provide a basic understanding of learning transfer, a development framework toward a measurement of nursing learning transfer and effective educational nursing strategies.
본 연구는 직업기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행동의 선택과 지속성을 유지하는 자기효능감의 영향관계와 자기효능감과 직업기초능력의 관계에서 간호전문직관의 매개효과와 간호전문직관에 대한 인식을 통해 형성되는 주도적인 학습능력이 직업기초능력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J도 소재 3개 전문대학의 간호학과 학생 396명을 대상으로 편의표집 하였다. 각각의 잠재변인은 직업기초능력, 자기효능감, 간호전문직관, 자기주도학습능력을 설정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대학생의 직업기초능력과 자기효능감, 간호전문직관 및 자기주도학습능력 간의 인과모형의 적합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변인 간의 인과관계를 타당하게 예측하였다. 둘째,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은 직업기초능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고 간호전문직관과 자기주도학습능력을 완전매개로 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간호전문직관은 직업기초능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주도학습능력을 매개로 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자기주도학습능력은 직업기초능력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use of a evaluation tools of clinical competency for nursing students. The sample consisted of the departments of nursing in 14 universities and 20 Junior colleges of nursing. Data analysis was done by frequency, percentages and facto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1. A common measurement tools for evaluation in the clinical area was used by 74.4% of universities and Junior colleges of nursing. Only 0-4.5% of Junior colleges of nursing and 1.5-7.4% of universities used a evaluation tools developed according to their major. 2. Theoretically, 3% of those sampled applied the nursing process as an instrumental means of nursing practice. Bloom's theory was applied by 35.8% of the schools. Most of them used their own measurement tools for evaluating their students. 3. One half of them used quantitative scales, the other half used others. 4. Professional attitudes wire included in their contents bvy 93.9% of universties and 94.1% of Junior colleges of nursing. The major areas of evaluation were knowledge, skills, attitude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that order. Results ; From this study can be concluded that regardless of the number of academic years of nursing and professional area, common standard evaluation tools for nursing competency were found to be needed. Theoretically, an evaluation scheme which applies the nursing process should be required. Knowledge, skill, attitud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would be essential elements to be evaluated. Maximizing the clinical competency and minimizing the conflict elements for nursing students is important. Nursing, education, students and environmental aspects must be consider in the goal of clinical education. A diagram, a checklist and a anecdote note in addition to the quantitative scale are necessary for efficient evalu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정보역량에 대한 국내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간호정보역량과 관련된 후속 연구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주제범위 문헌고찰 연구로 Arskey와 O'Malley의 방법론적 기틀을 사용하였다. 전자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2000년부터 2021년까지 출판된 연구를 대상으로 하였다. 최종 분석에 포함된 연구는 총 18편으로, 분석틀은 연구의 일반적 특성과 주제분석으로 구성하여 분석하였다. 간호정보역량에 대한 연구는 2010년 이후 증가하였으며, 간호사 대상의 양적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간호정보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특성은 교육 정도와 직위였으며, 관련 핵심 변수는 업무수행능력, 셀프리더십, 직무만족, 간호업무성과, 간호조직문화, 간호근무환경이었다. 본 연구는 주제범위 문헌고찰 방법을 적용하여 국내 간호정보역량 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후속 연구방향을 제시했다는 의의가 있다. 간호사, 간호대학생의 간호정보역량 향상을 위해서 보건의료시스템과 간호업무환경의 변화를 반영하고, 간호정보역량 향상 교육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하여 적용하는 후속연구를 제언한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open laboratory self-directed practice in improving nursing skill competency. Method: This study was a one group posttest only design that examined the competency in basic nursing skills after traditional education and open laboratory self-directed practice. Students participated in traditional education and open laboratory practice through self-study. Whenever practice was done, the item of practice and time were measured and documente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s, averages and standard deviations,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Result: 1 The average number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open lab self-directed practice was 53.9 (64.2%) and the total number of hours of participation was 1567.5 minutes per year. Each student participated for an average of 29.1 minutes per year. 2. Analysis showed a statistical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ractical skill and open laboratory self-study (r=0.252, p=0.048).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stablish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a clinical nursing competency evaluation tool to be utilized by clinical preceptors. Methods: The initial items were identified through in-depth literature review and field interviews based on a hybrid model. Content validation of the items was evaluated through three rounds of content validity testing. Participants were 34 clinical preceptors and 443 nursing students participating in clinical practice. Data were analyzed using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vergence and discriminant validity, internal consistency and inter-rater reliability. Results: The final scale consisted of 23 items and four factors, fundamental nursing skills performance, critical thinking skills based on the nursing process, basic nursing knowledge, and professional attitude; these factor explained 69.7% of the total variance. The analysis with multi-trait/multi-item matrix correlation coefficients yielded 100.0% and 95.7 % convergence and discriminant validity, respectively. Cronbach's alpha for the total items was .95. The four subscale model test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satisfactory. Inter-rater reliability ranged from .912 to .967. Conclusion: This scale was found to be a reliable and valid instrument that clinical preceptors can apply for evaluating the clinical nursing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in clinical settings.
Purpose: This study was done in order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open laboratory self-directed practice on knowledge, self-confidence, skill competency, and satisfaction of intravenous infusion in nursing students. Methods: This is a quasi-experimental study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pre-posttest design. The participants were 32 students comprising an experimental group and 30 students comprising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allowed to perform open laboratory self-directed practice only. Pretest and posttest was performed through questionnaires of knowledge and self-confidence, and competence and satisfaction were assessed using checklists at posttest. Results: The score of Knowledge in the posttes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 (F=1.28, p=.290), and those of self-confidence (F=3.87, p=.014) and competency (F=9.55, p<.001)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Open laboratory self-directed practice was effective in improving nursing students' self-confidence and competency of intravenous infusion. Therefore, students should be encouraged to actively participate in open laboratory self-directed practice and the effective strategies should be developed.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