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thern agriculture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7초

한반도 북방지역의 식량산업 클러스터 및 가치사슬 네트워크 분석 (Analysis of Food Industry Cluster and Value-chain Network in the Northern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 문승운;김의준
    • 농촌계획
    • /
    • 제23권3호
    • /
    • pp.147-161
    • /
    • 2017
  • Climate changes from global warming and reduction in agricultural land result in volatility of prices of agricultural products, causing a imbalance of food market in Korea.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ransnational food industry cooperation system among Korea, China and Russia that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 food industry in terms of the whole industrial network. This study analyzes the value chain and linkage in the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industries in three nations. The unit structure and the industrial patterns of three nations were derived using the World Input-output Table (WIOT) from 2004 to 2014 every five years. This paper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develop food security cooperation in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o promote the mutual growth of food industry through industry linkage and cooperation.

배 품종별 꽃받침 탈리와 유전 양식 (Calyx Abscission in Pear (Pyrus spp.) Cultivars and Its Inheritance)

  • 강삼석;김윤경;최장전;조광식;원경호;이한찬;유덕준;이희재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6호
    • /
    • pp.790-797
    • /
    • 2013
  • 배는 꽃이 진 후 꽃받침의 탈리가 품종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데 품종에 상관없이 꽃받침이 남아 있는 과실은 과정부가 비대하여 돌출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남방형 동양배 120품종, 북방형 동양배 52품종 및 서양배 34품종을 대상으로 꽃받침 탈리 여부에 따른 무체과 또는 유체과로의 발달 유무를 조사하고, 남방형 동양배 품종 간의 교배 조합 후대 실생의 유체과 발생률을 조사하여 꽃받침 탈리에 대한 유전 양식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유체과 발생률이 10% 이하이거나 유체과 발생률이 90% 이상인 품종의 비율이 무체과와 유체과가 혼재되어 발생하는 품종의 비율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남방형 동양배, 북방형 동양배, 서양배순으로 유체과 발생률이 10% 이하인 품종의 비율이 높은 반면 서양배, 북방형 동양배, 남방형 동양배순으로 유체과 발생률이 90% 이상인 품종의 비율이 높았다. 꽃받침의 탈리 정도가 다른 품종 간의 교배에서 양친이 모두 유체과 발생률이 10% 이하인 경우에는 대부분의 후대가 유체과 발생률이 10% 이하인 실생이었으며, 양친이 모두 유체과 발생률이 90% 이상인 경우에는 대부분의 후대가 유체과 발생률이 높은 실생이었다. 무체과 품종이 화분친인 경우에는 종자친의 유체과 정도와 상관없이 무체과인 후대가 많은 반면, 종자친이 무체과이고 화분친이 다양한 수준의 유체과 발생률을 나타낸 교배 조합의 경우에는 후대에서 무체과와 유체과 실생의 비율이 유사한 경향을 보여 꽃받침의 탈리는 종자친보다는 화분친의 특성을 더 많이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꽃받침의 탈리 유무는 질적 형질이며 꽃받침의 탈리층 형성을 촉진하는 유전자들이 우성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경북지방(慶北地方)의 벼도열병균(稻熱病菌)레이스 분포(分布)에 대하여 (Distribution of Races of Pyricularia oryzae in Kyungpook Province)

  • 이준탁;추연대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5권
    • /
    • pp.112-118
    • /
    • 1987
  • 경북도내(慶北道內) 각(各) 지역별(地域別) 벼 도열병균(稻熱病菌)레이스 분포(分布) 및 Blasticidin-S에 대(對)한 내성(耐性)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경북면방(慶北面方)에서의 벼도열병균(稻熱病菌)레이스의 조성(組成)은 KJ군(群) 레이스 5종(種), KI군(群) 레이스 6종(種)으로 총(總)11개(個) 레이스가 분포(分布)되어 있으며 가장 많이 우점(優占)된 레이스는 KJ301로서 그 분포(分布) 비율(比率)이 37.9~39.0%였고 그 다음으로 KJ401, KJ201, KJ101, KI3I5, KJ105, KI307, $KI315^b$의 순(順)이었다. 레이스군별(軍別)로는 KJ군(群)레이스가 우점도(優占度)가 높았으며 지역별(地域別) 우점(優占)레이스는 거의 KJ301이었다. KI군(群)레이스 분포비율(分布比率)은 남부(南部), 연해부(沿海部)에 비(比)해 중(中), 북부(北部) 지역(地域)이 높았다. 레이스군별(軍別) 분포비율(分布比率) 변동(變動)은 주(主)로 벼품종별(品種別) 식부면적(植付面積)과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나타내었으며 Blasticidin-S 내성균(耐性菌)에 의한 영향(影響)은 없었다. 경북지방(慶北地方)에서 발생(發生)되고 있는 벼도열병균(稻熱病菌)의 Blasticidin-S에 대(對)한 내성균(耐性菌)의 분포(分布) 비율(比率)은 31.2%였으며 지역별(地域別)로는 남부지역(南部地域)이 43.2%로 가장 높았고 중부(中部) 29.4%, 북부(北部) 25.0%, 연해부(沿海部) 지역(地域)이 10.5%로 가장 낮았다. 내성균(耐性菌) 분포(分布) 비율(比率)은 레이스군별(軍別) 분포(分布) 비율(比率)과는 일정(一定)한 관계(關係)가 없었으나 도열병(稻熱病) 살균제(殺菌劑) 사용량(使用量)과는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나타내었다.

  • PDF

북방농업지대에서 유효적산온도를 이용한 벼 해충의 발생시기 비교 (Comparison on the Time of Occurrence of Major Rice Insect Pests Based on Growing Degree Day in Nor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 김순일;엄기백;김대용;박형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8권3호
    • /
    • pp.239-249
    • /
    • 2019
  • 본 연구는 북방농업지대에서 벼 해충의 지역 간 발생상황을 비교하기 위하여 곤충의 발육에 필요한 온도를 이용하여 발생 시기를 추정하는 방법으로 발생세대수나 발생 시기 등을 비교하였다. 벼 해충 6종(벼물바구미, 벼잎벌레, 흰등멸구, 벼멸구, 혹명나방, 멸강나방)에 대해 유효적산온도를 이용하여 발생 시기를 추정한 결과 월동해충은 지역에 따라 발생 시기에 차이가 있었으며, 동북방향으로 갈수록 발생시기가 늦어져, 북부고산이나 동해안북부에서는 발생시기가 가장 늦었다. 또한 해충의 발생시기가 6월부터 8월 사이에는 비래해충 1세대 성충 발생시기와 같이 지역 간 발생 시기에 차이가 적어 비슷한 시기에 발생하였으며, 기온이 낮아지는 8월부터 9월에 발생시기가 되면 지역 간 차이가 커서 벼멸구의 2세대 성충이 발생하지 못하거나, 흰등멸구, 혹명나방, 멸강나방 등의 2~3세대 성충의 발생이 안 되는 지역이 많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특징으로 보아 북방지역의 동북지역, 동해안북부, 북부내륙, 북부고산지역에서의 벼해충 발생은 적을 것으로 추정되며, 중부산간의 평강, 양덕을 제외한 동해안남부, 수양산 이남, 이북지역은 국내 경기, 강원북부지역과 비슷한 발생을 보일 것으로 추정되었다.