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merical taxonomy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3초

Bacterial Systematics: Importance and Trends

  • Seong, Chi-Nam;Baik, Keun-Sik
    • 한국생명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명과학회 2007년도 제48회 학술심포지움 및 추계국제학술대회
    • /
    • pp.25.1-25.1
    • /
    • 2007
  • See Full Text

  • PDF

자생지별 금강초롱꽃의 외부형태 및 수리분류 (External Morphology and Numerical Taxonomy of Hanabusaya asiatica Populations in Different Habitats)

  • 유기억;이우철;류승열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80-88
    • /
    • 2000
  • 금강초롱꽃 자생지 6지역(오대산, 향로봉, 대암산, 화악산, 점봉산, 설악산)에 대한 형태적 유연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외부형태, 주성분분석과 유집분석 등 수리분류학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외부형태형질 중 자생지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형질은 없었으며 형질의 연속성이 인정되었다. 조사된 6개 자생지의 71개체와 outgroup으로 사용한 검산초롱꽃 7개체, 총78개체 중 향로봉과 설악산 정상부에서 자라는 일부 개체들은 잎, 포엽의 형태 등 에서 다소 차이를 보여 구별이 가능하였다. Outgroup으로 사용된 검산초롱꽃은 꽃받침의 형태가 넓은 난형 으로 선형 또는 선상피침형인 금강초롱꽃과 구별되었으며 나머지 형질들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17가지의 양적 형질을 이용한 주성분분석 결과 주성분1(22.3%), 주성분2(15.7%), 주성분3(12.0%)이 총 50.07%의 기여율을 보였으며, 주성분 1과 2를 이차원공간에 도시한 결과 6개 자생지 집단은 서로 중복되어 나타나 구별이 불가능하였다. 평균연결방법과 Ward's법 에 의한 유집분석 결과도 주성분분석과 매우 유사한 결과를 보여 유집이 불가능하였다.

  • PDF

한국산 감탕나무속(Ilex L.) 식물의 수리분류학적 연구 (A Numerical Taxonomy of Korean Ilex (Aquifoliaceae))

  • 황승현;박선주;김주환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01-418
    • /
    • 2007
  • 한국산 감탕나무속 식물 8분류군 24집단으로부터 32개의 형태형질을 조사하였고, 수리분류학적분석을 실시하여 속내 분류군들의 한계를 논의하고자 하였다. 주성분분석결과, 주성분 1, 2, 3이 전체분산값 기여도의 67.0%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분산값에 대한 기여도는 주성분 1, 2, 3이 각각 31.5, 21.1, 14.4%로 각각 나타났다. 또한, 주성분 분석 1, 2, 3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형질들은 꽃받침, 꽃잎, 약, 암술 및 열매의 형태 등의 생식형질과 엽병과 엽연의 형태, 소지의 모용, 잎의 지속성 등의 영양형질 등으로 나타났다. 주성분적재값을 기초로 2차원 공간배열을 실시한 결과, 한국산 감탕나무속은 감탕나무, 호랑가시나무, 완도호랑가시나무, 먼나무, 대팻집나무와 민대팻집나무, 그리고 꽝꽝나무와 좀꽝꽝나무로 6개의 유집군을 형성하였다. 주성분분석결과, 취급된 분류군들은 종 집단간의 비교적 명확한 한계를 보이며 독립적인 배열을 나타내어 수리분류학적 연구는 감탕나무속 분류에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리분류학적 연구결과에 의한 형태학적 식별형질을 기초로 새로운 종검색표를 작성하였다.

수리분류를 이용한 쇠무릎 분류군의 외부형태 연구 (Morphometric Study of Achyranthes bidentata Complex Using Numerical Taxonomy)

  • 안영섭;김관수;김휘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466-471
    • /
    • 2012
  • 'Usul' is a traditional medicinal herb, which has anti-inflammatory activities is distributed in India, Nepal, China, Korea, Japan. Korea pharmacopeia listed 'Usul' as either a species of Achyranthes japonica (Miq.) Nakai or A. bidentata Blume. Recent taxonomic studies in China and Japan delimited these taxa as two varieties, A. bidentata Blume var. bidentata and var. japonica Miq. A multivariate morphometric study of Achyranthes bidentata complex was undertaken to assess the entities of taxa that usefully could be recognized. Five quantitative characters were reviewed and analyzed with 293 specimens from Korea. The univariate analysis of inflorescence length, interval between florets, angle between floret and floral axis indicated that ranges among all taxa were continuous. However, quantitative characters of membrane size and the number of hairs within 4 were useful to identify two varieties. In PCA, the first three principal components accounted for 89.4% of the total variance. PCA revealed that var. bidentata showed distinctions in morphological attributes from var. japonica entity. Therefore, continued recognition at the infraspecifc level for these taxa is supported.

한국산 광의의 붉나무속(Rhus L. sensu lato)의 수리분류학적 연구 (Numerical taxonomy of Rhus sensu lato (Anacardiaceae) in Korea)

  • 도재화;김주환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05-220
    • /
    • 2004
  • 한국산 광의의 붉나무속(Rhus) 6분류군간의 한계를 검토하기 위하여 28집단에 대한 67개의 외부형태학적 형질을 기초로 주성분분석과 군집분석의 수리분류학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47개의 정량형질을 기초로 한 주성분분석 결과에서는, 주성분 1, 2, 3이 전체분산값의 77.9%(주성분1 35.2%, 주성분2 22.5%, 주성분3 20.2%), 또한 20개의 정성형질을 기초로 한 분석결과에서는, 주성분 1, 2, 3은 전체분산에 대해 90.7%(주성분1 37.7%, 주성분2 33.0%. 주성분3 20.0%)를 설명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성분적재값을 기초로 하여 공간배열을 실시한 결과, 조사된 분류군들은 종집단 간에 뚜렷한 한계를 보이며 유집되었다. 또한, 단순유집계수에 의한 군집분석을 수행하여 UPGMA 표현도를 작성한 결과, 각각의 분류군 사이에는 뚜렷한 한계를 보였다. 군집분석 결과, 한국산 광의의 붉나무속 식물의 분류에는 정성적 형질이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리분류학적 연구는 한국산 광의의 붉나무속 6분류군의 분류학적 한계설정에 매우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산 엉겅퀴군(국화과) 식물의 수리분류학적 연구 (Numerical Taxonomy of Cirsium japonicum Complex(Asteraceae) in Korea)

  • 송미장;김현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79-292
    • /
    • 2006
  • 이 연구는 다양하게 분류되어온 한국산 엉겅퀴군(Cirsium japonicum complex)을 대상으로 주요 식별형질의 변이 양상에 대한 수리 분류학적 분석을 수행하여 그 분류군들의 한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엉겅퀴군의 주요 식별 형질인 잎, 화서, 화관, 총포와 총포편 등 24개의 외부 형태학적 형질과 잎의 경우, 잎의 길이와 폭, 엽두와 엽저의 각, 잎의 털 밀도, 잎의 두께, 가시의 길이 등에 관한 11개의 주요 식별형질들을 측정하여 주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엉겅퀴(C. japonicum var. japonicum)개체군과 가시엉겅퀴(C. japonicum var. spinosissimum) 개체군들로 구성된 2개 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주요 식별 형질들의 변이 양상을 고려할 때 좁은잎엉겅퀴(C. japonicum f. nakaianum)의 변이 폭은 엉겅퀴(C. japonicum var. japonicum)의 변이 폭에 포함되었다. 그러므로 한국산 엉겅퀴군은 엉겅퀴(C. japonicum var. japonicum), 가시엉겅퀴(C. japonicum var. spinosissimum) 그리고 가시엉겅퀴의 변이 폭에 포함되지만 꽃이 흰색인 흰가시엉겅퀴(C. japonicum var. spinosissimum f. alba) 등 2변종 1품종으로 정리되었다.

한국산 바위솔속(돌나물과) 식물의 수리분류학적 연구 (Numerical Taxonomy of Korean Orostachys (Crassulaceae))

  • 이강우;김형덕;박기룡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59-371
    • /
    • 2003
  • 한국산 돌나물과 바위솔속 내의 종 내 변이를 조사하고 종간의 유연관계를 밝히고자 4종 14집단으로부터 28개의 형태형질을 측정하여 수리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집분석 결과, 크게 3개의 유집을 형성하였고, 둥근바위솔, 연화바위솔, 좀바위솔 집단은 가까운 유집을 형성하여 유연관계가 깊은 것으로 생각된다. 객산리(I)와 가덕도에서 채집된 바위솔은 나머지 바위솔 집단과는 독립된 유집을 형성하여 바위솔 내 형태적 분화가 심하며 이는 기존의 세포학적인 변이와도 연관이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정동진에서 채집된 둥근바위솔 집단은 기존의 동일종 집단과 유집되지 않고, 바위솔 집단에 가깝게 유집되어 형태학적으로 이질적 집단임을 알 수 있다. 형태형질을 이용한 주성분분석 결과, 바위솔 집단과 나머지 집단들로 크게 둘로 나누어지며, 둥근바위솔과 좀바위솔, 연화바위솔 집단은 서로 가깝게 배열되었다.

한국산 개나리족(Tribe Forsythieae; Oleaceae)의 수리분류학적 연구 (Numerical taxonomy of tribe Forsythieae (Oleaceae) in Korea)

  • 김동갑;김주환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89-203
    • /
    • 2004
  • 한국산 개나리족 식물의 분류학적 한계를 규명하고 계통학적 유연관계를 논의하고자 2속 8분류군 25집단으로부터 33개의 형태형질을 측정하여 수리분류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는 개나리족 8분류군 외에 향선나무를 비교군으로 설정하여 미선나무속의 분류학적 한계에 대한 검토를 실시하였고 근연분류군인 개나리족과 향선나무족간의 유연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주성분 분석결과 주성분 1, 2, 3이 전체분산의 79.6%를 설명할 수 있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주성분적재값을 기초로 공간배열을 실시한 결과, 각 속별로 크게 3개의 유집군이 형성되었고, 개나리속은 개나리-산개나리-의성개나리 유집군과 만리화-장수만리화 유집군으로 구분되었다. 미선나무속집단은 분류군의 구분 없이 무작위적인 배열을 나타냄으로써 종하분류군들은 기본종의 개체변이로 생각된다. 향선나무는 개나리족의 개나리속집단과 미선나무집단과는 명확하게 독립적인 군집을 형성하여 족 간의 뚜렷한 한계를 나타내었다.

낙동강 하구에 분포한 종속영양세균의 수리학적 분류 (Numerical Taxonomy of Heterotrophic Bacteria in Naktong Estuary)

  • 하영칠;권오섭
    • 미생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47-255
    • /
    • 1988
  • 수리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낙동강 하구에서 분리한 종속영양세균을 분류하였다. 70%의 유사도로 나눈 결과, 정점 l에서 분 리한 균주는 14 clusters로, 정점 2에서 분리한 균주는 17 clusters로, 정정 3에서 분리한 균주는 17 clusters로, 정점 4에서 분리한 균주는 15 clusters로 구분되었다. 각 cluster의 주요 생리학적 및 형태학적 특성으로 분류한 결과, 정점 1에서의 우점 종은 AeroηlOnas, Vibrio, Alcaligenes로, 정점 2에서는 Alcaligenes로, 정점 3에서는 Aeromonas, Vibrio, Moraxell $\alpha$-Acinetobacter group으로, 정점 4에서는 Pseudomonas로 판명되었다.

  • PDF

쇠우렁이과 ( Birthyniidae ) 패류 8종에 대한 수리분류학적 연구 (Numerical Taxonomy of Eight Speices of the Bithyniidae ( Gastropoda : Prosobranchia))

  • 김재진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9-26
    • /
    • 1994
  • Eight species of the family Bithyniidae, Bithynia tentaculata, B. leachi, B. siaminsis, B manchourica, B misella, B. kiusiuensis, Gabbia australis and a Bithynia wp. collected from Nepal, were studied for their relationship between species. Total 20 characters were employed for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 and taxonomic distance. G. misella and B. kiusiuensis were closely related and similar to G. australis. B. manchourica, B. tentaculata and B. siamensis relatively closed group, and taxonomic distance of B. leachi was far from the other spec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