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rsery seedlings

검색결과 208건 처리시간 0.021초

술패랭이꽃과 층꽃나무 종자에 대한 감마선 조사가 발아, 생육 및 변이유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the Germination Growth and Variation Induction in Gamma Rays Irradiated seeds of Lilac Pink and Nursery Spiraea)

  • 박재옥;정병준;박문영;강시용;곽수년;박윤점;허북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9-24
    • /
    • 2010
  • 종자에 감마선 조사(0, 10, 15, 20, 25, 30 G y)를 실시한 후 768립과 972립의 종자를 각각 파종한 후 종자발아, 생장, 생존율 및 변이체 유발에 미치는 방사선량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술패랭이꽃은 90 Gy, 층꽃나무는 80 Gy 이상의 선량에서는 조사량이 증가될수록 발아가 지연되고 발아율도 저하되었다. 반치사선량은 술패랭이꽃 150 Gy, 층꽃나무는 100 Gy 수준이었다. 술패랭이꽃과 층꽃나무의 생장은 120 Gy 이상의 조사량에서 현저하게 억제 되었다. 술패랭이꽃은 $M_1$ 세대에서 17개의 변이체가 나타났으며, $M_2$ 세대에서 4개의 유망 변이체를 선발하였다. 층꽃나무는 $M_1$ 세대에서 7개의 변이체가 나타났으며, $M_2$ 세대에서 8개의 유망 변이체를 선발하였다.

Effects of Organic Manure on Seedling Growth and Nodulation Capabilities of Five Popular Leguminous Agroforestry Tree Components of Bangladesh

  • Uddin, Mohammad Belal;Mukul, Sharif Ahmed;Hossain, Mohammed Kamal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8권4호
    • /
    • pp.212-219
    • /
    • 2012
  • An experiment was set to understand the seedlings growth and nodulation capabilities of five potentially important leguminous agroforestry tree species of Bangladesh in response to application of organic fertilizer. Study was carried out in nursery bed on the seedlings of Acacia mangium Willd., Acacia hybrid, Acacia auriculiformis A. Cunn. ex Benth, Albizia lebbeck (L.) Benth. and Leucaena leucocephala (Lam.) de Wit. after sowing their seeds in polybags filled with different medium. Farmyard manure or decomposed cow dung was applied as the source of organic fertilizer with other potting media. The growth and nodulation performance of seedlings of the selected species were measured three moths after the first seed was emerged. The different soil: organic manure ratios' used during the experiment were, 1:1, 2:1 and 3:1. The effects of organic fertilizer on growth and nodulation were compared to that of seedlings grown in control. The results reveal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edling growth and the different doses of organic fertilization (i.e. seedling growth was enhanced significantly with different treatments containing higher proportion of organic fertilizer). In few cases a negative effect was observed after applying higher levels of organic manure. It was also apparent that the nodulation in terms of nodule number and size was inhibited significantly by the application of organic fertilizer.

제지슬러지를 이용한 인공상토가 토마토와 오이 플러그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Growth Responses of Tomato and Cucumber Plug-seedlings Grown for the Paper-sludge Substrates)

  • 정성우;차선화;송대빈;허무룡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4권6호
    • /
    • pp.9-14
    • /
    • 2010
  • 본 시험은 폐기되고 있는 제지슬러지의 자원 재활용을 위한 육묘용 상토로서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상업 용토 토실이를 대조구로 하여 제지슬러지와 토실이의 혼합 상토 (1:1, v:v), 그리고 제지 슬러지 단용 상토를 처리로 하였다. 토마토의 육묘 결과, 제지슬러지 혼합 상토에서의 생육은 토실이 상토와 비교하여 초장, 근장, 생체중과 건물중 등에서 그 차이 없었다. 반면, 제지슬러지 단용 상토에서의 생육은 현저히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오이묘의 생육결과에서도 반영 되어 제지슬러지 단용 상토의 오이묘 생육은 현저히 억제되었다. 본 시험의 결과, 제지슬러지의 자원 재활용을 높이기 위해서는 미 가공 제지슬러지의 높은 pH와 EC의 안정화, 그리고 Zn의 함량을 낮추는 등의 처리가 선행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초기 묘목크기와 단근강도가 이식 후 졸참나무의 지상부 및 뿌리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itial Seedling Size and Root Pruning Intensity on Above-ground and Root Development in Quercus serrata Seedlings after Transplanting)

  • 나성준;김인식;이도형;이위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503-510
    • /
    • 2013
  • 본 연구는 졸참나무의 건전한 1-1 조림용 묘목을 생산하기 위해 초기 묘고가 다른 묘목에서 적절한 단근의 강도를 구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1-0 노지묘의 크기를 구분하여 단근(5, 10, 15 cm)을 실시하였다. 1년의 생육기간이 지난 시점에서 묘고를 비롯한 지상부 생장량과 주근 및 측근의 발달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지상부의 생장은 초기 묘목 크기와 단근에 의해 다양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측근의 발달은 묘목 크기에 따른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 묘고가 큰 묘목군에서는 15 cm로 단근된 묘목이 가장 우수한 지상부 생장량을 나타내었으며, 초기 묘고가 작은 묘목군에서는 15 cm와 10 cm로 단근된 묘목이 우수한 생장량을 나타내었다. 묘목 크기에 따른 생장은 초기 묘고가 큰 묘목이 작은 묘목보다 우수한 지상부 생장을 나타내었으며, 주근의 재생산량과 새롭게 발달된 측근의 수도 많았다. 하지만 측근의 길이 및 무게 생장은 작은 묘목이 더 많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고품질의 묘목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묘고가 큰 1-0묘를 생산하는 것이 다양한 장점을 가지며, 초기 묘고가 26 cm 이상의 큰 묘목은 15 cm로 단근하고, 초기 묘고가 24 cm 이하의 묘목은 10 cm로 단근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단근길이라고 판단된다.

인삼 종자의 발아에 관한 연구 I. 미개갑 종자 파종이 배생장 및 발아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Germination of Korean Ginseng(Panax ginseng C.A.Meyer) Seed I. Influences of Nonstratified Seed on Embryo Growth and Germination)

  • 조재성;원준연;강희경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54-58
    • /
    • 1988
  • 인삼종자의 자연상태에서의 배 생장 및 및 발아능력을 구명하기 위하여 파종직후 미숙배 상태의 종자를 묘상에 파종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종후 80일에는 관행개갑종자와 미숙배 종자직파구의 배율간에 유의차가 없었고 100일후에는 관행개갑종자에 비해 미숙배 종자직파구의 배율이 현저히 증가되었다. 2. 미숙배 종자 직파구의 파종 100일후 종자 자연개갑율은 관행개갑구 종자의 개갑율과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3. 미숙배 종자직파구의 2개년 평균 발아율은 약 57%로서 관행개갑종자 추파구의 종자발아율과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았다. 4. 발아 전엽후 묘삼의 경장, 경직경, 엽장 및 엽폭 모두 관행개갑종자 추파구와 미숙배 종자직파구간에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 PDF

관수수준에 따른 소나무 용기묘 1년생의 생장 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One-year-old Container Seedlings of Pinus densiflora by Irrigation Level)

  • 차영근;최규성;송기선;성환인;김종진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67-174
    • /
    • 2017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조림수종인 소나무를 대상으로 조림지 식재 후 활착률을 높이기 위해 상대적으로 생육이 좋은 용기묘로 생산하고자 할 때, 관수처리 수준에 따른 생장 반응 특성을 조사하고 이를 통하여 적정 관수 수준을 구명하고자 실시되었다. 104구 용기에서 생육된 소나무 용기묘는 대조구(무관수)를 포함하여 파종 후 15주부터 8주 동안 각각 1, 2, 3, 5, 7, 10, 15일 간격으로 관수되었다. 관수처리에 따른 소나무 용기묘의 간장과 근원경 생장, 건물생산량을 조사한 결과 가장 좋은 생장 반응은 관수처리 1일 간격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관수주기가 짧아질수록 소나무 용기묘의 생장이 좋아졌지만, 전체뿌리길이는 2일이나 1일 관수주기보다 3일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묘목품질지수의 경우 1일 간격에서 가장 높고 관수주기가 길어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1~2일 간격의 관수가 소나무 용기묘의 생육에 있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토양 수분함량이 토마토 묘의 생육 및 항산화 효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il Water Content on Growth and Antioxidative Enzymes of Tomato Plug Seedlings)

  • 김동억;강정균;신윤아;홍순중;이운용;우영회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1권2호
    • /
    • pp.59-69
    • /
    • 2019
  • 본 연구는 토마토 육묘 시 생육과 묘소질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 중에서 수분함량이 모종의 생육과 항산화효소 형성에 미치는 영향, 엽온의 변화에 대한 관찰을 수행하였다. 실험 방법은 토마토 모종을 관수한 상태의 무게가 50g, 40g, 30g가 되도록 관수를 하였고 각 묘 및 트레이의 무게를 시간마다 측정하였으며,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엽온을 측정하였고, 실험 후 각 묘의 항산화효소를 측정하여 스트레스 여부를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상토 무게의 변화는 주간 감소량 보다 야간의 감소량이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묘의 무게별 감소량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토 무게에 따른 생육 변화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플라보노이드 및 항산화 효소는 상토 무게 50g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근권부에 과습 상태가 장시간 지속되어 스트레스를 받은 것으로 판단되며, 추후 장시간 생육 변화, 실시간 환경 변화 조사 및 상토 종류에 따른 증발산량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유기질 및 화학비료 처리수준이 어린 백합나무 생장 및 양분농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Organic Manure and Chemical Fertilizer Application Levels on the Growth and Nutrient Concentrations of Yellow Poplar (Liriodendron tulipifera Lin.) Seedlings)

  • 한시호;안지영;최형순;조민석;박병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37-48
    • /
    • 2015
  • Soil nutrient management is important to maintain the constant productivity of seedling production in the nursery for successful forest restor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organic manure and chemical fertilizer application levels on the growth, soil properties, and nutrient concentrations of yellow poplar seedlings. One-year-old yellow poplar seedlings were treated with the combination of 3 level organic manures(0, 5 Mg/ha, 10 Mg/ha; mixture of poultry manure, cattle manure, swine manure, and sawdust) and 3 level nitrogen-phosphorus-potassium(NPK) chemical fertilizers(0, 1x(urea, $30g/m^2$; fused superphosphate, $70g/m^2$; potassium chloride, $15g/m^2$), 2x). Organic manur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soil pH and the concentrations of nitrogen, available phosphorous, exchangeable potassium, calcium, and magnesium. In contrast, the NPK chemical fertilizer decreased the soil pH and exchangeable calcium concentration, did not affect the soil concentrations of nitrogen and magnesium, and increased the concentrations of available phosphorous and exchangeable potassium. Both organic manure and NPK chemical fertilizer treatments increased the seedling height, root collar diameter, and dry weight by 39% and 25%, respectively. The treatment with manure 5 Mg/ha and NPK 2x chemical fertilizer mostly increased seedling dry weight by 2.6 times more than that of the control. Compared to the effects of the fertilization treatments on the soil properties, the effects on nutrient concentrations in the leaves were relatively small.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organic manure that was derived from livestock byproducts and sawdust can be utilized with chemical fertilizer to improve seedling production as well as conserving soil quality.

육묘 기간중의 고도 차이가 자묘의 특성 및 딸기 수량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 Differences in Altitude during Raising Seedlings on Daughter Plant Characteristics and Subsequent Strawberry Production)

  • 이종남;임주성;이준구;남춘우;김기덕;이응호;용영록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4호
    • /
    • pp.540-544
    • /
    • 2010
  • 본 실험은 촉성재배용 신품종딸기의 화아분화 유기와 자묘 품질에 대한 고랭지육묘 효과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신품종 딸기 '매향'과 '설향'은 촉성재배를 위해 대관령(해발 800m)과 강릉(해발 20m)에서 각각 증식되었다. 증식기간 동안 평균기온은 강릉이 $20.4^{\circ}C$로 대관령의 $15.1^{\circ}C$보다 $5.3^{\circ}C$ 더 높았다. 자묘 증식량은 강릉이 대관령보다 두 배 정도 많았다. 탄저병 발생율은 강릉이 대관령보다 4-7% 높았다. 화아분화 유기를 위한 육묘처리기간의 평균기온은 강릉육묘가 $28.6^{\circ}C$로 대관령육묘의 $23.5^{\circ}C$보다 $5.1^{\circ}C$ 더 높았다. 대관령육묘는 강릉육묘에 비해 C/N율은 높고, T/R율은 낮았다. 화아분화기는 대관령육묘가 강릉육묘보다 30일 이상 빨랐다. 따라서 신품종 딸기의 촉성재배를 위한 적정 육묘지역은 고랭지가 적당하였다.

고형돈분 처리 시 해송 묘목의 생장반응 및 질소·인 흡수 효과 (Growth Response and Uptake of Nitrogen and Phosphorus of Pinus thunbergii by Treatment of a Dried Swine Excrement)

  • 이창헌;조재영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72-80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dried swine excrement on the germination of Pinus thunbergii seeds, the growth response of seedlings of Pinus thunbergii and the uptaken of nitrogen and phosphorous by seedlings of Pinus thunbergii. The germination rate of seeds of Pinus thunbergii tends to decrease according to the increasing of application amount of dried swine excrement and the application amounts of dried swine excrement which is more than 3%(w/w %) makes the rate of germination to much more decreased. Contents of nitrogen and phosphorus are much higher in a way that the dried swine excrement was treated in nursery soil. 179 days after seeds of Pinus thunbergii were sowed, nitrogen contents in soil was decreased more than 70% and phosphorus was decreased 20 to 45%. Growth response of Pinus thunbergii was much higher in treatment of dried swine excrement than in control. But growth response was not affected by increasing of application amounts of dried swine excrement. Growth response of Pinus thunbergii was the highest in 2%(w/w %) application but its growth response was decreased in treatment more than 3% (w/w %) of dried swine excr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