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merical Tidal Model

검색결과 302건 처리시간 0.028초

동위원소를 이용한 조파수리 모형실험 해석 (Analysis on the Results of Tidal Wave Hydraulic Model using Radioisotope)

  • 김기철;박건형;정성희;이정렬;서경석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87-93
    • /
    • 2011
  • A laboratory experiment using a radioisotope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ransport and diffusion of a pollutant released from industrial plants. A wave hydraulic model based on the similarity theory was constructed and used to reappear the tidal wave in the laboratory. Two-dimensional numerical models were used to reproduce the results of a wave hydraulic model. The measured and calculated concentrations were compared with the same conditions. As a result of the comparative study, the time of maximum concentration showed slight difference between them, but the values of maximum concentration were relatively well agreed.

인천해역 개발에 따른 조석변화 및 오염물질 운송 예측 (Prediction of Tidal Changes and Contaminant Transport Due to the Development of Incheon Coastal Zone)

  • 정신택;조홍연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8
    • /
    • 1997
  • 대규모 간척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인천연안의 해수유동 변화 및 오염물질 운송 양상을 예측하기 위하여 조간대의 노출-침수를 고려할 수 있는 평면 2차원 수치모형을 수립 적용하였다. 해수유동 모형은 정도지점의 현장 측정자료에 대하여 검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주 흐름방향의 유속 및 수위에 대한 계산치가 현장 관측치 재현에 우수함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수립된 흐름모형을 이용하여 영종도 신공항 및 시화방조제 건설 전 \ulcorner후의 조석변화 양상을 모의하는 한편, 흐름모형에서 계산된 대조기 흐름조건하에서 가상의 오염부하에 따른 오염물질 확산 양상을 수치 모의하였다. 수치모의결과, 해역의 개발로 인하여 유속이 감소되고 있으며, 유입된 오염물질은 잘 발달된 협수로를 따라 주로 이동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인천해역에 대하여 수립된 본 모형은 향후 인천해역의 개발계획에 대한 조석변화 및 오염물질 확산을 예측하는 모형으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인천만 및 한강체계의 수치모형 (A Numerical Model of Combined Inchon Bay and Han River System)

  • 최병호;전덕일;안익장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30-137
    • /
    • 1992
  • 전회의 인천만 2차원 모형(최, 1950)을 개선시켜 개방경계에 8개분조를 부여함으로서 만전체에 조석을 실시간예보할 수 있는 체계구성을 위한 시도를 하였다. 기상영향이 없는 기간에 대한 모형의 hindcast 결과는 치안관측치와 전반적인 일치를 보였다. 또한 인천만 모형과 1차원 한강모형을 동적 연결하여 한 모형체계로서 개선시켜 인천만 조석의 한강으로의 전파를 산정하게 하였다. 이 모형에 의해 1990년 9월의 대홍수를 산정하였으며 추후의 모형개선에 관연된 토의를 서술하였다.

  • PDF

천수만 해역에서 온배수 확산모델의 적용 (Application of Thermal Discharge Dispersion Model on Cheonsu Bay)

  • 박영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69-180
    • /
    • 1995
  • This Daper presents effective simulation of the dispersion of thermal discharge which can be relesed at Boryong power plant. Applied numerical models are finite difference method for hydrodynamic analysis and Masch-model comprised of conditions for ambient current velocity. Application of these models is done in Cheonsu Bay Summing u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t is found that the result for measurements of temperature appears high at southwardly Songdo on flood. The reason is that tidal currents which flowed north direction were accompanied with southwardly dispersed thermal discharge. A minute Particle of thermal Plume has a tendency to dispels inward Deacheon Bay. 2. According to the results of numerical experiment, maximum distance for thermal discharge dispersion appeared 10.8 km at lower part and 8.6 km at upper part with power plant outlet as starting point. 3. Comparative the numerical simulation and Airbone Multispectral Scanner indicated that thermal discharge should be verified separative phenomena. The simulated results were compared with field data set showing good agreement. It is concluded that these model can be simulated well.

  • PDF

새만금간척에 따른 미티게이션 (Mitigation for the anti-function in caused by Saemangeum reclamation)

  • 신문섭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1999년도 Proceedings of the 1999 Annual Conference The Korean Society of Agricutural Engineers
    • /
    • pp.169-174
    • /
    • 1999
  • The reclamation area of Saemangeum (Kunsan) located between 126$^{\circ}$10' -126$^{\circ}$50'E and and 35$^{\circ}$35'N -36$^{\circ}$05'N at the western coast of Korea. The construction of the 33km sea dike is building in the Saemangeum area. When the construction of the sea dike in the coastal region takes plase, there exists a certain amount of soil which is diffused by the tidal current. Behavior of the soil diffusion usually depends on its intrinsic characteristics, bathymetry, construction method and used mchinery. The amount of soil at the construction acts as a pollutant which is the cause of changing the marine environment. When the soil material is diffused , it may form a layer which obstructs the light passing into the sea and causes the extinction or alteration of the living beings on the sea bottom. The settlement of soil material could change the sea bottom deposit. The purpose of MITIGATION is to harmonize the development and the conservation of environment, to restrict environmental destruction and to reproduce the enviroment damaged by the construction in the coastal reg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method by which we minimize the anti-function of development in the coastal region. Tide and tidal current are calculated using a two-dimensional numerical model before the construction of sea dike in Saemangeum Bay. The numerical results are compared well with field observation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we caculated the tide and tidal current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sea dik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the tide and tidal current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sea dike. Moreover, we calculated the tide and tidal current after the construction of submerged breakwater in order to preserve the enviornmental condition of creature habitat . We compared the tide and tidal current before and after the construction of submerbed breakwater, to investigate the possbility of MITIGATION in the fisheries.

  • PDF

금강 풀룸의 구조와 분포에 대한 수치모델 연구 (Numerical Model Study for Structure and Distribution of the Keum River Plume)

  • 신은주;이상호;최현용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7권3호
    • /
    • pp.157-170
    • /
    • 2002
  • 연속적으로 방출되는 금강 담수에 의해 형성되는 풀룸(plume)의 구조와 분포를 시험하기 위해 전향력과 조석의 유무에 따른 3차원 수치모델 실험을 하였다. 조석없이 전향력이 포함된 경우 모델풀룸은 발달단계에서 남수로 북쪽에 시계방향 순환을 형성한다. 풀룸 확장이 진행되면 순환중심이 남서쪽으로 이동하며 남수로 입구에서부터 남서쪽으로 저염수의 유출 축 방향이 편향된다 이러한 결과는 외해의 강한 염분전선 때문에 하구입구 전방에서 누적되는 저염수에 의해 유지되는 해면경사에 의한 순압적 지형류 균형으로 설명된다. M$_2$분조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모델풀룸이 북서쪽으로 멀리 확장하여 큰 혀모양의 염분분포를 이룬다. 외해역 풀룸의 조석주기 평균된 표층흐름은 주로 지형류 균형을 이룬다. 이러한 풀룸분포의 변화는 하구입구 외측에서 저염수를 북쪽으로 공급하는 조류이동에 의한 저염수 이류와 풀룸을 따라 평균해면을 높이고 북쪽 천해연안역 표층염분을 증가시키는 활발한 조류혼합에 의한 것으로 설명된다. 관측된 금강 풀룸의 주된 형태(Lee et at., 1999;최 등, 1999)는 하구 입구역에서부터 풀룸 축이 북서쪽으로 편향되고 북쪽으로 풀룸 두께가 깊어지는데 이러한 특징은 조석이 포함된 모델에서 잘 재현되었다.

한국 남해안에서 Cochlodinium적조 확산모델 (Numerical Model for Spreading of Cochlodinium Bloom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in Korea)

  • 권철휘;조규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568-577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한국 남해안의 적조발생상황을 기초자료로하여 적조생물의 증식과정, 해수순환의 물리학적인 과정 및 영양염류를 고려한 생물학적인 과정 등을 동시에 고려한 적조발생모델을 구축하여 적조발생상황을 수치모델로써 재현하고자 하였다. 수치모델을 통하여 해류를 재현한 결과, 거제도 남쪽해역에서 나타나는 반원형의 해류분포는 그 해역에서의 급격한 수심변화에 의해서 생성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류와 해류를 동시에 고려한 해수순환모델 결과, 제주해협에서는 남해로 유입되는 동향류가 우세한 반면에 남해에서 서해쪽으로 유출되는 서향류의 세기는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고흥연안에서 최초로 발생한 적조가 제주해협을 통하여 서해쪽으로 이동하기 어렵게 만드는 원인중의 하나라고 판단된다 조류와 해류가 적조발생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실험을 통하여 조사하였는데, 적조발생분포가 왕복성조류의 형태와 해류에 의한 외해쪽으로의 이동양상을 모두 포함하고 있었다. 그러나, 계산결과는 실제 적조 발생분포를 잘 재현하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한국 남해연안에서 부는 서남서방향의 가상바람을 적용하여 계산한 결과. 전체적인 적조의 발생 범위와 이동시기는 비교적 유사하게 재현할 수 있었다. 또한, 적조의 이동 및 확산분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서남서 방향의 바람의 영향으로 연구되었다.

Numerical Study on Performance of Horizontal Axis (Propeller) Tidal Turbine

  • Kim, Kyuhan;Cahyono, Joni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296-296
    • /
    • 2015
  • The aim of this paper is to numerically explore the feasibility of designing a Mini-Hydro turbine. The interest for this kind of horizontal axis turbine relies on its versatility. For instance, in the field of renewable energy, this kind of turbine may be considered for different applications, such as: tidal power, run-of-the-river hydroelectricity, wave energy conversion. It is fundamental to improve the turbine performance and to decrease the equipment costs for achievement of "environmental friendly" solutions and maximization of the "cost-advantage". In the present work, the commercial CFD code ANSYS is used to perform 3D simulations, solving the incompressible Unsteady Reynolds-Averaged Navier-Stokes (U-RANS) equations discretized by means of a finite volume approach. The implicit segregated version of the solver is employed. The pressure-velocity coupling is achieved by means of the SIMPLE algorithm. The convective terms are discretized using a second order accurate upwind scheme, and pressure and viscous terms are discretized by a second-order-accurate centered scheme. A second order implicit time formulation is also used. Turbulence closure is provided by the realizable k - turbulence model. In this study, a mini hydro turbine (3kW) has been considered for utilization of horizontal axis impeller. The turbine performance and flow behavior have been evaluated by means of numerical simulations. Moreover, the performance of the impeller varied in the pressure distribution, torque, rotational speed and power generated by the different number of blades and angles. The model has been validated, comparing numerical results with available experimental data.

  • PDF

동지나해의 조석 및 해일 수치모델 (Mathematical Modelling of Tides and Surges in the East China Sea)

  • 최병호
    • 물과 미래
    • /
    • 제16권4호
    • /
    • pp.221-236
    • /
    • 1983
  • 황해 및 동지나해와 같은 천해에서 해류 및 해면변화의 주요인은 조석이다. 근년에 수직적분된 운동방정식 및 연속방정식을 기초로 한 황해 및 동지나해의 이차원 수동역학적 수치 모델이 개발되어 조석의 주분호의 진폭, 위상을 만족스러운 정도로서 재현할 수 있었으며 일련의 수치실험에 의해 이 해역의 조석역학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였다. 다음 단계로서 황해 및 동지나해의 삼차원 수동역학적 수치모델이 수립되어 조류와 정상 균일풍에 의한 해류의 수직분포가 산정되었으며 그 결과가 토의되었다.

  • PDF

진해만 조류 및 취송류의 3차원 수치모형실험 (Three-Dimensional Numerical Model Experiments of Tidal and Wind-Driven Currents in Chinhae Bay)

  • 김차겸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95-106
    • /
    • 1994
  • 김 등 (1993)에 의해 개발된 3차원 해수유동 수치모델을 사용하여 진해만의 조류 및 취송류를 해석하였다. 만내의 흐름은 주로 지형, 바람 및 하천유출에 의해 지배되 며, 만 입구의 수로보다 내만에서 바람 의 영향을 더 강하게 받는다. 계산된 조류는 현장관측과 잘 일치한다. 조류 및 조석잔차류의 수평 및 연직 유속은 만 입구의 수로 에서는 강하나, 진해만의 서부해역과 북부해역에서는 상대적으로 약하게 일어났다. 저 층과 표층 사이에 유속우 위상차가 일어나며, 위상차는 소조기보다 소조기보다 대조기 에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또한 만내에서 표층흐름은 바람 및 하천유출류에 의해 강하 게 지배되며, 이러한 현상은 대조기보다 소조기에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